Day 029
적응/익숙함에 대해 말하기 / 책 118p
I can't really get used to the smell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I'm not used to being around new people. 에서 being around는 문법적으로 어떤 형태인가요? 둘러싸인 상태를 의미하기위해 be around를 사용하고, 동명사의 형태로 표현한 건가요?
답변
이때 being 은 동명사이며 around 는 전치사인데 다음의 문장을 한 번 보시죠.
When I am around new people, …… (새로운 사람들 주변에, 곁에 있으면)
이 문장이 기본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책에 있는 문장인 I am not used to being around new people 의 경우 to 가 전치사이고, 그 다음에 be 동사가 나와야하면 동명사인 being 의 형태를 취해야 하며 그 다음에 전치사 around 그리고 목적어인 people 이 위치한 형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It took me a while to get used to this Galaxy phone에서 me를 to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즉 It took a while for me to get used to this Galaxy phone 으로 써도 되나요?
만약 이문장도 된다면 원어민들은 어떤 문장을 더 많 이 사용하나요?
"얼마의시간이 걸리다" 에서 It take 시간으로 표현하는데 중간에 me 가 들어가서 그것(it)이 나에게서 얼마의 시간을 가져가 버린다 즉 내가 ~하는데 얼마의 시간이 걸린다의 의미로 받아들이면 되는 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둘 다 가능합니다!
하지만 빈도수를 따지면 it took me a while 이 더 높습니다.
개인적으로는 it took a while for me to 구문은 ‘엄청나게 힘주어’ 이야기 하는 경우가 아니면 쓰지는 않습니다. 그럼에도 문법적으로도 가능하며 이렇게 강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 때의 take 는 시간을 가져가 버린다? 는 아닌 듯 합니다. 그냥 시간이 걸리다는 뜻입니다.
It takes 시간 to V It took me 시간 to V It took 시간 for 사람 to V What took you so long?
이렇게 패턴화 해서 암기하면 좋을 듯 합니다^^
Small Talk 질문 & 답변
You're going on vacation to Japan, right? Are you going to drive while you're there? while you're there 에서 while you're 를 빼고 말해도 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문맥에서는 가능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제 입에는 여전히 while you’re there 가 더 자연스럽게 붙습니다. 다음의 상황을 생각해봅시다.
너 롯데마트 간 김에 ~~좀 사다줄래? Can you grab me something while you are at it? 이라고 하는 것이 원어민식 영어표현인데 이런 상황에서 can you grab me something there 라고 하면 뭔가 의미가 달라져버리게 됩니다.
Are you going to drive there? 의 경우 역시 앞 문장이 없이 이 단독으로만 보면 마치 야… 너는 거기서 운전할 거야? 나는 여기서 할 건데? 라는 식으로 오해를 살 가능성도 높습니다.
결국 safe option 은 while you are there? 이며? 해당 맥락에서는 앞 문장이 있다는 전제하에서는 are you going to drive there? 도 possible option 정도가 됩니다.
I've been here 11 years and I'll just never get used to it 에서 I'll never 대신에 small talk 1번처럼 I don't think로 표현해도 되는지요?
I've been here 11 years and I'll just never get used to it. "영원히 적응을 못 할 것 같아요"를 I'll never을 사용했는데요. 저는 small talk 1번처럼 "우리와 반대 차로로 주행하잖아. 난 적응 못 할 것 같아서" I don't think로 생각했거든요. I'll never 대신에 small talk 1번처럼 I don't think로 표현해도 되는지요?
답변
원문의 경우 조금 단호하게 들리며 제시하신 I don’t think I will ever get used to it 이라고 하면 조금은 톤다운 어조로 들립니다. 그리고 아주 자연스러워요. 충분히 가능합니다!!!
I've been here 11 years. 에서 판서하실 때 for 11 years 라고 하셨는데 for의 유무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원칙적으로만 보면 for 가 있는 것이 맞습니다만, 언어가 점점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다보니 (특히 구어체영어에서) for 를 생략하고 말을 하는 원어민의 열의 여덟 정도 될 정도라고 봅니다.
가벼운 대화, 가까운 사이에서 더욱 for 가 생략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대화체에서 for 를 쓰면 안 되는 것은 아니니 실제 영어구사를 할 때는 for 를 넣어서 하는 것이 심리적으로 편하실 겁니다. 두가지 다른 상황의 대화를 준비해보았습니다.
(More formal) Counselor: How long have you known your classmates? Student: Well, we’ve been in the same class all year, so I’ve known them for about 8 months.
( In a situation with friends ) A: So, how long have you known each other? B: We’ve known each other about five years now.
A: I can’t get used to the weather in Dubai. I’ve been here 11 years and I’ll just never get used to it. B: I totally get what you mean. 위 대화문 중 현재 완료형인 문장 즉 11년 살았다는 내용 중 11년 앞에 전치사 for 이 없어도 되는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입니다!
사실, 구어체에서는 for 가 생략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문맥상 의미가 명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이죠.
다만 for 가 있을 때와 없을 때의 미묘한 차이점이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ve been here for 11 years.
for 를 쓰는 게 사실상 문법적으로는 더 완전하기에, 글쓰기나 공식적인 상황에서는 for 를 포함해서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입니다.
for 가 포함되면 그 뒤에 등장하는 '기간'을 더 명확히 강조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즉, "내가 여기 정확히 11년 동안 살았다." 라는 뉘앙스를 강조할 때 적합합니다.
I've been here 11 years.
for 를 생략하면 문장이 좀 더 간결하고 자연스러운 느낌이 들어 일상 대화, 즉,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for 를 생략하면 기간에 대한 강조가 줄어들고, 전체 맥락, 혹은 기간 앞에 등장하는 '사실/진술' 자체를 더 강조하는 느낌이 있습니다. 즉, "11년 동안 살았지만, 그 기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그 사실을 바탕으로 이런 경험을 했다." 는 뉘앙스를 전달하고 싶을 때 적합합니다.
본문에서 for 를 생략한 이유
A: I can’t get used to the weather in Dubai. I’ve been here 11 years and I’ll just never get used to it. 두바이 날씨에 적응이 안 되네요. 11년간 살고 있는데 영원히 적응을 못할 것 같아요.
위 설명들을 종합해서 for 가 생략된 이유를 말씀드리자면:
대화 중에 문장을 더 간결하게 만드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입니다.
11년이라는 기간 자체보다는 '11년 동안 살았다는 경험을 통해 이런 감정을 느끼고 있다.' 는 점이 더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It's a problem that's going to be nearly impossible for us to overcome 여기서 that's going to 가 무슨 의미로 추가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이 문장을 두 개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It is a problem.
This problem is going to be impossible for us to overcome.
두 번 째 문장을 그냥 is impossible 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화자는 ‘앞으로의 상황에 대해 예측을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is going to 가 개입된 거에요^^ 처음에는 이런 게 눈에 익지 않다가 조금씩 편해지실 거에요.
애플로 바꿀 생각조차 하지 않을 겁니다. 문장에서 consider making the switch 라고 되어있는데요, make a switch 가 아니라 'a' -> 'the'로 바뀐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make the switch’에서 the 가 사용된 이유 a 가 아닌 the 가 사용된 이유는 앞 문장에서 애플 컴퓨터의 시장 점유율이 낮은 이유로 Windows OS에 길들여진 소비자들에 대해 설명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즉, 여기서 말하는 switch (전환)은 'Windows OS에서 Apple OS로의 전환'이라는 '특정한' 맥락이 이미 명확하게 제시된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a switch 라고 한다면 '특정한 전환'이 아닌 '어떤 일반적인 전환' 을 의미하게 됩니다.
추가 예문으로 비교를 해드리자면:
the switch (특정한 전환, 앞에서 언급된 구체적인 전환): After years of using Android, I finally made the switch to Apple. (몇 년 동안 안드로이드를 사용한 뒤, 결국 애플로 전환했다.) → 여기서도 전환의 대상이 Android 에서 Apple로 구체적이므로 the 사용
a switch (어떤 일반적인 전환) I’m considering making a switch in my career. (내 경력을 바꿀까 생각 중이다.) → 구체적인 변경 내용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a 사용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Further Studies 질문 & 답변
You can find some pretty good deals on clothes at the street market. 문장에서 'on'이 쓰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deals on clothes 에서 on 이 사용된 이유 여기서 on 이 사용된 이유는 a deal 'on' something 이라는 표현이 특정 물건이나 항목에 대한 할인, 거래, 또는 좋은 가격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또 이게 관용적으로 쓰이는 표현이기도 하고요.
몇가지 예시를 더 드리자면:
There are some amazing deals 'on' electronics this week. (이번 주에는 전자제품에 대해 놀라운 할인이 있어.)
You should look for deals 'on' books during the holiday sale. (휴일 세일 동안 책에 대한 할인 상품을 찾아봐야 해.)
on 외 다른 전치사와 비교를 해보자면:
about: about은 ‘관련된 정보’를 표현할 때 사용되며, 구체적인 품목에 대한 거래를 지칭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a deal about clothes 는 사용이 불가하고, 대신 about 가 쓰인다면 이렇게 쓰일 수는 있습니다: 예) I heard about a deal on clothes. (옷 할인에 대해 들었다.)
for: for 를 사용하여 'a deal for ~' 라고 하면 특정 품목에 대한 할인보다는 특정 상황이나 사람을 위한 할인이나 거래를 의미합니다. 만일 for 가 쓰인다면 이렇게 쓰일 수 있습니다: 예) This deal is for new customers. (이 할인은 '신규 고객'을 위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on’은 ‘옷에 대한 할인'이라는 의미를 명확히 전달해주는데에 적합하기에 이게 관용적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기타 질문 & 답변
"저는 시끄러운 사람(들) 옆에 있으면 불편해요.(적응이 잘 안돼요)" 를 영어로 쓰면 I can't get used to people who are loud 일까요?
저는 처음 보는 사람들 옆에 있으면 불편해요. 라는 문장을 공부 하다 보니 궁금한 문장이 있어 질문 올립니다. "저는 시끄러운 사람(들) 옆에 있으면 불편해요.(적응이 잘 안돼요)" 를 영어로 쓰면 아래와 같을까요?
I can't get used to people who are loud.
I can't get used to it when I'm next to a loud person
답변
I can't get used to people who are loud. 문장은 자연스럽습니다.
I can't get used to it when I'm next to a loud person. 어색하고 너무 wordy해요. 다음으로 바꾸면 좋습니다.
I can’t get used to sitting next to loud people.
I don’t like sitting next to loud people, I just can’t get used to it.
It seems like와 It seems that의 차이가 무엇인인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재미있게 잘 듣고 있고 덕분에 영어가 더 좋아졌습니다. Day 29 듣다가 문득 의문이 생겼어요.
저는 It seems like와 It seems that이 뒤에 구가 오냐 절이 오냐의 차이라고만 생각했는데 뒤에 절이 오는데도 불구하고 It seems like가 있는 문장을 보면서 제가 아는 것이 틀렸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It seems like you are still not get used to seafood. 이 문장입니다.
전에 제가 알고 있던 것에 의하면 It seems that you are still not used to seafood.라고 썼을 것 같아서요.
It seems like와 It seems that의 차이가 무엇인인지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항상 감사합니다. ^^
답변
안녕하세요. It seems like 주어 동사가 구어체에서 훨씬 자주 사용되며 it seems that 주어 동사는 상대적으로 문어체에 더 적합합니다.
저 역시 많은 원어민들과 대화하면서 느끼는 것은 구어체에서는 압도적 다수가 it seems like 주어 동사를 많이 쓰더라고요.
It seems like the Bears are going to win. They already have a two-point lead. 가벼운 대화
It seems like the weather is going to clear up, soon. Do you want to go for a walk later? 가벼운 대화
It seems that your sister won’t be joining us this evening. 확실히 무겁게 들림
It seems that there is no explanation for this sequence of events. 무겁게 들림.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