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24

싸다고 말하기 / 책 103p


대표 문장 질문 & 답변

You get what you pay for는 관용적 표현이기 때문에 다른 뜻으로 쓰이지는 않는다고 하셨는데 너의 행동에 따른 값을 치루게 될꺼야! 라는 뜻으로는 해석할 수 없을까요?

만약에 없다면 '너의 행동에 따른 값을 치루게 될꺼야.' 는 영어로 어떻게 표현할 수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You get what you pay for 를 대가를 치를 거야 라고 해석하기는 힘들고, 그 의미로는 You will pay the price (for it) 으로 표현하면 원어민들이 잘 알아들을 거에요^^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I don't expect a quality fast food hamburger for less than 4,000 won, so it's okay에서 so 대신 but이 적절하지 않나요?

4천원도 안되니 양질의 햄버거는 기대 안 해. 그래도 먹을만은 해(I don't expect a quality fast food hamburger for less than 4,000 won, so it's okay)에서 "4천원도 안되지만, 그래도 먹을만해" 라는 의미로 연결이 되려면, 생각의 방향이 전환이 되어 (부정 => 긍정) so 보다 but 이 더 적절하지 않은가 싶어서 여쭤봅니다.

so를 쓰게 되면, 한글로 해석시 "4천원도 안해서, 괜찮아. 먹을만해" 처럼 연결이 되는 느낌이어서 약간 부자연스럽지 않은지 생각이 조금 들었습니다 ^^; 혹시 제가 so 에 대해 잘못 알고 있는 부분이 있다면 좋은 말씀 부탁 드립니다.

답변

둘 간의 대화에서 발췌한 예문으로 앞서 A 라는 사람이, ‘이 햄버거 별로다’ 라고 하는데 대한 응답입니다. 따라서 ‘4천원이 안 되는 햄버거이니 뭘 기대해. 그러니까 괜찮아’ 라는 흐름으로 이해하시면 너무나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Small Talk 질문 & 답변

I bought this hair dryer at a local market and I thought it's a great deal. But actually it broke the first time I used it. 에서 it is broken after only one use 으로 하면 안되는지 굼궁 합니다

답변

Be broken 은 부서진 상태이다 를 말하는 것인데 반해 위의 상황은 한 번 쓰니 ‘부서져 버렸다’, 즉, 어떤 일이 생겼다는 ‘상황’ 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동사로 something broke 라고 표현해야 해요. 하지만 지금 무엇이 고장이 난 상태이다, 부서진 상태이라고 할 때에는 be broken 이 맞습니다.

If you want something good, you need to go somewhere else. 위 문장에서 you should go라고 하면 어색할지 궁금합니다.

상대방에게 그럼 너 '해야지' 라고 할때 보통 need to 를 사용하는걸까요?

답변

should 도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Should 는 좀 더 주관적인 느낌인데 반해 need to 는 객관적인 느낌이 듭니다. 좋은 걸 원하면 다른 게 가봐야 해… (나만의 생각이 아닌 통상적으로 그렇다는 어감)

a great dealbang for the buck > 같은 챕터에 나왔는데 각각 나와 있어서 비교 대조 설명이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은데 둘의 차이점이 뭘까요???

좋은 물건을 싸게 잘 사는 것이 get a great deal이라 하셨는데 그걸 우리말 한 단어로 가성비라고 하잖아요 ㅎ 그래서 bang for the buck 과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a great deal"과 "bang for the buck"는 모두 가성비나 좋은 거래에 관련된 표현이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a great deal은 가격이 저렴하거나 거래 자체가 유리하다는 점에 중점을 둡니다.

bang for the buck은 돈을 많이 들이지 않아도 그 이상의 가치를 얻는다는 점에 중점을 둡니다. 가격이 저렴하지 않아도 "가성비"가 좋다는 느낌이 강조됩니다.

따라서, "a great deal"은 주로 가격 자체에 포커스가 있는 반면, "bang for the buck"은 투자 대비 효율성이나 효과에 더 초점을 둡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고장났다할때 break를 타동사로 쓰면 안되고 자동사로 써서 it broke 라고 써야된다고 하셨거든요. 근데 저번에 totally 설명하실때 Dont bother trying to fix it. its totally broken. 이라고 하셨는데 이때는 break를 타동사로 써서 수동태를 만드신거 아닌가요?

답변

It broke. (자동사 사용) 와 It is broken. (수동태 사용) 둘 다 사용이 가능한데, 의미와 초점이 달라집니다.

'고장 났다' 라는 과거의 사건을 강조할 때는 It broke. 라고 하는 것이 맞습니다. 즉, 이 경우 과거에 고장 난 순간을 강조하는 것이죠.

반면, '고장 난 상태' 라는 현재의 상태 (과거에 고장 난 후, 지금도 고장난 상태) 를 강조할 때는 It is broken 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Please keep in mind, you get what you pay for에서 keep in mindremember 이 둘의 뉘앙스 차이가 무엇일까요?

답변

Keep in mind 가 훨씬 더 polite 하며 less direct 하게 들립니다. Remember 는 매우 직설적이고 단호하게 들립니다. Keep in mind what we talked about last week. (친구가 지난 주 나눈 대화 대용을 까먹지 말라고 상냥하게 remind 해 주는 상황) Please remember this number, it will be required to get into the building. (이 번호 까먹으면 안 돼!!! 그 건물에 들어가려면 필요해!)

Cases in Point 의 아래 문장의 순서를 이렇게 바꾸어도 되는지요?

원문> ~ it is true that our chairs are up to 50% more expensive. 변경> ~ it is true that our chairs are more expensive up to 50%

Further Studies의 두 번째 예문 중 recommend : 설명하실 때 recommend 는 뒤에 ~ ing 를 붙이거나 that 주어 + 동사인데 이때 동사는 동사 원형을 써야한다고 하셨는데요

저는 동사원형을 쓴다고 하셔서 recommend가 문법적으로 5형식 동사라서 그런 것으로 생각했는데 that 주어 +동사면 5형식 동사는 아니란 말씀이신거죠?

답변

안녕하세요.

  1. 보통 숫자를 먼저 쓰고 비교 표현을 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굳이 비교가 아니더라도 해당되는 규칙인데요. 예를 들어 00 건물의 높이가 300미터라고 하면 00 building is 300 meters tall 이라고 해서 숫자 + 단위 의 순서이죠. He is 3 years older than me 를 he is older 3 years than me 라고 바꾸면 안 되는 것과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Our chairs are more expensive up to 50% 는 어색하게 들립니다.

  1. Recommend (that) 주어 동사원형 구문의 경우 3형식이 맞습니다. 그리고 이때 동사원형 앞에는 원래 should 가 있는 것인데 생략된 것이고요^^

If you compare our prices to our competitors~ 에서 to를 with를 바꾸어 써도 되나요? compare tocompare with의 차이점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매우 엄밀히 말하면 compare to 는 둘 간의 유사성, 비슷한 점을 찾기 위해 비교 하는 것이고, compare with 는 유사성 보다는 차이점을 찾기 위해 비교 하는 것인데, 이 둘을 구분해서 쓰는 원어민의 천 명의 한 명도 안 된다고 봅니다.

아울러 최근 몇 년간 보면 다수의 영미인들이 compare to 를 훨씬 많이 쓰고 있으며 compare with 는 사용빈도가 현저히 줄고 있어요. 특히 일상생황에서는 더더욱 그렇습니다.

Compare to 가 쓰인 다양한 예문을 준비해보았습니다. 그리고 책에 있는 예문의 경우 with 로 치환가능하겠지만, 저도 대다수 원어민들도 to 를 쓸 것 같습니다.

The cost of living in this city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others in the same region.

My wife is always worried about money, and she compares herself constantly to her more successful friends.

She would definitely be happier if she were more easygoing.

$200 sounds like a lot of money to fix the water heater, but it'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cost of buying a whole new one.

Inflation is surging at the fastest pace in more than 40 years, with the consumer index rising 8.6% compared to a year earlier.

Cases In Point에서 up to를 배웠는데요. 선생님께서 2번째 줄에 있는 up to 50% 라는 문장에서 여기서 up to는 '최고'라는 뜻으로 구어에서 많이 쓴다고 알려주셨습니다. 그런데 똑같이 세번째 줄에 있는 up to도 설명하실 때 최고라는 뜻으로 설명하고 지나가셨는데 아래 한글해석을 보니 '까지'라고 나와 있어서 네이버 사전에 검색해보니 up to가 '~까지'라고 나옵니다. 두번째줄 up to 50%는 최고 50%라는 뜻이고 아래 세번째줄 up to 10 years는 10년까지라는 뜻으로 다른것 아닌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up to’는 최대치 한도를 말할 때 자주 쓰는 표현으로 ‘최대~까지’라는 뜻입니다. 두 문장에서 모두 같은 뜻으로 ‘최고 50%(까지)는 더 비쌉니다’라고 의역될 수 도 있습니다.

Further Studies 질문 & 답변

I recommend you buying...이런 부분이 나오던데 여기서 youbuying(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로 목적격으로 쓰인 것인가요?

저는 소유격인 your buying으로 알고 있는데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소유격, 목적격 둘 다 가능하나요?

답변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원칙적으로는 소유격이 맞습니다. 하지만 현대영어에서는 열의 여덟, 많으면 아홉까지 ‘목적격’ 이 통용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Your 라고 하면 자칫 old school 하게 들릴 수도 있을 만큼 목적격이 대세라는 점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물론 소유격을 쓰는 사람들과 작가들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기타 질문 & 답변

If you want I guess, I think, I believe, I suppose 등 내 생각을 표현할 때 이런 표현들을 많이 쓰는데 각각의 뉘앙스 차이가 있나요?

상대방에게 그럼 너 '해야지' 라고 할때 보통 need to 를 사용하는걸까요?

답변

should 도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Should 는 좀 더 주관적인 느낌인데 반해 need to 는 객관적인 느낌이 듭니다. 좋은 걸 원하면 다른 게 가봐야 해… (나만의 생각이 아닌 통상적으로 그렇다는 어감)

진도 8 에도 견디게 설게되었다 를 작문할 때 견디다를 withstand 를 사용했는데 , 전에 day 12 에서는 강한 지진에 견디다를 hold up 을 사용했습니다 . 서로 대체가 될 수 있나요 ?

재우쌤이 설명하신 것 중에 진도 8 에도 견디게 설게되었다 를 작문할 때 견디다를 withstand 를 사용했는데 , 전에 day 12 에서는 강한 지진에 견디다를 hold up 을 사용했습니다 . 서로 대체가 될 수 있나요 ?

아니면 의미차이가 있나요 ?

답변

네 가능은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안 돼요. Something is built to withstand 목적어 는 되는데, Something is built to hold up 다음에는 바로 목적어가 올 수 없어서 up 다음에 against 같은 걸 붙여야 돼요^^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