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17
동사 work를 이용해 일정 논의하기 / 책 80p
Does Tuesday work for you?
대표 문장 질문 & 답변
work라는 동사를 뭔가 배려하는 듯한 늬앙스로 질문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work라는 동사를 뭔가 배려하는 듯한 늬앙스로 질문하고 싶을 때 사용하면 안되는 건가요? 예를 들어 한국어로 "가능한가요?" 보다 "혹시.. 가능하신가요?" 라고 묻는 것이 더 배려하는 느낌의 늬앙스를 주는 것 처럼요.
답변
여의치 않을 때 뿐만 아니라 상대가 바쁘거나 할 것을 예상해서 배려하는 말투로도 충분히 사용가능합니다. 저 역시 아직은 상대방의 스케줄을 꿰뚫고 있지 않은 상황에서 does ~~ work for you 를 즐겨쓰곤 한답니다.
왜 어떤 때는 work, 어떤 때는 works 인가요?
대표문장에서는 work Does Tuesday work for you?
Model examples 1번 문장에서는 works Tuesday works better for me, actually.
주어가 같은 화요일로 보이는데 왜 어떤 때는 work, 어떤 때는 works 인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대표문장은 의문문이기 때문에 이미 does 라는 대동사에서 3인칭 단수가 표시가 되어서 본동사인 work 가 원형의 모양을 띠고 있는 것이며 model example 문장의 경우 평서문 + 주어가 3인칭단수인 Tuesday 이기 때문에 동사가 수일치를 시켜서 ‘단수’ 형인 works 가 된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래요^^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Sunday doesn't work for me, but i am available all day Saturday 문장에서 doesn't work for me를 앞 부분에 사용하셨는데, 뒷부분(토요일)에도 사용할 수 있지 않나요?
'I not available on Sunday, but all day Saturday work for me.' 이렇게 사용하면 원어민 입장에서 좀 어색할까요? 앞 부분에 work 동사를 사용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앞 부분에 work 동사를 쓴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흐름 상 난색을 표명하면서 하는 말이라 스케줄이 여의치 않다고 조금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해 Sunday doesn’t work for me 로 work 가 쓰인 것입니다.
제시하신 all day Saturday work for me 의 경우 주어가 Saturday 또는 구체적인 시각이 나오면 아주 자연스럽지만 all day 가 주어일 경우 뭔가 살짝 어색합니다.
따라서 사람을 주어로 하고 술어를 available 로 가져가는 것이 가장 이상적으로 보입니다.
3번문장 중에서 work의 인칭 문제
None of the dates you proposed work for us에서 주어 None을 3인칭 단수로 취급해서 동사를works로 바꾸어야 하는건 아닌가요? 위문장을 바꾸면 'Anyone of the dates you proposed doesn't work for us' 가 될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에서 질문해 봅니다.
답변
None 의 경우 화자의 의도에 따라 때로는 단수 취급, 때로는 복수 취급을 하게 됩니다.
특히 <None of 복수 명사>의 경우 동사를 3인칭 단수 취급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따라서 위의 문장은 아무런 문제가 없습니다. 다음 두 문장도 같은 맥락입니다.
None of my friends are going to the fair.
None of the chairs were comfortable.
Anytime after 1 would work for me / Anytime after 1 works for me.두 문장의 뉘앙스가 어떻게 다른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Would 가 있게 되면 가정 (conditional) 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원문의 경우 1시 이후 “라면, 면” 아무 때나 괜찮아. Would 가 없을 경우 ‘1시 이후는 아무 때나 괜찮아” 입니다. 우리말에서는 ‘면, 라면’ 과 ‘는’ 의 차이 정도이군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Small Talk 질문 & 답변
예문 1번에서 on Monday 와 for Monday
"i'm down for dinner on Monday" "I already have plans for Monday" 두문장에서 Monday 앞에 on 과 for가 바뀌었습니다. chat GPT에게 물어봤는데 처음에는 for 는 have plans for 구동사에 포함된 것으로 monday 앞에 on이 없는 것이고 첫번째 문장에선 on으로 특정요일인 monday를 강조하는 역할이다 라는 식으로 설명했는데, 다시 질문 했을 때는 for 와 on의 의미 차이에 대해서 설명을 해서 혼란이 왔습니다. 요일 앞에는 특정 전치사를 쓰지 않는다는 설명도 나왔었고요. 강의에서 1분 44초 부분에 강사님께서 다시 말씀하실 때 monday 앞에 on없이 말씀하신 부분도 있어서 요일앞에 on 과 for 의 문제인지, on을 붙이느냐 마느냐의 문제인지 설명을 받고 싶습니다.
답변
요일 앞에는 on 이 오는 것이 대원칙입니다. 예를 들어 월요일에 뭐했니? What did you do on Monday? 그런데 말의 뉘앙스를 조금 틀어서 ‘월요일에는 회의가 3개 잡혀있고 화요일에는 두 개가 잡혀있다’ 와 같이 월요일과 화요일을 구분해 줄 때에서는 for 로 바뀝니다.
I have 3 meetings scheduled for Monday. 즉, 월요일에 해당하는 이라는 말이 됩니다.
‘주말에’ 라는 표현도 마찬가지입니다. 일반적으로는 on the weekend 나 over the weekend 이지만, ‘주말에는 뭐 계획있니?” 라고 한다면 What is your plan for the weekend 입니다.
‘주말에 뭐했니?” on the weekend ‘주말에 해당하는 계획’ 일 때는 plan(s) for the weekend 입니다.
즉, 구분과 분류의 뉘앙스가 있는 것입니다. 이는 크리스마스도 마찬가지입니다. 크리스마스 당일에 뭐했니? 라고 한다면 What did you do on Christmas? 이겠지만, 크리스마스 때 계획이 없다고 한다면 I have no plans for Christmas 입니다.
Monday 앞에 on 을 붙이지 않는 경우는 매우 구어체적인 상황에 해당하며 영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우리는 영어스피킹을 할 때 전치사를 붙여서 하는 것이 좋습니다.
It's nice to hear from you. 이 표현은 만나서 반가울때 쓰는 표현으로 알고 있는데요, 혹시 우리나라 말로 '(오랜만에 목소리 들으니) 반갑네~ ' 의 뉘앙스가 맞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네 목소리를 들어서 반가울때도 쓰지만 문자나 이메일을 통한 안부주고 받기에도 충분히 쓸 수 있어요^^ 좀 더 정감있게 쓰려면 It’s so nice to hear from you 라고 하면 되고요^^
It's nice '일요일은 안되지만, 토요일은 하루종일 가능합니다.' 를 'Besides Sunday, all day Saturday works for me.' 라고 표현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네 목소리네 충분히 가능한 표현입니다! I’m free all day Saturday, but Sunday won’t work for me. 이와 같은 표현이 조금은 더 자연스럽기는 합니다.
I'm down for dinner on Monday와 I am available all day Saturday에서 down for과 available 쓰임새 차이가 궁금해요.
small talk 1번에서 "나는 월요일은 저녁 식사 무조건 가능해" 라는 문장에서 I'm down for 가 아니라 I'm available 해도 무방할까요? 어떤 의미 차이와 어떨 때 써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Down 은 자신의 의사 (좋다, 찬성한다) 를 나타내는 말이고, Available 은 ‘시간적으로 가능한, 여유가 있는’ 이라는 객관적 사실을 나타내는 말이에요.
따라서 down 이라고 하면 의사표시, available 이라고 하면 시간적인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 느낌의 차이가 있습니다.
2번 문장 What day works best for you?는 의문문인데 Do/Does가 왜 없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이 부분은 복잡한 문법적 설명보다 아주 단순하게 의문문에서 일반주어가 나오면 do, 나 does 로 문장이 시작되며 what, who, which 로 시작되는 문장에서 what, who, which 가 문장전체의 주어 역할을 할 경우 do 나 does 가 필요없이 바로 일반동사가 나온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몇 가지 예시를 준비했으니 예문을 보는 것이 가장 빠를 것 같습니다.
Do you like science? Vs. What subjects interest you? Do you speak English fluently? Vs Who speaks English fluently? Does this time work for you? Vs. What time works best for you?
I'm actually free every afternoon from Monday to Wednesday. / What day works best for you? 두 번째 문장에서 what 대신 which를 써도 되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Which 도 가능합니다.
Which 는 ‘이 중 어떤’ 을 굉장히 강조하게 들리며 which 에 비해 상대적으로 ~~ 중 무엇을 강조하는 느낌이 조금 약합니다.
Which color 라고 하면 정해진 것 중에 ‘어떤, 무엇’ 을 굉장히 강조해서 말하는 투이며 what color 의 경우 정해진 몇 개를 제시한다 해도 쓸 수 있으며 which 보다는 ‘이 중에서’ 의 느낌이 부각되는 정도가 약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결론은 둘 다 가능합니다!
What day works best for you? 어떤 요일이 제일 좋으세요? 에서 best 앞에 the를 생략한건지 아니면 원래 없어야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아래와 같이 깔끔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최상급이 명사를 수식 할 경우 거의 예외없이 the 를 사용 He is the smartest student in my class. 1-2. 최상급이 최종보어인 경우, 즉 뒤에 수식받는 명사가 없을 경우 informal 한 영어에서는 생략가능 He is (the) greatest. / This smartphone is (the) best.
최상급이 부사로 사용될 때는 the 생략가능 He swims (the) fastest in my class. Which one do you like (the) most? She works (the) hardest in the family.
동일한 대상을 비교할 때는 최상급의 의미라도 the 를 쓰지 않는다. He is nicest when he's with children. (다른 사람과 비교해서 nice 하다는 말이 아님)
요일 앞에는 전치사 on 을 사용 하는데 Small talk 1에서 '월요일에는 이미 약속이 있어' I already have plans for Monday 에서 전치사 on을 쓰면 안되나요? 그럼 여기서 for는 어떻게 이해 해야할까요?
답변
I already have plans on Monday. 라고 해도 문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덜 일반적인 표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plans 라는 단어에 내포된 의미 때문입니다.
plans 는 '약속'이라는 뜻이지만, 본래 '미리 정해진 일정/계획'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on Monday 를 사용하면, '월요일에 무언가 일정이 있다'는 의미이지만,
"그날 계획이 실행되는 것인지"보다는 "미리 정해진 계획이 있다는 의미"가 덜 명확할 수 있습니다.
반면,
for Monday 라고 하면 '월요일을 위해 미리 정해진 계획' 이라는 의미가 되므로, 계획이 실행되는 날이 월요일이라는 점이 더 명확해집니다.
즉, plans 는 특정한 날에 '일어나는 것' 이 아니라, '그 날을 위해 미리 준비된 것' 을 의미하기 때문에 for 를 사용하는 것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on 대신 for 를 사용하는 다른 단어들 중 몇 개를 추가로 보여드리겠습니다:
preparations (준비, 대비)
We’re making preparations for Christmas. (우리는 크리스마스를 위해 준비하고 있어.)
→ 만약 preparations on Christmas 라고 하면, "크리스마스 당일에 준비한다"는 의미가 되어 어색함
reservation (예약)
I made a reservation for Friday night. (금요일 밤을 위해 예약을 했어.)
→ 만약 reservation on Friday night 라고 하면, "금요일 밤에 예약을 했다"는 의미가 되어 혼동될 수 있음
이처럼 특정 날짜를 '위한' 개념을 강조하는 단어들은 on 대신 for 를 사용합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Look over 와 Go over 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17강 look over 와 11 강 go over 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답변
모두 "검토하다"라는 뜻이지만 "look over"는 조금 더 간단한 검토를, "go over"는 보다 자세하고 꼼꼼한 검토를 의미합니다.
put up 과 attached 의 차이
둘다 인터넷에 올려두었다라는 뜻인데 , put up 은 13 강 케이스인포인트 당근마켓에 올려두었다라는 예문으로 나왔고 attached 는 17강 케이스인포인트에 나와있습니다 .
답변
attached 이메일이나 편지에 파일을 메세지/메일에 첨부할 때 사용되며 "인터넷에 올려두다" 라는 뜻은 아닙니다.
proposed time 으로 나와있는데 이걸 time that you proposed 으로 작문하면 이상한가요 ?
day 17 cases in point )proposed time 과 time that you proposed • 첫문장에 proposed time 으로 나와있는데 이걸 time that you proposed 으로 작문하면 이상한가요 ? 더 간단하게 쓰는게 좋아보이긴 한데 ..
답변
'time that you proposed'라는 표현도 문법적으로 맞지만, 영어에서는 더 간결하고 자연스러운 표현을 선호합니다. 따라서 'proposed time'과 같이 짧고 명확한 표현이 더 적합합니다.
"We've looked over the proposed times for discussing contract renewal"에서는 'proposed time'이라는 표현이 보다 간결하게 의미를 전달하며, 전문적이고 직관적인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cases in point 맨 첫문장 We've looked over the proposed times for discussing contract renewal 에서
왜 for 을 썼는지 궁금해서 남깁니다. to discuss contract renewal 둘다 가능한거죠?
그리고 맨 마지막 단어 acceptable을 available 로 사용해도 될런지요.
답변
하나씩 답변해보겠습니다.
We’ve looked over the proposed times for discussing contract renewal
여기서 to discuss contract renewal 라고 바꾸는 게 문법적으로는 가능합니다만 뉘앙스 차이가 생깁니다.
We’ve looked over the proposed times for discussing contract renewal 에서 for discussing contract renewal 은 the proposed times 를 수식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장을 의미 단위로 나누면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습니다:
We / have looked over / the proposed times for discussing contract renewal
이런 식으로 되어 '우리는 / 쭉 한번 보았다 / 계약 갱신 논의를 위해 제안된 시간들을'
즉, 이 표현에서는 "제안된 시간(proposed times)"이 계약 갱신 논의를 위한 것임을 강조합니다.
반면, to discuss contract renewal 이라고 한다면 문장 전체를 수식하는 느낌이 됩니다.
이 경우 의미 단위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We have looked over the proposed times / to discuss contract renewal
이런 식으로 되어 '우리는 제안된 시간들을 쭉 한번 보았다 / (그 이유는) 계약 갱신 논의를 위해서' 라는 의미가 되는 것이죠.
즉, 여기서는 우리가 시간을 검토한 "목적"이 강조됩니다. 즉, "우리가 계약 갱신을 논의하려고 시간을 쭉 한번 보았다." 라는 의미가 됩니다.
본문의 핵심은 "우리가 왜 시간을 검토했는가?" 가 아니라, "제안된 시간들이 계약 갱신 논의를 위한 것"이라는 점을 전달하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제안된 시간을 직접 수식하는 for discussing contract renewal 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I hope that at least one of them is acceptable.
acceptable = 받아들일 수 있는, 괜찮은
available = 가능한, 이용할 수 있는
즉, acceptable 을 사용하면 제안한 날짜들 중에서 상대방이 수락할 수 있는 것이 있는지 물어보는 느낌이고, available 을 사용하면 상대방이 시간이 있는 날짜가 있는지 묻는 표현이 됩니다.
I hope that at least one of them is acceptable.
→ 제안한 날짜 중 하나를 받아들일 수 있기를 바란다. (수락 가능 여부에 초점)
I hope that at least one of them is available.
→ 제안한 날짜 중 하나라도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 (일정 가능 여부에 초점)
결론적으로, 이 문맥에서는 상대방이 날짜를 '수락할 수 있는지'를 묻는 것이므로, acceptable 이 더 적절합니다.
Further Studies 질문 & 답변
I have five meetings scheduled for Wednesday. 문장에서 scheduled를 뒤에서 meetings를 수식해주는, which is scheduled for Wednesday에서 which is가 생략된 걸로 봐도 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문장은 저도 원어민들도 모두 5형식 문장으로 이해하고 있거든요. 그 말인 즉슨, scheduled 가 meetings 을 수식하는 것이 아닌 Have 목적어 목적보어 의 구조로 이해해서 별개로 보는 것이 맞아요.
Have 목적어 (five meetings) scheduled (목적보어) 이건 마치 I want it medium 이라고 해서 미디엄으로 해달라고 하는 것과 같은 이치인데 아래 문장과 같이 시각적으로 오해의 여지가 없으면 수식이라는 생각도 안 들텐데, 본문의 문장은 시각적인 혼동을 줄 수 있지만 5형식으로 이해해주셔요^^
any time과 anytime이 바꾸어 쓸 수 있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책에는 I am available any time before 10 a.m. 이고 강의판서에서는 anytime이라고 쓰셨는데 any time과 anytime이 바꾸어 쓸 수 있는 건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바꾸어 쓸 수 있습니다.
Anytime 을 붙여서 쓰는 것이 구어체에서 더 빈도가 높습니다. 인강 판서에서 처럼 말이죠. 이에 반해 any time 과 같이 띄워서 쓰는 것은 문어체에서 좀 더 빈도가 높습니다.
구어체 예문을 하나 더 준비했습니다.
A: Hey, thanks for helping me out. You totally saved me. B: Sure! Anytime.
기타 질문 & 답변
Does 11 o'clock on Tuesday morning work for you? 의 Does 대신 would 로 바꿔써도 가능한가요? 가정법 would 와 Does의 차이점을 잘모르겠어요
답변
안녕하세요. 위의 문장에서 would 도 아주 자연스럽습니다. 의도의 차이입니다.
Would 를 쓰게 되면 ‘혹시 11시면 괜찮을까요?’ 의 어감이고 Does 를 쓰면 ‘11시 괜찮으세요?” 의 느낌입니다. 정말 미묘한 차이입니다.
‘너 관심있어?” 라고 하면 Are you interested in doing something 이지만 ‘내가 ~~해 준다면 관심있을까?” 라고 한다면 Would you be interested in doing something? 이 되는 겁니다.
일상대화에서 원어민들 말하는 거 보면 That would be fine 이라고 하는 걸 볼 수 있는데, 이 문장 역시 가정이 내포되어 있습니다. ‘그렇게 하게 되면, 되어도 상관없다’ 는 ‘가정’ 내포되어 있기 때문에 that will be 보다 would be 를 더 자주 사용하는 겁니다.
I'm afraid~ 책 문장 중에 I'm afraid 구문이 많이 나오고 그 다음에 that이 나오는 구문과 안 나오는 구문이 있는데 있거나 없거나 뜻은 같고, 혼용해서 써도 상관없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네, "I'm afraid" 다음에 that을 사용할지 말지는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의미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아래 두 문장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Mr. Choi, I'm afraid that I won't be able to attend our class on Sunday." "Mr. Choi, I'm afraid I won't be able to attend our class on Sunday." that을 추가하면 약간 더 격식 있는 느낌을 줄 수 있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완전히 자연스럽고 의미 전달에 문제는 없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요일 앞 전치사 on/for? 한가지 궁금한게 있는데 요일 앞에 붙는 전치사 때문인데 줄곧 요일앞엔 on 이라고 배워서 요일이 붙는 영작이나 샘플 암기때 for 가 나오는 부분이 자꾸 헥갈리네요 어떤때 on/for 쓰는게 좋은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합니다. :)
on과 for를 요일 앞에 사용할 때의 차이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on 사용 on을 한국어로 말하자면 "~에" 또는 "~에 대해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전치사는 특정한 날짜나 요일을 명시할 때 사용됩니다. 즉, 구체적인 시간 또는 날짜를 지칭하거나 지속되지 않는 순간적인 시간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on Monday"는 특정한 월요일을 의미합니다.
예문:
"I already have plans on Monday." (나는 월요일에 이미 계획이 있다.) → 여기서 on은 구체적인 요일인 월요일을 나타내며, 그 요일에 어떤 일이 있을 것임을 말합니다.
"We are meeting on Friday." (우리는 금요일에 만날 것이다.) → on은 특정 요일인 금요일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on을 사용할 때는 구체적인 날짜나 요일이 명시된 경우입니다. "on Monday", "on Tuesday"와 같이 특정 요일을 가리킬 때 쓰입니다.
for 사용 for는 "~을 위해", "
에 대한", "동안" 등의 뜻으로 해석됩니다. 이 전치사는 목적이나 기간을 나타낼 때 사용되며, 특정 날짜가 아니라 그 날짜에 대한 계획이나 준비를 표현합니다. 다시 말해, 목표, 기간, 또는 계획된 행동의 대상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I already have plans for Monday." (나는 월요일을 위한 계획이 이미 있다.) → 여기서 for는 월요일에 대한 계획이 있다는 의미로, 구체적인 날짜보다는 그 날짜에 대한 목표나 준비를 강조합니다.
"We have a meeting for Tuesday." (우리는 화요일을 위한 미팅이 있다.) → for는 화요일을 목표로 한 계획이나 준비를 나타냅니다.
for을 사용할 때는 날짜가 아니라 그 날짜에 대한 계획이나 시간을 지정하는 느낌이 강합니다. 즉, 특정 요일이나 날짜를 포함하는 기간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 비교 예문 드리자면:
"I’m having a meeting on Monday." (나는 월요일에 회의를 한다.) → "on Monday"는 특정한 월요일을 나타냅니다. 구체적인 날짜인 월요일에 회의가 예정되어 있다는 뜻입니다.
"I’m having a meeting for Monday." (나는 월요일을 위한 회의를 한다.) → "for Monday"는 월요일에 대한 준비나 계획을 나타냅니다. 월요일에 관한 전반적인 준비나 계획으로, 특정한 날짜가 아니라 그 날짜에 대한 목적이나 이유를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I have a doctor's appointment on Thursday." (나는 목요일에 의사 약속이 있다.) → "on Thursday"는 구체적인 목요일을 나타내며, 그날 의사를 만날 약속이 있다는 뜻입니다.
"I have a doctor's appointment for Thursday." (나는 목요일을 위한 의사 약속이 있다.) → "for Thursday"는 목요일에 대한 전반적인 계획이나 준비를 나타내며, 특정 요일에 대한 준비나 계획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