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15
완료 여부에 대해 묻고 답하기 / 책 74p
Are you done with your plate?
대표 문장 질문 & 답변
Day 15의 대표문장이 너 다먹은거니? 의 뜻인데요 Further studies 에서 알려주신 뜻으로도 쓰일수가 있는 것인가요?
Day 15의 대표문장이 너 다먹은거니? 의 뜻인데요 Further studies 에서 알려주신 뜻으로도 쓰일수가 있는 것인가요?
Are you done with your plate?
다 먹은거니?
(너무 자주먹어서) 이제 질려서 못먹겠니?
문맥에 따라 둘다 가능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대표문장은 1번 의미로만 쓰입니다^^
2번은 Are you tired of it already? 등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It's too big이라고 쓰는 것과 It's just way too big 이라고 쓰는 것은 어떤 어감차이가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Way 는 강조의 의미를 지닌 부사입니다. It’s too big (너무 크다) It’s just way too big (진짜 너무 크다) 정도의 어감차이입니다.
It’s too expensive (너무 비싸다) It’s way too expensive (진짜 너무 비싸다)
Just 까지 붙으면 또 한 번 더 강조하는 느낌입니다. 이 때의 just 는 absolutely (완전) 의 의미입니다. ‘Our holiday was just perfect (우리 휴가는 완벽 그 자체였어.) 에서의 just 와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I am done taking a look at your car, i will tell you what you've got here. 해당 문장에서 taking a look at 대신 checking을 써도 될까요 ?
답변
네네~이 때 take a look at 대신 check 을 써도 전혀 문제가 없습니다^^. 이러한 문맥에서는 take a look at 이 조금 더 professional 하게 들리기는 합니다.
I'm done taking a look at a car 에서 전치사를 over로 바꿔서 I'm done taking a look over a car 이렇게 사용하면 안되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어색합니다. Take a look at 은 하나의 덩어리표현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I am done looking over your car 는 문법적으로는 맞습니다. 이 때는 look 이 명사가 아닌 동사의 형태로 쓰였으며 over 와 함께 구동사를 형성합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look over 는 굉장히 건성으로 대충 보는 것이기 때문에 내용상 상당히 어색하게 들립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I'd like to have it back 이라고 언급이 되었는데 이때 take it back으로 사용을 하면 다른 뜻이될까요? take back도 구동사로 강조를 많이해주셨는데 have back과 take back의 차이를 알고 싶습니다.
답변
take it back 과 have it back 은 비슷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초점에 차이가 있습니다.
Are you done with the book I lent you? I’d like to have it back.
(제가 빌려준 책 다 읽은 거죠? 그럼 돌려주세요.)
→ 상대방에게 책을 돌려받고 싶은 의도
Are you done with the book I lent you? I'd like to take it back.
(제가 빌려준 책 다 읽은 거죠? 그럼 제가 그 책을 다시 되찾고 싶어요.)
→ 내가 책을 다시 가져오고 싶은 의도
여기서 take it back은 내가 그 책을 물리적으로 되찾는 행위에 초점을 두고 있고, have it back은 그 책을 돌려받은 상태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추가 예문을 통해 차이를 더 보여드리겠습니다:
I regret selling my guitar. I want to have it back. (기타를 판 게 후회돼. 다시 돌려받고 싶어.)
→ 기타를 되찾은 상태를 원하는 의도
I regret selling my guitar. I want to take it back. (기타를 판 게 후회돼. 다시 되찾아오고 싶어.)
→ 기타를 되찾는 과정에 초점을 둠
He gave her the ring but later wanted to have it back. (그는 그녀에게 반지를 줬지만 나중에 다시 돌려받고 싶어 했어.)
→ 반지를 돌려받은 상태를 원하는 의도
He gave her the ring but later wanted to take it back. (그는 그녀에게 반지를 줬지만 나중에 다시 되찾고 싶어 했어.)
→ 반지를 되찾는 과정에 초점을 둠
결론적으로,
have it back 은 물건을 되돌려받은 상태를 원하며, 되찾은 결과에 초점이 맞춰집니다.
take it back 은 내가 물건을 되찾는 과정에 초점을 두고, 물리적으로 그것을 가져오는 행위에 중점을 둡니다.
일상 회화에서는 I'd like to have it back 이 더 일반적이고 자연스럽게 사용되며, take it back은 내가 직접 물건을 되찾으러 가겠다는 의도를 강조할 때 사용됩니다.
Small Talk 질문 & 답변
be into와 get into를 사용했을때 차이점이 있을까요?
I'm really into this game, though. 위 문장을, Day1에서 배운 문장(I can't really get into the stories)처럼 get into를 사용해도 되나요? I really get into this game, though.
be into와 get into를 사용했을때 차이점이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Be into 는 지금의 상태를 나타내며 get into 는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법입니다.
I’m really into this game 은 ‘이 게임이 너무 재미있다’ 는 말인데 반해 I can’t really get into the stories 는 노력을 해도 재미가 붙지 않는다는 말이니 ‘변화’ 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이는 I am not used to something vs. I can’t get used to something 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I am not used to the smell 은 ‘냄새가 적응이 안 된 상태’ cannot get used to 는 노력을 해도 적응이 되지를 않는다… 이 차이인것이죠.
I don't think anything here really suits you. 문장을 아래 문장으로 변경해도 자연스러운지 궁금합니다. It doesn't look like there are clothes that look good on you.
답변
안녕하세요. 제시하신 문장의 경우 would 를 넣어서 It doesn’t look like there are clothes that would look good on you 라고 하면 자연스럽고, 이럴 경우 매장 안에 들어가기전에 밖에서 보고 하는 말같이 들립니다.
만일 매장 안에서 하는 말로서 원문과 비슷한 느낌을 주려면 There’s nothing that looks good on you. 로 표현하면 됩니다^^
"Do you have a pen I could use?"라는 문장을 "Is there a pen that I could use?" 라고 해도 문제 없을까요?
이전 강의에서 We have more charging stations around now 라는 문장 소개해 주시면서, There are more charging stations~ 라고 하면, 너무 제3자의 느낌이 난다고 알려주셨었는데, 그 설명과도 연결되는 것인지요? 두 경우 모두 전자가 자연스럽다고 볼 수 있을까요? 비슷하게 Do you have a table for 2? 라고 하는 것이 Is there a table for 2? 보다 더 자연스럽게 들리는지도 궁금합니다. 'have'라는 동사가 뭔가 분명히 소유하다~라는 의미가 아닌 경우에는 입에서 잘 안나오는 것 같아서요. 조금 더 설명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이 부분은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려울 수 있어요. 다음 상황과 같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친구에게 ‘너 지금 현금 가진 거 있니?’ 라고 한다면 Do you have cash on (with) you? 라고 하지 Is there any cash ? 라고는 하지 않겠죠? 상대에게 묻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다고 보시면 되어요. 본문의 경우 '너 펜 가진 거 있니? 내가 좀 쓰게' 라고 이해하시면 Is there은 어색하게 들려요. 다른 두개의 예시도 모두 같은 맥락입니다.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평소에 otherwise 등으로 말하는 것이 원어민이 듣기에 어느 정도 고쳐야할 습관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Please make sure to put away the weights when you're done. If you leave them out, others can't find what they need. (Cases in point)
한글을 보고 영작한 문장이나 평소 제 언어습관을 보면 저는 밑줄 친 부분을 'otherwise'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예문처럼 leave out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평소에 otherwise 등으로 말하는 것이 원어민이 듣기에 어느 정도 고쳐야할 습관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제가 볼 땐 otherwise 를 자주 사용하는 것은 오히려 좋은 습관인 것 같습니다. 말이 길어지는 것도 해결할 수 있고요.
위의 경우에서도 if you leave them out 을 otherwise 로 해도 아주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다만 뒤에 나오는 단어가 others 로 비슷하게 생겼기 때문에 others 를 different members 로만 바꾸어도 좋습니다. 추가예문도 2개 준비했습니다.
Please do not litter in this area. Otherwise, you will be fined. If I tell you, you can’t tell anyone else. Otherwise, I’ll tell everyone about the girl you like.
헬스장 출입이 유예된다고 구체적으로 말하고 싶으면 아래처럼 하면 될까요? Violators will be warned the first time, and then be suspended for a week the second time from entering gym.
1회 위반자는 경고 조치하며 2회 위반자는 일주일간 헬스장 출입이 금지됩니다. Violators will be warned the first time, and then be suspended for a week the second time.
이 문장에서 그냥 일주일이 유예된다고만 영작이 되어서, 헬스장 출입이 유예된다고 구체적으로 말하고 싶으면 아래처럼 하면 될까요? Violators will be warned the first time, and then be suspended for a week the second time from entering gym.
답변
안녕하세요. 네 조밀하게 표현하면 from entering the gym 이라고 할 수는 있을 겁니다. 하지만 실제 영어에서는 suspended 다음에 나올 정보가 생략되는 경우가 거의 100% 라고 보시면 되어요^^ 문맥상 알 수 있어서 그럴겁니다.
We appreciate your cooperation in making ~ 을 We appreciate your cooperation making ~ 로 하면 안되나요?
답변
네 어감차이가 느껴져요.
1번은 구체적인 누군가 (Tom 또는 Jefff) 를 딱 지칭해서 하는 말 같이 들리고, 2번은 general 한 대상으로 퉁쳐서 감사하다는 말로 들려요.
We appreciate your cooperation in making our company a global competitor. (your 는 구체적인 누군가를 지칭)
We appreciate your cooperation making our company globally recognized. (회사 직원 전체에게 하는 말)
We appreciate your cooperation in making the gym a place everyone can enjoy 위 문장에서 the gym 과 a place 가 함께 사용되어 이상한 것 같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제시하신 문장의 경우 would 를 넣어서 It doesn’t look like there are clothes that would 안녕하세요. Making the gym a place everyone can enjoy 부분은 5형식 문형으로 Make 목적어 (the gym) 목적보어 (a place everyone can enjoy) 의 구조입니다.
즉, 이 헬스장을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곳으로 만들다 는 말이죠. 따라서 the gym 도 필요하고 a place 도 필요한 단어입니다^^
Cases in point 마지막 문장에서 앞으로 협조해 주실 것에 대한 감사이므로 가정법을 써서 we’d appreciate if you could cooperate in making the gym~~ 이라고 해야하지 않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현재 시제인 We appreciate your cooperation도 상대방이 협조해 줄 것이라는 기대를 포함하고 있어 자연스럽고 공손한 표현입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협조를 더 명확하게 요청하고 싶다면, 가정법을 사용해 "We’d appreciate it if you could cooperate in making the gym a place everyone can enjoy."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두 표현 모두 적절하지만, 가정법을 사용하면 요청이 좀 더 부드럽고 정중하게 전달됩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Further Studies 질문 & 답변
"There's not anything really wrong with Jack. Maybe I'm just done with dating." 문장을 "There's nothin really wrong with Jack." 으로 바뀌어 사용하게 되면 뉴앙스가 바뀔까요?
선생님 강의에 심취하고 있습니다. 그 동안 크게 신경쓰지 않았던 뉴앙스/느낌의 차이에 대한 설명이 매우 유용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There's not anything really wrong with Jack. Maybe I'm just done with dating." 의 첫번째 문장을
"There's nothin really wrong with Jack." 으로 바뀌어 사용하게 되면 뉴앙스가 바뀔까요?
영어의 경제성에 대해 들은적이 있는데 - 즉, 같은 내용을 전달한다면 되도록 짧게 기술한다 not anything 보다는 nothing 으로 말한는 것이 더 간단할 것 같은데 굳이 not anything 이라고 하는 이유가 있을 것 같습니다.
항상 친절하고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분명 뉘앙스차이가 느껴집니다. There is not anything really wrong 보다 there is nothing really wrong 이 더 강하고 확신에 차게 들립니다.
다음 문장에서 maybe 만 봐도 뭔가 스스로도 약간은 긴가민가하는 뉘앙스를 줍니다. 경제성도 중요하지만 뉘앙스를 살리기 위해서는 짧은 것이 반드시 좋은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해 원어민이 제시한 distinction 입니다^^
There’s not really anything wrong with this new bike, it just doesn’t feel right. Maybe I should have gotten a scooter instead. ( more hesitation present ) There’s nothing really wrong with this bike, I just don’t like the color. ( more straightforward )
When a second fight scene came up, I was done with the movie. 에서, came out 으로 만약 쓰게 되면 어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요?
[DAY 015-3] When a second fight scene came up
안녕하세요 김재우 선생님, 조교 선생님, 월요일 하루는 잘 보내고 계신지요?
오늘은 복습중에 이 come up 이라는 동사와 come out 이라는 동사의 용법에 자주 혼동이 와서 이렇게 올려 봅니다.
When a second fight scene came up, I was done with the movie. 에서, came out 으로 만약 쓰게 되면 어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요?
come up 과 come out 의 사용법을 정확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이 때는 어떠한 scene 이 등장하다 이기 때문에 come out 은 아예 성립이 되지 않습니다.
Come up 은 대화, 회의 중에 어떤 주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다, 어떤 표현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다, 등장하다, 영화, 드라마에서 어떠한 장면이 나오다, 온라인이나 구글에서 ~을 검색했는데 어떠한 결과물 (식당 등) 이 뜨다, 나오다 등으로 사용됩니다.
Come out 은 친구들 사이에서 ‘너 나올래?’ 라거나 해나 달이 얼굴을 내밀다 라고 할 때도 사용되며, 제품, 서비스가 선보이다, 출시하다 고 할 때 사용됩니다.
"I was done with the movie"와 "I could not watch the movie anymore" 의 뉘앙스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I was done with the movie"와 "I could not watch the movie anymore" 의 뉘앙스 차이가 궁금합니다.
예문처럼 영화를 보는 도중 특정한 이유(예: 너무 무서워서, 지루해서, 내용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등)로 인해 더 이상 영화를 계속보는 것을 참을 수 없게되는 경우에는 I could not watch the movie anymore. 이렇게 쓰는건 어떤가요?
I was done with the movie 를 쓸 때는 만약 표현한다면 어떤 배우가 폭력 사건에 휘말려서 그 배우가 나오는 영화는 더 이상 보기 싫다는 뉘앙스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I was done with the movie 는 대개의 경우 영화의 내용이 너무 폭력적이거나 한 경우에 “더 이상은 못 보겠더라고…”
정도의 상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며 couldn’t watch the movie 보다 훨씬 더 세게 들립니다.
Couldn’t watch 의 경우 다음의 상황에 아주 잘 어울리며 다음 상황에서는 was done with 은 뭔가 어색합니다.
The movie was so scary that I couldn’t watch it anymore and decided to leave the movie theater.’ ‘The sad movie reminded me of my grandmother who passed away. I started crying and had to leave the theater because I couldn’t watch it anymore.’
그리고 아래 말씀주신 부분은 주연배우 등의 행실이 나빠서 그 영화를 보기 싫다는 이야기인데, 그럴 경우에는 be done with 가 그렇게 자연스럽게 들리지가 않습니다.
I was done with the movie 의 경우 대부분 ‘영화를 보는 중간에 어떠한 장면 등으로 인해 더 이상은 못 보겠더라고’ 의 맥락에서 사용됩니다.
switch의 의미를 반을 옮기거나 학교를 옮겨가다 할 때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DAY 15-3] 예문중에서 it's time for me to switch to Line or WhatsApp 라인이나 왓츠앱으로 갈아타야 할 때야 = maybe it's time to switch to either Line or WhatsApp 이런 문장들이 있습니다.
그런데 (나 이번에 다른 랭귀지 스쿨로 옮길까 생각중이야) 이걸 영어로 표현한다면 i'm thinking of moving to another language school this time --> 이걸 switch 사용해서 i'm thinking of switching to another language school this time 이나 i'm gonna to swtich to another lanugage school this time 이런식으로 적용해도 될까요 ?
switch의 의미를 반을 옮기거나 학교를 옮겨가다 할 때도 사용할 수 있을까요 ?
답변
안녕하세요. 네 가능하고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다만 I am thinking of 는 고민중 I am going to 는 거의 결정된 느낌의 차이만 있습니다^^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