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90
명사절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말하기 / 책 307p
I like what you have going on here in the living room.
대표 문장 질문 & 답변
대표 표현 한글이 '여기 거실에 해두신' 이라 저는 what you have done here가 더 먼저 떠오릅니다. 'what you have going on'은 뭔가 진행중인 것같은데... 인테리어가 마무리 안 된건 아닌 것같고. 차이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만만치 않은 질문이군요^^
우선 what you have going on 은 going on 때문에 아직 진행중인, 마무리가 되지 않은 상태의 라고 오해를 할 수 있겠지만, 이미 완료가 된 상태에요. What you have going on 의 경우 You have something going on 인 것인데, 이때 something 은 문맥에서 인테리어나 가구배치 등등을 말하지요. 그래서 인테리어가 going on 이라는 것은 공사가 행위가 진행중이라는 것이 아닌 인테리어가 되어 있는 상태, 가구배치가 되어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우리가 익숙한 what’s going on? 이라는 표현은 진행중인, 되어가는 이라고 해서 완료된 상태가 아닌 것을 말하지만 위의 문맥은 완료된 상태가 맞아요^^
what you have done here 는뭔가 부정적인 느낌이 듭니다. 예를 들어 이 거실에 무슨 짓을 한 거야? (예: 꾸민다고 꾸몄는데 영 보기 좋지 않거나, 어지럽혀 져 있는 등등의 상황)
조금은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혹시라도 찜찜함이 있으시면 또 질문주셔요^^
I like what you have going on here in the living room. 에서 have going on 이 어떤의미로 쓰였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have ~ing 꼴도 낯설어요. have going on을 하나의 표현으로 사용하는 건지 아니면 have ~ing형태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추가예문 부탁드립니다.
답변
I like what you have going on here in the living room. 이 문장은 "have + 목적어 + -ing" 구조를 기반으로 명사절로 변형된 형태입니다.
기본 구조: have something going on have + 목적어 + -ing → 어떤 일을 진행하다 / 어떤 상태를 유지하다
You have something going on. → (네가) 어떤 일이 진행 중이다.
You have something going on here in the living room. → (네가) 거실에서 어떤 일을 진행하고 있다.
명사절로 변형: what you have going on something 을 의문사 what으로 변경하여 명사절로 변형
what you have going on → 네가 진행하고 있는 것
I like what you have going on here in the living room.
→ (네가) 여기 거실에서 진행하고 있는 것이 마음에 들어.(참고로 여기서 진행이란 유지를 의미합니다.)
→ 네가 거실에서 조성한 분위기(인테리어, 배치 등)가 마음에 들어.
추가 예문
기본 구조: have + 목적어 + -ing
I have my dog waiting by the door. (내 강아지가 문 옆에서 기다리고 있어.)
They had some great plans coming together. (그들은 좋은 계획들을 점점 구체화하고 있었다.)
We have an important project moving forward. (우리는 중요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명사절로 변형된 문장: what ~ have/has -ing
I love what I have waiting by the door. (문 옆에서 기다리고 있는 내 강아지가 너무 좋아.)
We were excited about what they had coming together. (우리는 그들이 만들어 가고 있는 계획들에 기대했다.)
Our manager is happy with what we have moving forward. (우리 매니저는 우리가 진행 중인 프로젝트에 만족해한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have + -ing 질문입니다.
[have + 목적어 + -ing] 로 표현하는 것과 [주어 + 동사]로 표현하는 것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I like what you have going on~. 과 I like what you arrange furniture.
이런 식으로 표현하는 것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다른 질문에 답변으로 예문 들어 주신 것 중에
내 강아지가 문 옆에서 기다리고 있어 : I have my dog waiting~.과 My dog is waiting~. 이렇게 표현하는 것에는 어떤 의미 차이가 있는지 상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have +목적어 + -ing = 상황이나 상태에 초점 이 구조는 누군가가 어떤 행동을 해서 만들어낸 상태나 상황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그 상황이나 상태가 진행 중' 이라는 느낌을 주기 위해 사용됩니다.
I like what you have going on here in the living room. → 이 문장에서 have going on 은 '당신이 거실에서 만들어놓은 상태나 분위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즉, "당신이 만든 그 분위기나 상황이 마음에 든다."는 느낌입니다.
주어 + 동사 = 행동에 초점 이 구조는 누가 무엇을 하는지에 집중합니다. 즉, 누군가가 어떤 행동을 하고 있다는 것을 말할 때 사용됩니다.
I like what you arrange in the living room. → 이 문장에서 arrange 는 '배치하는' 행동 자체에 집중한 표현입니다. 즉, "상대방이 배치하는 그 행동을 좋아한다"는 의미입니다.
말씀하신 다른 예문으로 추가 설명해보겠습니다.
I have my dog waiting by the door. → 여기서는 내가 강아지가 기다리게 만든 상황을 강조합니다. 즉, 내가 강아지가 문 옆에서 기다리도록 만든 거죠. 이 문장은 내가 그 상황을 만들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My dog is waiting by the door. → 이 문장은 강아지가 자발적으로 기다리고 있는 상태를 표현한 느낌입니다. 강아지가 스스로 기다리고 있는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비교 예문드리겠습니다:
I have my team working on the project. → 여기서는 내가 내 팀이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만든 상황을 강조합니다. 즉, 내가 팀원들에게 프로젝트를 진행하도록 상황을 설정한 것을 나타냅니다.
My team is working on the project. → 이 문장은 팀원들이 자발적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상태를 표현한 느낌입니다. 즉, 팀원들이 현재 프로젝트 작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have + 목적어 + ing' 는 그 행동을 통해 만들어진 상황이나 상태에 집중하며, '주어 + 동사'는 누가 무엇을 하는지에 집중합니다.
have -ing추가 질문입니다.
[have + 목적어+ -ing] 와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사역동사)]
이 두 가지가 해석이 비슷한 것 같아서 헷갈려서요.. 두가지가 어떤 차이점이 있는 건지, 각각 언제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have 목적어 -ing형태가 많이 사용되는지도 알고싶습니다.
답변
'have + 목적어 + -ing' 와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의 차이점 설명드리겠습니다.
have + 목적어 + -ing (상태, 진행 중인 상황 강조) 이 구문은 직접적으로 시키지는 않았지만, 유도하거나 상황을 만들어서 어떤 행동이 계속 진행되도록 한 느낌을 줍니다. 즉, 그 행동이 자연스럽게 지속되는 상태를 강조합니다.
have + 목적어 + 동사원형 (사역동사, 직접적인 지시 강조) 이 구문은 목적어가 어떤 행동을 하도록 직접 시키거나 지시했을 때 사용됩니다. 즉, "이걸 해!" 라고 직접적인 명령을 내린 느낌입니다.
예문으로 비교 I have my dog waiting by the door. → 강아지가 문 옆에서 기다리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것 (직접 “기다려!”라고 말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기다리게 한 느낌)
I have my dog wait by the door. → 강아지에게 “기다려!”라고 직접 시킨 느낌
I have my team working on the project. → 팀이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하는 상태를 만든 것 (내가 직접 “이거 해!”라고 강하게 지시했다기보다, 자연스럽게 일을 하도록 유도한 느낌)
I have my team work on the project. → 팀에게 직접적으로 “이 프로젝트를 하세요!”라고 지시한 느낌
'have + 목적어 + -ing' 는 자주 쓰이는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특히, 어떤 상태나 분위기를 유지하는 느낌을 강조할 때 많이 씁니다.
몇가지 추가 예시 드려봅니다:
I have the kids playing outside. (아이들이 밖에서 놀도록 두었어.)
I have my phone charging. (내 폰을 충전되도록 놔둔 상태야.)
She had us laughing all night. (그녀 덕분에 우리 밤새 웃었어.)
Small Talk 질문 & 답변
I was worried I had ~ 를 I worried I had ~ 로 바꾸면 의미가 달라 지나요?
답변
I was worried I had ~ • 이 표현은 가장 자연스럽고 일상적으로 자주 쓰이는 구조입니다. • “worried”는 형용사로, “걱정하는 상태였다”, “~했을까 봐 걱정됐다”는 뜻이 됩니다. • 뒤에 I had ~ 같은 과거완료 시제가 오면 이미 벌어진 일에 대해 걱정했던 상태를 표현합니다. 예: I was worried I had said something wrong. (내가 뭔가 잘못 말했을까 봐 걱정했어.) 이런 표현은 감정 상태를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어 회화에서 가장 일반적인 구조입니다.
I worried I had ~ • 이 표현은 문법적으로 가능하지만 말투가 더 딱딱하고 문어적인 느낌입니다. • 여기서 “worried”는 동사이고, “I worried”는 내가 직접 걱정하는 행동을 했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예: I worried I had missed the deadline. (걱정했어, 내가 마감일을 놓친 건 아닐까 하고.) 해당 문장은 가능한 표현이긴 하지만, “I was worried”보다 감정이 덜 부드럽고 행동 중심의 말투가 됩니다. 따라서 글쓰기나 설명문에서는 쓸 수 있지만, 회화에서는 “I was worried”가 훨씬 더 자연스럽고 자주 쓰입니다.
정리드리면, • “I was worried I had ~” → 상태 표현, 감정 전달 중심, 회화체에서 일반적 • “I worried I had ~” → 동작 강조, 딱딱하고 문어적, 다소 드물게 사용 두 표현은 의미상 비슷하지만 표현 방식과 말투에서 차이가 있으며, 일상 대화나 스몰토크에서는 “I was worried ~”가 훨씬 더 자연스럽습니다.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I wish the audience could see what went into this movie.에서 what 이하는 명사절인데 제가 알고 있기로는 what 이하 명사절은 주어가 수반 되어야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여기는 주어가 없이 바로 동사가 나왓습니다. 그래도 되는 건가요?
답변
What 명사절에 주어가 수반되어야 한다는 건 what 의 해당 명사절이 목적어 등일 때 해당되는 말이에요^^
~~ what you are interested in 혹은what you don’t like 등등해서 말이죠. 하
지만 위의 what went into this movie 의 경우 what 자체가 what 명사절이 ‘주어’ 이기 때문에 다음에 바로 동사가 나와야 해요.
Choose what interests you. 너를 관심을 자극하는 무언가를 선택하라. 에서 처럼 말이죠.
This coffee is so different from what you normally find in Seoul. 이 문장을 앞에서 배운 'unlike'를 사용해서 This coffee is quite unlike what you normally find in Seoul. 이렇게 표현해도 되는지요?
답변
가능합니다!! 다만 제시 하신 표현법은 British 영어에서 자주 본듯합니다^^
go into 와 get into 의 용법 차이가 궁금합니다. I wish the audience could see what actually "went into" this movie.(관객들이 이 영화에 실제로 들어간 것을 볼 수 있었으면 합니다.) 정성/노력 등이 들어가다 에 go into 를 쓴다고 하셨는데, get into 와 헷갈리지 않게 조금 더 설명 해주실 수 있을까요?
get into 는 아래와 같이 알려주셨습니다.
89강 에서 아래 문장을 같이 보다 보니 왠지? 헷갈릴 수 있을 것 같아 여쭤봅니다.
(89강) 그는 자신의 가방에 어떻게 마약이 들어갔는지 전혀 모른다고 주장한다. He insists that he has no idea how the drugs "got into" his luggage.
(66강) get into - 어려운 공간에 어렵사리 들어가다, 장애물이나 난관을 극복하고 들어가다, 흥미/관심을 갖게 되다, 싸우게 되다, 깊은/중요한/심각한 이야기 하다 등
(98강) Politics always comes up and we get into a fight.
ex. get into the concert , get into the school someone wanted/preferred , get into rap/the book , get into an argument/a fight , get into that story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합니다!
"go into"와 "get into"는 둘 다 "들어가다"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둘을 구분하는 중요한 차이가 있기도 합니다.
go into의 의미 "Go into"는 어떤 일이나 활동에 들어간 노력, 자원, 정성, 시간 등을 강조하는 표현입니다. 영화처럼 창작 과정이나 프로젝트에서 투입된 노력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문장에서 "went into"는 영화 제작을 위해 쏟은 시간과 노력, 창의성 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예시를 들자면, "What went into making this movie?" (이 영화를 만드는 데 어떤 노력이 들었는지)
여기서 "went into"는 영화 제작에 들어간 모든 자원과 노력을 뜻합니다. 즉, 영화의 완성도를 이루는 과정에서 들어간 상세한 노력에 대한 표현입니다.
get into의 의미 "Get into"는 일반적으로 어떤 장소나 상태로 들어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1) "무엇이 어떤 상태나 장소에 들어갔다"는 의미입니다. 또한,(2) "어떤 일에 흥미를 가지게 되다"라는 뜻으로도 쓰입니다.
그래서 각각 예시를 들자면:
"He got into trouble." (그는 곤란한 상황에 빠졌다.)
"I got into sports last year." (나는 작년에 스포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여기서 "got into" (get into) 는 상태나 공간에 진입하다는 느낌이 강하므로, "What got into this movie?"라고 말하면 영화가 어떤 방식으로 특정 상태에 들어갔는지 (예: 내용이나 메시지가 들어갔는지) 의미가 흐려지고, 영화 제작에 들어간 노력이나 자원을 설명하는 데 적합하지 않습니다.
결론적으로, "go into"는 영화 제작에 투입된 노력과 자원을 나타내는 데 적합합니다. "get into"는 영화가 특정 상태나 장소에 들어가는 것이나 흥미를 가지게 되는 의미로 쓰이는 표현이므로, 이 경우에는 부적합니다.
이 답변이 동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Model examples에서 What
2번 What really went into this movie → 주어자리에 오는 경우
4번 What you normally find in Seoul → What + S + V
5번 What he does for a living → What + S + V
명사절을 만들 때 what + S + V와 what + V의 문법적 차이가 궁금합니다.
답변
what + V 와 what + S + V 의 차이는:
what + V 에서는 what 자체가 문장의 주어 역할을 하며, the thing that (어떤 것) 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여기서 what 이 이미 주어이므로, 뒤에 동사가 바로 오는 것이죠. 보통 '사물' 혹은 '개념 (상황)'을 설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인 I wish the audience could see what really went into this movie.
에서는 '이 영화에 들어간 것' 과 같이요.
what + S + V 에서는 what 이 접속사 역할을 하며, 여기서 what 은 절을 이끄는 역할만 하기 때문에 반드시 주어가 필요한 것입니다. 보통 뒤에 오는 동작이 능동적이며, 주어로는 사람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인 This coffee is so different from what you normally find in Seoul.
에서는 you (당신이) find ([능동적으로] 찾다)
Jorge has explained it many times, but I’m still not really sure what he does for a living.
에서는 he (그가) does ([능동적으로] 하다) 과 같이요.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발음 질문입니다. Model examples 5번에서 성우분께서는 Jorge 를 호르헤?라고 얘기하거든요. 근데 김재우 선생님은 조지라고 하셔서요. 조지 vs 호르헤 어떻게 얘기하면 될까요?
답변
질문 주신 내용은 이름 Jorge의 발음이 언어권에 따라 달라지는 경우에 대한 아주 실용적인 예입니다.
Jorge는 어떤 언어권 사람의 이름이냐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고, ‘조지’도 맞고, ‘호르헤’도 맞습니다.
Jorge가 스페인어나 라틴계 이름일 경우 이 경우 **원어 발음은 “호르헤”에 가깝습니다. 스페인어에서 J는 영어의 h 소리로 발음되고, ge는 ‘헤’처럼 소리 나기 때문에 “호르헤” /ˈxorxe/ 또는 /ˈhɔːrheɪ/ 처럼 발음됩니다. 실제 멕시코, 스페인, 남미권의 Jorge는 이렇게 부릅니다.
Jorge가 영어권에서 사용되는 경우 영어권에서 이 이름을 쓰는 사람들(혹은 미국에서 자란 라틴계 인물) 중에는 “조지”라는 영어식 이름을 자기 영어 이름으로 사용하거나 소개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예: Jorge Rivera라는 사람이 미국에서 자라면서 → “You can just call me George”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 또는, 실제로 George라는 다른 이름이거나, 두 이름을 병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발음이 맞느냐는 질문에는 • 언어권과 인물 설정에 따라 둘 다 가능하다고 보는 것이 정확합니다. • 일반적인 영어 이름으로 말하거나 들을 땐 “조지”라고 이해해도 무방하고 • 해당 인물이 스페인어나 남미계라면 “호르헤”라고 발음하는 것이 원어에 가까운 표현입니다.
둘 다 맞는 표현이니 문맥에 따라 유연하게 받아들이시면 됩니다.
기타 질문 & 답변
명사절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말하기 부분에서 명사절 사용
[Day 90-3] 명사절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말하기 부분에서 명사절 사용
case in point 같이 여러 문장이 있으니 어느 부분에서 명사절을 사용하면 좋을지 잘 모르겠더라구요. 명사절로 바꾸면 좋을 것을 어떻게 분별하고 대화할때 만들면 좋을지 잘 감이 안와서
model example 같은 것도 보면 일하는 곳, 많은 노력, 연봉, 서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 친구 직업 이런 모든게 사실 하나의 명사로 표현하는데 익숙해있고 자주 사용하기 마련인데
좋은 팁이나 어떠한 부분에서 사용하면 좋을지 의견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명사절을 대화에서 잘 활용하려면, 생각이나 의견을 표현할 때는 "I believe that..."처럼, 정보를 전달하거나 질문할 때는 "Do you know what time..."처럼, 그리고 사실이나 상태를 강조할 때는 "It’s amazing how..."와 같은 구조로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명사절 사용은 팁보다는 꾸준한 연습을 통해 자연스럽게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상 대화에서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표현할 때 명사절을 포함해보는 연습을 추천드립니다.
start ~ing 와 start to 동사원형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1) my cat starts tearing things up.
(2) my cat starts to tear things up.
start ing는 행위에 초점이 맞춰지고 start to 동사원형은 ~하기 '시작'한다는 것에 초점이 맞춰지게게 되는걸까요..? 미묘한 차이라 크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해도 될지 혹은 어느정도는 구분하며 사용하는 표현일지 궁금합니다.
답변
일전에 제 카페에서 포스팅한 내용을 공유드려요. 이걸 보시면 이해가 되실 거에요^^
start to 부정사 start ~ing 이 둘 사이에는 미묘한 차이가 느껴집니다.
start to V 막 ~하기 시작했다는 느낌인 반면
start ~ing 는 본격적으로 ~하기 시작했다는 뉘앙스가 전해지는군요.
It started to rain (당시 비가 막 내리기 시작했다) It started raining (당시 비가 본격적으로 내리기 시작했다) 이런 섬세하고도 선명한 뉘앙스의 차이...... 잘 느껴보지 않으면 다가오지 않아요......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