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49
명사 hassle을 통해 번거로움 표현하기 / 책 156p
Transferring twice feels like a huge hassle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1번 문제에 That feels like a big hassle to me. 영작할때 저는 to me 자리에 for me 라고 생각했는데 이 자리에는 for 이 오기에는 어색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부분은 저도 그 동안 많은 관찰도 해보고 원어민들과 이야기를 꾸준히 이어오고 있지만 ‘논리적인 설명’ 은 찾아내지 못한 상태입니다. 철저한 ‘감’ 의 영역이라고 보여집니다.
물론 일부 단편적인 설명을 드릴 수는 있지만 그 때 마다 번번히 예외적인 상황을 발견하곤 합니다. 무어라 딱 집어서 말할 수는 없지만 위 문장은 to me 가 자연스럽고 for me 는 어색합니다.
That sounds like even a better plan to me 도 마찬가지입니다. 이 부분은 저도 계속 관찰해서 문법서를 쓸 때 재밌지만 나름 심도있게 다루어보겠습니다.
Coffee beans are a hassle to pick up if you spill them. 제 생각에 귀찮은 것은 커피원두 자체가 아닌, 그것을 쏟았을때 pick up 을 하는 행위라고 생각하는데, coffee beans are a hassle 이라고 하면, 커피 원두 자체가 성가신 것으로 들릴 수 있지 않을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때 coffee beans 는 pick up 의 목적어이며 To pick up coffee beans are a hassle 로 to 부정사 주어의 보어가 hassle 입니다.
이는 She is easy to work with; curly hair is difficult to style; sales are hard to recover 의 형태와 같다고 보시면 되어요^^^^
Keeping my hair short saves me time and hassle 에서 왜 hassle이 아무 관사없이 쓰였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Hassle 의 경우 대개의 경우 셀수없는 명사로 취급됩니다. 일종의 개념인 것이죠. 위의 예문의 경우 ‘어제 내가 무엇을 한 것이 매우 번거로운 일이었다’ 가 아닌 ‘시간과 번거로움’ 을 덜어준다는 일종의 개념적인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a 가 붙지 않은 거에요^^
이에 반해 오늘 아침, 어제 내가 ~~을 한 게 귀찮았다는 구체적인 것을 이야기 한다면 Doing something was a hassle 이라고 표현하게 된답니다. 관사를 영어라는 언어를 학습할 때 가장 까다로운 부분이니 자주 질문주시고 관찰해보자고요^^
It was such a hassle to get over it every time I went outside. 에서 get over it을 get it over 로 쓰면 다른 뜻이 되나요?
답변
물리적인 장애물을 넘을때에는 get over 장애물 의 어순 밖에 안 되어요. 그들이 늘 이렇게 쓰니 저희도 따라야해요 ㅠ Get it over 는 거의 get it over with (어차피 해야 할 것 같으면 빨리 하고 치우다) 는 형태의 구동사에 국한되어서 쓰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It was such a hassle to get over it every time I went outside." -> "Getting over it was such a hassle every time I went outside." 진주어 가주어 구문을 동명사 주어로 바꿔서 사용해도 되는지요?
"It was such a hassle to get over it every time I went outside."
-> "Getting over it was such a hassle every time I went outside."
진주어 가주어 구문을 동명사 주어로 바꿔서 사용해도 되는지요?
해당 문장뿐만 아니라 다른 문장들도 진주어 가주어 구문 <--> 동명사 주어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지요?
가능하다면 뉘앙스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To 부정사가 진주어 가주어가 아닌 원래 주어 자리에 올 때는 주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경우입니다. "To love another person would be impossible," "To spend time in the garden is relaxing for the mind and the body"의 경우처럼 말이죠. To 부정사가 It ~ to ~의 형태일 경우는 ‘추상적인 상황, 개념’이 아닌 ‘실제 상황, 경험’에 주로 쓰이며, 위의 예시가 이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이럴 때는 동명사 주어와 차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Interchangeable하다는 말이지요.
model examples 3번 - Coffee beans are a hassle to pick up if you spill them. 제 생각에 귀찮은 것은 커피원두 자체가 아닌, 그것을 쏟았을 때 pick up 을 하는 행위라고 생각하는데, coffee beans are a hassle 이라고 하면, 커피 원두 자체가 성가신 것으로 들릴 수 있지 않을지요?”
에 대해: "안녕하세요. 이 때 coffee beans 는 pick up 의 목적어이며 To pick up coffee beans are a hassle 로 to 부정사 주어의 보어가 hassle 입니다."
이는 She is easy to work with; curly hair is difficult to style; sales are hard to recover 의 형태와 같다고 보시면 되어요.”
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to pick up beans is a hassle 가 → beans is a hassle to pick up 가 되면 she is easy to work with 도 마찬가지로 → to work with her is easy 였던건가요?
그럼 to 부정사의 목적어를 주어로 두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마치 ( TO 부정사의 목적어가 주어로 옮으로서 그 강조점을 주어( TO 부정사의 목적어 )로 두는거 같은데 좀 더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에서 나온 내용중 '커피 원두를 담는게 일이지.'
→ Coffee bean are a hassle to pick up. 이 문장 자체가 너무 생소해서 마치 위에 질문처럼 커피가 귀찮은 존재가 처럼 이해가 되거든요 ..ㅠㅠ
이게 제가 질문드린게 다 맞다면 이제 보는 시야를 이렇게 넒혀가도 될까요?
to work with her is easy → she is easy to work with. (추상적 상황, 개념) [she를 강조]
it is easy to work with her. (실제상황, 경험) [상황을 강조]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She is easy to work with.은 to 부정사의 목적어를 주어로 옮긴 형태이며, 이를 원래 구조로 표현하면 To work with her is easy. 가 됩니다. 또한, 말씀하신 것처럼 가주어 it을 써서 It is easy to work with her. 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 세 가지 형태는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전달하지만, 문장이 강조하는 부분과 뉘앙스가 약간 다릅니다.
왜 각각 이렇게 쓰일 수 있는지 이해를 도와드리기 위해 이 세가지 형태를 하나씩 분석해드리겠습니다.
She is easy to work with.
이 문장은 주어 She 에 초점을 둡니다.
그녀가 협력하기에 쉽다는 점을 강조하며, 상대방이 그녀와 일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느끼도록 표현합니다.
대화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 문장이 가장 적합합니다:
A: How is your new teammate? B: She's great! She's easy to work with.
즉, 새 팀원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하는 질문에 답하고 있으므로, 그녀의 성격이나 태도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She is easy to work with." 가 가장 적합한 것이죠.
To work with her is easy.
이 문장은 문장의 주어를 To work with her로 바꿔서 행동(그녀와 일하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상대적으로 더 공식적이고, 문어체에 가깝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논리적으로 강조를 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 문장이 가장 적합합니다:
A: Is working with her challenging? B: Not at all. To work with her is easy and efficient.
즉, "그녀와 일하는 것"이라는 행동 자체에 대한 난이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행동을 강조하는 구조가 적합한 것이죠.
It is easy to work with her.
이 문장은 it 을 가주어로 사용하여 문장 전체를 부드럽게 시작하고, 행동(그녀와 일하는 것)을 뒤에 설명하는 구조입니다.
경험이나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할 때 적합합니다.
She is easy to work with. 보다 덜 개인적이고, 더 중립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 문장이 가장 적합합니다:
A: I heard she's part of the new project team. How is it working with her? B: It is easy to work with her. She's very organized and cooperative.
즉, "그녀와 일하는 게 어떠냐"는 전반적인 경험을 묻고 있기 때문에, 주어를 특정 인물이나 행동이 아니라 "it"으로 시작하여 상황 자체를 설명하는 표현이 적합한 것입니다.
요약해드리자면:
She is easy to work with.
인물(그녀)을 중심으로 대화할 때 적합합니다.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어 할 때 사용하는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To work with her is easy.
행동(그녀와 일하는 것)을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할 때 적합합니다.
공식적이고 진지한 대화나 글에서 더 어울립니다.
It is easy to work with her.
경험이나 상황을 중립적이고 일반적으로 설명할 때 적합합니다.
가주어 it 을 사용하여 문장을 부드럽게 시작하면서, 후반부에 세부 사항을 덧붙이는 구조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model examples 5번 - "It was such a hassle to get over it every time I went outside." → "Getting over it was such a hassle every time I went outside." 진주어 가주어 구문을 동명사 주어로 바꿔서 사용해도 되는지요? 해당 문장뿐만 아니라 다른 문장들도 진주어 가주어 구문 ↔ 동명사 주어로 바꾸는 것이 가능한지요? 가능하다면 뉘앙스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위에 질문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을 주셨는데
"To 부정사가 진주어 가주어가 아닌 원래 주어 자리에 올 때는 주로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경우입니다. "To love another person would be impossible," "To spend time in the garden is relaxing for the mind and the body"의 경우처럼 말이죠. To 부정사가 It ~ to ~의 형태일 경우는 ‘추상적인 상황, 개념’이 아닌 ‘실제 상황, 경험’에 주로 쓰이며, 위의 예시가 이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이럴 때는 동명사 주어와 차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Interchangeable하다는 말이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대로, She is easy to work with.은 to 부정사의 목적어를 주어로 옮긴 형태이며, 이를 원래 구조로 표현하면 To work with her is easy. 가 됩니다. 또한, 말씀하신 것처럼 가주어 it을 써서 It is easy to work with her. 로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이 세 가지 형태는 기본적으로 같은 의미를 전달하지만, 문장이 강조하는 부분과 뉘앙스가 약간 다릅니다.
왜 각각 이렇게 쓰일 수 있는지 이해를 도와드리기 위해 이 세가지 형태를 하나씩 분석해드리겠습니다.
She is easy to work with.
이 문장은 주어 She 에 초점을 둡니다.
그녀가 협력하기에 쉽다는 점을 강조하며, 상대방이 그녀와 일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느끼도록 표현합니다.
대화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형태로,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뉘앙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 문장이 가장 적합합니다:
A: How is your new teammate? B: She's great! She's easy to work with.
즉, 새 팀원이 어떤 사람인지 궁금해하는 질문에 답하고 있으므로, 그녀의 성격이나 태도를 중심으로 표현하는 "She is easy to work with." 가 가장 적합한 것이죠.
To work with her is easy.
이 문장은 문장의 주어를 To work with her로 바꿔서 행동(그녀와 일하는 것)에 초점을 맞춥니다.
상대적으로 더 공식적이고, 문어체에 가깝습니다.
특정 상황에서 논리적으로 강조를 하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 문장이 가장 적합합니다:
A: Is working with her challenging? B: Not at all. To work with her is easy and efficient.
즉, "그녀와 일하는 것"이라는 행동 자체에 대한 난이도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데 목적이 있으므로, 행동을 강조하는 구조가 적합한 것이죠.
It is easy to work with her.
이 문장은 it 을 가주어로 사용하여 문장 전체를 부드럽게 시작하고, 행동(그녀와 일하는 것)을 뒤에 설명하는 구조입니다.
경험이나 상황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을 할 때 적합합니다.
She is easy to work with. 보다 덜 개인적이고, 더 중립적인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는 이 문장이 가장 적합합니다:
A: I heard she's part of the new project team. How is it working with her? B: It is easy to work with her. She's very organized and cooperative.
즉, "그녀와 일하는 게 어떠냐"는 전반적인 경험을 묻고 있기 때문에, 주어를 특정 인물이나 행동이 아니라 "it"으로 시작하여 상황 자체를 설명하는 표현이 적합한 것입니다.
요약해드리자면:
She is easy to work with.
인물(그녀)을 중심으로 대화할 때 적합합니다.
상대방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어 할 때 사용하는 일상적이고 자연스러운 표현입니다.
To work with her is easy.
행동(그녀와 일하는 것)을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설명할 때 적합합니다.
공식적이고 진지한 대화나 글에서 더 어울립니다.
It is easy to work with her.
경험이나 상황을 중립적이고 일반적으로 설명할 때 적합합니다.
가주어 it 을 사용하여 문장을 부드럽게 시작하면서, 후반부에 세부 사항을 덧붙이는 구조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Model example 조금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Model example 4번 머리를 짧게 하면 아침에 시간도 아끼고 번거롭지 않다 라고 하면 영작에 hassle을 부정으로 사용 해야하는거 아닌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영어에서 "save someone time and hassle" 라는 표현은 자주 쓰는 표현이에요. "hassle"은 부정적인 개념이긴 하지만, 이 문장에서는 save me hassle이기에 부정어(no, not) 없이도 자연스럽게 부정의 뉘앙스가 포함됩니다.
비슷한 예문 공유드립니다.
Taking the subway saves me time and hassle. (지하철 타면 시간도 절약되고 덜 귀찮아.)
Using a meal kit saves you the hassle of grocery shopping. (밀키트를 쓰면 장보는 번거로움이 없어.)
Small Talk 질문 & 답변
1번에서 아침에 운동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업무 집중도 더 잘 돼. 라는 문장에서 Working out in the morning makes me ~ 이렇게 영작을 했었는데, 괜찮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네네 if 절을 이렇게 동명사로 바꿔어 Working out in the morning puts me in a good mood 또는 working out in the morning makes me feel better 로 해도 너무나 자연스럽습니다.
모든 if 절을 동명사주어로 바꿀 수 있다는 일반화는 어렵지만 많은 경우 가능하기에 부단히 관찰하고 연습하시고 자주 질문주셔요^^ 감사드려요!
'When I work out in the morning, it puts me in a good mood,…’ 문장에서 when을 if로 바꾸면 뜻이 달라지나요? 한글로 ’~하면’으로 해석되는 문장에서 when / if 중 어떤 걸 써야 하는지 고민될 때가 많은데, 혹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질문은 그 동안 자주 받아왔어요^^ When 을 쓰게 되면 화자가 그 행위를 제법 자주, 주기적으로 하는 느낌이 들어요. If 를 쓰게 되면 ‘실제 그런 일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는 어감이 사라집니다. 둘 다 맞는 문장이지만 when 을 쓰면 주기적, 반복적 또는 종종 그런 일이 있다는 어감. If 를 쓰면 그런 일이 자주 있다는 뉘앙스가 사라짐. 이렇게 정리하시면 될 듯 해요.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Getting tested in America was the biggest hassle of my trip.에서 Getting test라고 써도 되는 걸까요? 동명사 주어라면 <동명사+명사>라서 그냥 -ed붙이지 않고 쓰면 안 될까 궁금해서 올려봅니다
답변
Get a test 라고 하면 무언가 procedure 적인 어감이 느껴집니다. 코로나 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에 가야 한다 와 같은 느낌. To get a test, you need to visit ~~~ 해당 맥락의 경우 개인의 직접 경험, 행위를 표현한 것이기에 get tested 가 훨씬 더 자연스럽게 들려요^^
이번 편의 관용어구인 it costs an arm and a leg를 설명해 주시면서, super expensive나 I can’t afford it 을 쓸 수도 있다고 하셨습니다.
한국인의 느낌일 수도 있지만, it costs an arm and a leg나 super expensive 는 그 자체가 비싸다는 점만 말한 느낌이 드는 반면, I can’t afford it 은 너무 비싸서 결국에는 그 검사를 받지 못했다는 의미가 포함된 것처럼 느껴져서
답변
네 맞아요. Cost 를 쓰게 되면 그 자체가 비싸다는 것이 강조되게 들리는데 반해 Can’t afford 는 내가 형편, 능력이 안 된다는 것이 더 강조되게 들려요. 정확하셔요!
They had a shortage of PCR tests를 They were short on PCR tests 로 바꿔써도 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충분히 가능하며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Case in point에서 in time for my flight 사용해도 되는지요?
Case in point에서 and I couldn't get a result in time before my flight. ~ "한국으로 돌아가는 비행 편에 맞춰서 검사 결과가 나오지를 않았지요."
저는 "비행편에 맞춰서"를 in time for my flight 라고 생각했어요. before my flight는 비행 전에 라고 생각이 들었고요.~~
in time for my flight 사용해도 되는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문장의 경우 in time before 와 in time for 둘 다 99% 비슷하게 느껴져요. 둘 다 너무 자연스럽고 의미차이도 거의거의 없다고 보시면 되어요^^
역시 열공을 하시더니 자연스럽게 in time for 가 입에서 나오시나 보네요. 넘 좋습니다!!!
기타 질문 & 답변
go well 과 work out 의 차이 : 둘 다 일이 잘풀렸다는 뜻으로 사용가능한데 어떤 뉘앙스에 차이가 있나요 ?
답변
Go well은 일이 계획대로 잘 진행되었거나 진행되기를 바라는 뉘앙스, Work out은 아직 일이 긍정적으로 모두 끝났을 때, 해결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ing에 대하여
추가학습창에서 현재완료를 다른 시각에서 설명하시면서 두 문장을 예문으로 말씀하셨습니다.
1. I recently bought a new phone and changed my number. It's been a hassle telling my friends, and informing my credit card companies.
2. I started brewing my own coffee at home and I've saved a lot of money not going to Starbucks twice a day.
저의 질문은… 각 문장에서 telling과 going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1번에서 it 은 앞 문장을 받은거라 생각합니다. Telling 이 to 부정사도 아니기 때문에 it이 가주어도 아닐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Hassle ~ing 라는 게.. 있는 건가요? 아님.. 분사구문? 이런 것 일까요?
영어를 접하다 보면 이렇게 ~ing가 갑자기 튀어나올 때가 있는 거 같습니다. 전치사 뒤, 동명사, 구문 등등의 이유가 아닌 거 같은데 말입니다… 2번 문장에서는 혹시 spend time/money ~ing처럼 save도 혹시 이런 문형으로 쓰여 going 이 나온 것일까요…?
답변
말씀하신 예문들에서 telling 과 going 은 각각 동명사입니다.
각 문장에 대해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I recently bought a new phone and changed my number. It's been a hassle telling my friends, and informing my credit card companies.
여기서 telling my friends (새로운 번호를 친구들에게 알리는 일) 그리고 informing my credit card companies (새로운 번호를 신용카드 회사에 알리는 일) 가 화자가 말하는 hassle (번거로운 일) 을 설명하는 구체적인 예시입니다.
즉, telling my friends, and informing my credit card companies 가 hassle 의 보어역할을 하는 동명사구인 것입니다.
I started brewing my own coffee at home and I've saved a lot of money not going to Starbucks twice a day.
여기서 not going to Starbucks twice a day (스타벅스에 두 번 가지 않는 것) 은 화자가 save a lot of money 에 도달할 수 있었던 방법입니다.
즉, not going to Starbucks twice a day 는 saving money를 '어떻게' 했는지 설명하는 부사적 동명사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Coffee beans are a hassle to pick up 커피콩을 주셔 담는 것이 hassle인데 위 문자은 위내용과 맞지 않는것 같은데 어떻게 이해해야 하나요
답변
말씀 주신 문장의 의미와 구조가 조금 헷갈릴 수 있는데요,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A is a hassle to + 동사원형" 구조는"A는 ~하기에 번거롭다/귀찮다" 는 의미를 나타내며, 해당 문장에서 ‘pick up’ 은 동작, ‘a hassle’은 감정·불편 을 나타냅니다.
즉, 이 문장은 말 그대로 번역하면 "Coffee beans are a hassle to pick up." = "커피콩은 줍는 데 번거로움(hassle)이 된다.” 는 뜻입니다. (= 커피콩 줍는 건 정말 귀찮다!)
표현이 조금 간접적이라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문장은 말하는 사람의 불편한 감정을 간단하고 일상적인 영어로 표현한 좋은 예입니다.
같은 구조의 예문들도 한번 볼게요: • These papers are a hassle to organize. (이 서류들 정리하기 귀찮아.) • Long passwords are a hassle to remember. (긴 비밀번호는 기억하기 어렵고 귀찮아.)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