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44
동사 use를 이용해 넌지시 필요성 말하기 / 책 165p
I could really use a cup of coffee
대표 문장 질문 & 답변
I could really use ~ 이 패턴을 의문문의 형태로 사용 가능한가요?
예문 중에 we could use John.
이걸 could I use john? 이렇게 가능한가요?
답변
I could really use 는 직접적인 요청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필요함을 표현하는 표현이다보니 의문문 형태로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즉, Could I use ~ ? 는 문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필요하다' 보다는 use 의 원래 뜻인 '사용하다' 혹은 '이용하다' 로 해석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기에 We could use John's help. 라고 한다면 "존의 도움이 필요해." 라는 의미가 전달이 되지만 Could I use John? 이라고 한다면 "존을 사용할 수 있을까?" 라는 의미가 되어 부자연스럽고 어색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use 다음에는 사물이 오는 경우가 많고, 사람을 직접 use 하는 표현은 부자연스럽습니다 (예를 들어, We could use John. 역시 의문문이 아니더라도 John 이라는 사람을 썼기에 부자연스럽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I could use your help moving this desk. help의 용법에서 바로 뒤에 목적어를 취할 때 'to부정사'나 'to 생략된 형태의 동사원형'이 나온다고 알고있었는데, 여기서는 ing가 나와서요.
이 문장에서 help가 동사로 쓰이지 않아서 뒤에 ing가 올 수 있었던 건가요? 많이 헷갈려서 계속 넘겼는데 확실히 알아두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Something helps to V (Something 은 to 부정사 하는데 도움이 된다) I can help you (to) do something : 네가 ~하는 것을 도와 줄 수 있다. 하지만 위의 경우 관용적인 덩어리에요. 또다른 rule 이 적용됩니다. I could use (your; some) help ~ing: ~~ 하는 데 있어서 ~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렇게 정리해두시면 깔끔합니다^^
You look like you could really use some time off. You look like 대신 It looks like라고 해도 될까요?
답변
가능하며 뉘앙스도 거의 비슷합니다. You 로 시작하는 것이 좀 더 person 에 focus 가 가는 표현 방식이지만, 거의 차이가 없다고 보여집니다.
그럼에도 위의 문장은 You look like 가 압도적으로 더 많이 사용됩니다. 결국 사람을 보고 하는 말이기 때문이죠. It looks like 는 생김새는 시각적인 모양새를 띠지만 뭔가 ‘전반적인 상황’ 에 focus 가 가 있습니다.
44-1 의 예문인 네가 좀 도와줄 수 있을까? 라는 한국어 문형에 맞게 Could I use your help? Could I really use a break?나 처럼 의문문으로 표현 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아, 이건 완전히 어색하게 들립니다! ㅠ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어요.
다만, 자기 자신에게 속으로 묻는 질문으로는 가능합니다^^
I hardly slept last night. 에서 hardly 대신 barely를 사용해도 될까요? hardly와 barely의 용법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Hardly 는 거의 대부분 ‘부정적인 느낌’ 을 주는 단어입니다. I hardly watch any television, apart from news and current affairs. (난 ~ 빼면 tv 는 거의 보지 않는다) 즉, 않는다에 초점이 있습니다.
Barely 의 경우 겨우, 가까스로 이긴 하지만 ‘그렇다’ 는 느낌입니다. This is something I can barely afford 라고 하면 (부담스럽기는 하지만 살 수는 있는) She is barely 3 years old 라고 하면 (이제 겨우 이기는 하지만 어쨌든 세살 입니다)
I hardly slept 는 거의 못 잤다는 것을 강조하는 반면 Barely 의 경우 많이는 아니라고 자긴 잤다는 느낌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다르게 들립니다^^
I hardly slept last night. I could really use a coffee. 여기서 a coffee 대신 some coffee / Honestly, I could really use a break. Are you down for some coffee? 여기서 a break 대신 some break, some coffee 대신 coffee로 말해도 될까요?
답변
Some coffee 가능합니다.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a break 는 some 으로 교체할 수 없어요.ㅠ 정말 어색하게 들립니다.
Are you down for some coffee 에서 some 을 뺄 수는 있습니다. 문법적으로는요. 하지만 그 동안 원어민들과 대화하면서 빼고 이야기 한 친구는 제 기억으로는 없었던 것 같아요!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I just can't figure out where this story is going. 저는 이 문장을 I just can't figure out where this story is going to. 이렇게 영작했는데요. 뭔가 '어디로' 가는지 모른다는 방향성 같은 느낌으로 넣었는데 틀려서요. 왜 to가 없어야 하는지요.
답변
Where are you going? 이라고 하지 Where are you going to 라고 하지 않는 것과 같아요. Go 다음에 일반명사가 나오면 to 가 있어야 하지만 where 와 같은 의문부사 또는 home 과 같은 일반부사가 나오면 전치사가 있으면 안 되어요^^
저는 You know that novel I've been working on? 문장을 "제가 쓰고 있는 소설 아시죠?" 와 같이 생각을 했는데, 왜 문장의 뜻이 "제가 소설 쓰고 있는거 아시죠?"가 되는지 설명 좀 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Work on 이라는 구동사에는 무수히 많은 용법이 있습니다. Work on 자체에 책을 쓰다라는 의미가 있다기 보다 무엇을 집중해서 하다, 집중적으로 하다는 포괄적인 의미가 내포되어 있어요. 우리말도 정직하게 책을 쓰고 있다는 표현이 있고, 책 작업을 하고 있다는 표현도 있듯이 Write 라는 영단어는 쓰다 라는 제한적인 의미만 있는 반면 work on 은 목적어에 따라 다양하게 번역될 수 있어요.
실제로 원어민들이 ‘제가 요즘 책쓰고 있어요’ 라고 하면 I am working on a book 이라고 하는 것을 볼 수 있답니다. 유명 감독이 제가 새로운 작품 시나리오를 쓰고 있다고 할 때도 I am working on a script 라고 하고요.
You know that novel I’ve been working on? 을 You know that I’ve been working on that(this)novel 로 할 수는 없나요?
답변
You know that I’ve been working on that novel? 도 문법적으로 맞지만, 원문인 You know that novel I’ve been working on? 과는 뉘앙스 차이가 있어서 조금은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You know that novel I've been working on?
that novel 을 문장 앞부분에 두어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을 만한 특정한 소설을 상기시키는 표현입니다.
즉, "내가 작업 중인 그 소설 말이야, 알지?" 라는 뉘앙스로, 상대방이 이미 알고 있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You know that I've been working on that novel?
that I’ve been working on that novel 은 상대방이 내가 소설을 작업 중이라는 사실 자체를 모를 수도 있다는 뉘앙스를 줍니다.
즉, "내가 그 소설을 작업하고 있다는 걸 알고 있어?" 라는 뜻에 가까워집니다.
Cases in point 문맥을 보면, 화자가 소설을 작업 중인 사실을 이미 알고 있는 상대방에게 고민을 털어놓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You know that novel I’ve been working on? 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Further Studies 질문 & 답변
I could really use a coffee. / I could really go for coffee. 두번째 문장에서는 some coffee나 a(cup of) coffee 도 아닌 왜 그냥 coffee로 쓰였을까요...? 바로 아래 문장의 '맥주가 당긴다' 고 할때는 go for a cold beer 라고 해서 더 궁금증이 생깁니다.
이 문장에서 help가 동사로 쓰이지 않아서 뒤에 ing가 올 수 있었던 건가요? 많이 헷갈려서 계속 넘겼는데 확실히 알아두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2번의 경우 역시 go for some coffee나 a coffee 가 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는 some coffee가 가장 일반적이라고 봅니다. 다만, 우리말도, 커피 한 잔 했으면, 커피가 당긴다, 커피 좀 먹었으면 과 같이 표현방식에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는 것과 같다고 이해해주시면 되겠습니다.
right about now 와 right now의 차이가 뭔가요??
답변
Right now : 지금 이 순간, 바로 이 시간에 (immediate, precise) 더 직설적이고 직접적인 표현입니다.
I need a break right now. (지금 당장 쉬고 싶어.)
Right about now : 바로 지금쯤, 이 즈음 (just around now) 조금 더 느슨하고 말하는 톤이 자연스럽고. 약간의 여유나 감정이 섞여 있습니다. 감정, 분위기, 바람 등이 더 강조된 말투입니다.
I could really use some soju right about now. (지금쯤 소주 한 잔 딱 필요해~)
만약 right now를 썼다면 좀 더 급하거나 진지한 느낌이 듭니다.
기타 질문 & 답변
The ice cream could really use some chocolate syrup. / The ice cream calls for some chocolate syrup 위의 문장과 아래의 문장의 의미 차이가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Calls for 를 쓰게 되면 이 아이스크림에는 초콜릿 시럽을 넣는 게 맞다… 즉, 기본적으로 그렇다 (recipe 가 그렇다) 는 어감인데 반해 could use 는 주관적인 느낌이 강합니다.
즉, 넣으면 더 좋겠다…. 의 어감의 차이가 있습니다^^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