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04
부사 super를 이용해 강조 표현하기 / 책 41p
Everything is getting super expensive.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All the neighborhoods in Seoul are super expensive.를 Everywhere in Seoul is super expensive. 로도 쓸수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가능합니다. 원문이 조금 더 구체적인 표현방식, 제시문은 조금 두루뭉술한 표현방식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튜브로 늘 보기만 하다가 결심하고 선생님의 교재와 강의까지 듣게된 숨은 진팬 학습자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튜브로 늘 보기만 하다가 결심하고 선생님의 교재와 강의까지 듣게된 숨은 진팬 학습자입니다. >_<
늘, 설명 너무 말끔하시고 저도 사실 영어는 못하면서 꿈만 통번역대학원 가져봤던 사람이라, 선생님께서 그간의 경험담과 과정들 속에서의 모든 고뇌들이 super super super 와닿는 일인입니다.
그리고, 이곳 Q&A 게시판도 저의 further studies로 활용되고 있는데요. 다른 분들이 쓰신 질문 보면서, 또 거기에 답글 달아 주신거 매 강의 번호마다 찾아서 아! 맞다! 맞다! 아~ 나도나도! 이러면서 정말 즐겁게 공부하게 도와주시고 계십니다^^
앗>.< 말이 길었네요;; 다름이 아니라 가끔씩 영작할때 주어를 눈에 보이는 한국말 그대로 옮겨야 하나, 아니면 그 숨은 관계를 파악해서 옮겨야 하나 고민하게 되는데요.
5번 문장에서, "서울은 어디라도 다 비싸. 근데 후암동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이지."
여기서, 주어를 "서울"로 잡으면 안된다는 건 살짝 느껴지거든요? 사실 서울 땅값 자체가 비싸다는 말이 아니라 물가같은게 비싸단거니까, 여기선 문장속에서의 숨은 내용을 파악해서 주어를 물가나 everything 같은 것으로 잡았는데요..
문제는, 뒷문장..... 선생님께서도 앞문장은 그렇게 잡아 주셨는데, 뒷문장을 그냥 주어를 "후암동"으로 잡으셨더라고요.. 사실 영어 문장 여럿 접하다보면, 어떤때는 숨은 주어를 찾고, 어떤때는 그냥 명시적으로 보이는 한국어로 잡더라고요>.< 아웅~~~
여기 뒷문장에서 주어를 "후암동"으로 잡으신 연유를 여쭙고 싶고요. 제가 말이 잘 전달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주어 잡을때 이런 경우들이 꽤나 생기는데, 그때마다 그냥 편하게 한국어말로 주어를 잡아도 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좋게만 봐주셔서 송구합니다^^ 해당 문장의 경우 사실 앞의 것과 뒤의 것 모두의 주어가 ‘동네’ 입니다.
고객님께서 말씀 하신 서울 물가 같은 것이 비싼 경우 상세 기술을 할 경우 Prices for everying are expensive in 서울 등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퉁치는 자연스러운 표현법은 Seoul is expensive 라고 해도 좋습니다.
후암동을 주어로 잡은 것 역시 마찬가지 논리인데요. 엄밀히 말하면 housing, food prices in 후암동 이라고 해야 하겠지만 실제로는 이걸 한 묶음으로 후암동 is cheap, 서초동 is expensive 라고 많이들 합니다.
이것이 바로 구어 영어의 첫번째 특징인 자세히 기술하지 않는다에 해당하고요. 제 책 다른 곳에도 있지만 백화점 물건은 비싸다 역시 그냥 Department stores are expensive 라고 하는 것과 본질적으로 같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 니콜라스 선생님이 주신 말씀이니 참고하세요.
아무튼 답변 늦어 죄송하고 구동사 집필 마치면 지금보다는 조금 더 빠른 답변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ㅠ
One thing I’ve noticed teaching Koreans is that all too often, in spoken conversations, students will go into far greater detail than is necessary.For example, they might say, “The prices of goods in department stores are too expensive”, when “department stores are expensive” will do. Another student was afraid of saying “I’m hot”, and would instead be very clear by saying, “It is hot in here.”I think this comes from a fear of being misunderstood. Language learners don’t want the listener to have the wrong impression, or to be laughed at for saying something awkwardly. I totally get it. You don’t want people to think you’re buying department stores, and you don’t want to call yourself sexy. But if you want my advice, I would say, look and listen carefully for signs of understanding. Your listener will usually signal to you when they’re ready to move on in the conversation, and if you make a small mistake, they usually give the benefit of the doubt.
만약에 어떤 연예인을 보고 걔 진짜 예쁘더라 하면 She was super pretty가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 너무너무 좋은강의 감사합니다 매일매일 열심히 듣도록 하겠습니당 미리 들을껄 생각이 들지만 지금도 늦지않았다고 생각하고 열심히 듣겠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Day 4에서 내가 어떤 연예인 봤는데 걔 키가 되게 크더라 할때 He was super tall이라고 알려 주셨는데 저한테는 그게 과거형이라서 걔가 예전에 키가 컸었어 라는 말도 안되는 말로 느껴지더라구요 ㅠ
만약에 어떤 연예인을 보고 걔 진짜 예쁘더라 하면 She was super pretty가 되는 걸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지난 달에 한소희라는 배우를 봤는데 예뻤다 라고 하면 She was pretty 라고 해서 was 외에는 맞는 시제는 없습니다^^
제시하신 한 글 예전에 키가 컸었는데 지금은 쪼그라들어 작아졌다라는 극단적인 상황에서는 She used to be tall, but ….. 이라고 할 수는 있습니다.
He was super tall 은 내가 그를 지난 달에 봤는데 키가 무지 크더라고 할 때 딱 맞는 시제표현법입니다.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Day4 예문 중 'All the neighborhoods in Seoul are super expensive' 라는 문장이 있는데 여기서 neighborhood라는 단어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항상 친절하고 상세한 답변에 수업 효과가 두 배가 되는 것 같습니다.
Day4 예문 중 'All the neighborhoods in Seoul are super expensive' 라는 문장이 있는데 여기서 neighborhood라는 단어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이 문장에서 neighborhoods는 제가 사전적으로만 알고 있던 '이웃'이라는 뜻으로는 너무나 어색한 의미가 되는 것 같습니다. 사전에 검색되는 '지역, 지방'이라는 의미도 저희가 추구하는 자연스러운 영어에는 의미가 잘 대입이 안됩니다.
개인적으로는, 한국어를 할 때 자주 쓰는 '동네'라는 의미로 생각하고 '서울은 온 동네 어딜가든 비싸' 라고 받아들이고 넘어갔는데 후에 복습 할 때마다 neighborhood 라는 단어가 찝찝하게 남아있습니다. 원어민들은 이 단어를 어떤식으로 사용하고 받아들이는지 궁금합니다. "내가 너희 동네로 갈게. 너가 우리 동네로 올래?"처럼 사용해도 될까요? 원어민들은 이 단어를 어떤식으로 사용하고 받아들이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지난 달에 한소희라는 배우를 봤는데 예뻤다 라고 하일전에 같은 질문을 받은 적이 있어서 원어민에게도 설명을 부탁드렸더니 다음과 같은 답을 주었습니다. 예전 포스팅 내용이오니 잘 읽어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we don’t use it in the exact way that 동네 is used in Korean. However it is used very similarly! :) While a city is large – a neighborhood is much smaller. It is usually used in description instead of a question like the person asking the question proposed.
A new café just opened in my neighborhood, do you want to check it out?
Your house is going to be a great addition to the neighborhood.
What kind of neighborhood did you grow up in?
I’m going to the neighborhood community center for a meeting.
‘neighbor’ I used about people who live next to us. ‘next-door neighbor, upstairs neighbor, downstairs neighbor, etc.’ If you want to say something like 내가 너희 동네로 갈게. 너가 우리 동네로 올래 – you could use ‘neighborhood’ however it would be more common just to reference that person’s house or the name of their town.
‘I’ll head over to your place. Or do you want to come over here?’ I’ll head over there. Do you want to meet at your place or mine? These would all be good phrases to use in that context.
Day4-1의 for an old guy 라고 쓰는 부분 어감이 좀 듣는 사람에 따라 기분 나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이 부분을 over your age라고 하면 어떤 늬앙스 일까요? "You are in super good shape over your age!"
답변
안녕하세요. Over your age 라고 하면 문법이 incorrect 하게 되기 때문에 You’re in great shape for your age 가 좋은 대안입니다. 하지만 아주 친하고 격의 없는 상황이 아니라면 애초부터 age 라는 단어를 언급하지 않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냥 You’re in great shape 하고 말을 끝내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책에 이런 예문을 실은 것은 실제로 삶을 살다보면 offensive 한 말도 (의도치 않게) 내 뱉게 되고 이로 인해 사람간에 감정도 상하게 되고, 틀어지고… 그런 좀 더 ‘현실적인 내용’ 을 담기 위함이었다는 점 너그러이 이해 부탁드립니다.
사실 다수의 대중과 함께 하는 ‘책’ 의 형태가 아니라면 정말 원없이 더 자연스럽고 현실적인 문장과 표현들을 더 담고 싶지만 도서출판이라는 점을 잘 기억하면서 집필을 해야 하기에 그런 부분은 많이 절제하고 자제했습니다.
다음 책에서도 좀 더 자연스럽고 현실적인 표현과 문장을 최대한 많이 공유드리기 위해 정교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고맙습니다.
He has been super busy ~ / He is losing ~ 왜 앞에는 has been이고 뒤에는 is 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Is losing; has been losing 다 되지만 어감의 차이가 있습니다. Is losing interest 가 좀 더 최근의 느낌이 듭니다. 말 그대로 ‘최근 들어 부쩍’ 의 느낌이 강하게 전달됩니다.
Has been losing 이라고 하면 상대적으로 긴 시간의 (over a period of time) 느낌입니다.
지금 비가 오고 있다 를 I’s raining 이라고 하며 목요일부터 계속 오고 있다는 It’s been raining since Thursday 라고 하는 것을 생각해 본다면 조금은 더 선명해 질거에요^^
You're in super good shape for an old guy에서 'for'이 'considering'의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설명해주셨는데, 그렇다면 아래 예문도 considering -> for로 대체가 가능할지, 그럼에도 considering을 사용해야 더 자연스러운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You're in super good shape for an old guy에서 'for'이 'considering'의 뜻으로 사용되었다고 설명해주셨는데, 그렇다면 아래 예문도 considering -> for로 대체가 가능할지, 그럼에도 considering을 사용해야 더 자연스러운 표현인지 궁금합니다.
Your English is quite good, especially considering you've never lived abroad.
Your English is quite good, especially for not having lived abroad.
답변
안녕하세요. Considering 의 쓰는 경우에는 뒤에 절의 형태 (정보의 양이 많을 때) 인데 반해 for 를 쓸 때에는 단일 명사등이 나오게 됩니다.
따라서 위의 문장의 considering 을 for 로 바꾸어도 대충 뜻은 통하겠지만 실제 원어민들은 considering 을 쓰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For 는 단일명사가 뒤에 따라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You look young for you age 처럼요^^
옛날에 "나이에 비해"라는 말은 for your age로 쓰면 된다고 들었는데 책에서는 for an old guy로 나왔더라구요. For an old guy는 좀 무례하게 느껴지는데 제 느낌이 맞나요? 둘의 어감 차이가 있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말씀주신 부분이 일정부분 맞습니다.
For an old guy 라는 표현을 직접 그 대상이 되는 사람에게 쓰게 될 경우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서 offensive 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다만 원어민들 말을 들어보면 for an old lady 나 woman 보다는 낫다고들 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You're in super good shape for an old guy. 여자에게는 women 이라고 표현해도 되나요?
답변
woman 의 가능은 하지만 상당히 기분 나쁘게 들릴 수 있어서 조심해서 써야 합니다. 다만, You're in really good shape for your age. 와 같은 문장은 좋습니다.
연세 있으신 분 : grown up 을 쓰던데 아닐까요? (윔피키드 어느 문장에서 기억이 나서요...) ^^
답변
안녕하세요!
'연세 있으신 분'을 표현할 때 grown-up을 사용하는 것은 다소 어색할 수 있습니다. Grown-up은 보통 어린아이가 '어른'을 가리킬 때나 성인과 미성년자를 구별할 때 주로 사용됩니다.
강의에서 나온 old guy라는 표현도 있긴 하지만, 연세 있으신 분을 공손하게 표현할 때는 보통 elderly나 senior를 사용합니다.
elderly: 연로하신 분들을 가리킬 때 공손하게 쓰이며, 나이가 더 드신 분을 표현합니다.
She helps take care of her elderly neighbors by bringing them groceries every week. 그녀는 매주 식료품을 가져다 드리며 연로하신 이웃분들을 돌봐 드립니다.
senior citizens: 비교적 공손하고 일반적으로 어르신을 뜻하는 표현입니다.
Senior citizens can receive discounts on public transportation in many cities. 어르신들은 많은 도시에서 대중교통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처럼, 상황에 따라 elderly와 senior citizens는 연세 있으신 분을 자연스럽고 공손하게 표현할 수 있는 단어들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Small Talk 질문 & 답변
"무슨 점심값이 만 원이 넘는거야. " 예문 관련 질문을 I can't believe I'd have to pay over 10,000 won for lunch. 라고 표현해도 괜찮은지 문의드립니다.
답변
I can’t believe I’d have to pay ~~ 또는 I can’t believe I’ll have to pay 이 문장도 가능해요!!
<무슨 점심값이 만 원이 넘는 거야> 영작을 What kind of lunch is it if it is over 10,000 won? 혹은 What kind of lunch is over 10,000 won? 로 비꼬는 듯이 말하면 혹시 어색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What kind of lunch is over 10,000 won? 은 아주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What lunch is over 10,000 won?!’ or ‘What lunch costs 10,000 won?!’
What kind of lunch is it if it is over 10,000 won? 은 뭔가 어색하게 들리며 문장도 너무 길게 느껴지네요^^
I never thought I'd have to pay over 10,000 won for lunch에서 would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Would없이 have to를 썼을 때와 would를 넣으면서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would 와 over의 의미
안녕하세요. DAY 4-2를 공부하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I never thought I'd have to pay over 10,000 won for lunch에서 would의 의미가 무엇인가요? Would없이 have to를 썼을 때와 would를 넣으면서 의미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
pay over 10,000 won에서 over(넘는)는 10,000 won에 수식하는 것인가요? 아니면 'pay over:지불하다' 의 의미로 사용되는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Have to 앞에 will 이 있는 경우는 ‘해야 할 거야’ 라는 뉘앙스인데, 예를 들어 거기 가면 30분 정도 기다려야 할 거야 라고 한다면 You have to 가 아닌 you’ll have to wait for something like 30 minutes 가 맞습니다.
따라서 위의 문장의 경우 문장 전체의 기준시제가 과거형이기 때문에 that 명사절의 시제 역시 will 이 would 로 바뀌는 것입니다.
Over 의 경우 pay over 는 아니고 pay ////// over (=more than) 만원 입니다. 이제 이해가 되셨죠?^^
Small talk 3번문장에 나오는 usually 와 Cases in point 첫 문장에 나오는 normally 둘다 '보통은'이라고 해석되는데 차이점이 있을까요?^^
Small talk 3번문장에 나오는 usually : It's usually much colder by now.
Cases in point 첫 문장에 나오는 normally : I'm normally really bad at following instructions
답변
거의 대부분 usually 와 normally 는 interchangeable 한대요. 그 차이가 조금 느껴지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거의 99% interchangeable 해요.
다만, usually 는 일반적인 등에 자주 쓰이며 normally 는 규정, 규칙, 루틴 등에 더 어울릴 때가 있어요. 빈도의 차이는 없구요. 둘 다 대개의 경우, 대개는 그렇다 정도이니까요. I usually go for a walk in the evening 은 개인적인 습관 I normally go for a walk in the evening 은 습관을 강조하기 보다는 루틴을 말하고자 하는 어감이 느껴지네요^^ 하지만 질문주신 두 개의 문장에서는 둘 다 가능하고 자연스러워요^^
It's usually colder by now라는 예문에 Day3에서 설명해주신 I feel cold / It feels cold를 적용해보면 오늘 예문을 It feels usually colder by now로 사용해도 무방한지, 어감상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small talk 3 에 있는 문장을 말씀하시는 듯 하네요. 이 때는 일반적인 사실이기 때문에 be 동사가 훨씬 자연스럽게 들립니다. It feels 의 경우 주로 지금 이 순간을 묘사할 때 자연스럽게 들려요!
It's unusually warm for late November. It's much colder by now. / Right. Autumn has been getting shorter, but this year, it's been super long. 여기서 getting을 빼도 괜찮나요? 아니면 의미가 달라지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때 get 을 쓴 이유는 점점 짧아지고 있는 진행을 표현하기 위함이기 때문에 빼면 어색하게 들립니다. 굳이 get 을 빼게 되면 been 역시 become 으로 바뀌는 것이 자연스럽습니다. 다만, 뉘앙스는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이번 여름에 비가 많이 왔다고 하면 It has rained a lot this summer 라고 하지만 지난 금요일부터 계속 비가 오고 있다고 하면 It’s been raining since last Friday 라고 해야지 It has rained since last Friday 는 어색한 것과 같은 이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Day 4 Small Talk 2에서 Want me to get you a souvenir from Jeju? "제주도에서 선물 사 갈까?" 동영상 강의에서는 Do you want me to get you a souvenir from Jeju? 로 문장이 나오더라구요. 책처럼 Do you를 생략하고 사용 할 수 있는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Do you 를 붙이는 것이 좀 더 표준적인 영어, do you 를 빼고 Want me to V? 로 표현하는 것이 좀 더 일상에서 자주 듣게 되는 표현법입니다.
처음에는 Do you 를 넣어서 연습하시고, 추후에 영어가 좀 더 편해지고 능수능란해지면 빼고 표현해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Day 4 Small Talk 2에서 Oh! How about a box of tangerines? "오! 그럼 귤 한 박스 사다 줄래?" How about ~ 제안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 문장의 해석처럼 다른 의미가 있는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말씀하신대로 how about 구문의 경우 대부분 제안할 때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다만 how about 다음 명사가 나오면 같은 제안이라 하더라도 좀 더 격의 없이 들립니다.
조심스러운 느낌 보다는 그냥 ‘~는 어때? ~해 줄래?’ 정도의 어감이 있는 것이죠. 본문의 How about a box of tangerines? 역시 한국어 해석의 편의상 ‘줄래?’ 로 표기되어 있지만 이 역시 ‘제안’ 의 범주에 들어옵니다. 다만 아빠가 딸에게 편하게 던지는 말이죠.
일정조율을 하면서도 How about Friday? 라고 하면 How about we meet on Friday? 가 축약된 형태인 셈이며 본문 역시 How about you get me a box of tangerines? 의 축약형으로 볼 수 있습니다.
결론은 How about 은 거의 대부분 ‘제안’ 에 사용됩니다^^
현재형이 아닌 현재완료로 사용되는 이유
DAY 4-2 의 small talk3번 에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Right, Autumn has been getting shorter , but this year It's been super long" 이라는 예문에서 Autumn has been과 It's been 처럼 현재완료를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Autumn is getting shorter / It's is super long 이라고 사용하는 것과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DAY 제목에서 Everything is getting super expensive를 사용하는데 어떨때 현재형을 쓰고 현재완료를 쓰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현재진행의 경우 말 그대로 ‘현재, 이 순간’ 에 focus 가 맞춰진 것입니다.
가장 simple 한 예가 ‘너 뭐하고 있니?” 라는 질문에 대해 I am watching a Netflix show 라고 답하는 경우입니다.
이에 반해 현재완료진행 (have been ~ing) 의 경우, 어떠한 현상이나 행위가 ‘최근들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당분간도 계속될 것 같다’ 는 의도가 전해집니다.
예를 들어 지금 밖에 비가 오고 있어 의 경우 It’s raining outside 이지만 ‘목요일부터 계속 비가 오네’ 라고 한다면 It’s been raining since last Thursday 가 되는 것이죠.
Autumn has been getting shorter 라는 표현법 속에 숨어 있는 뉘앙스는 ‘최근 몇 년간’ 입니다.
따라서 현재진행형은 어색하게 들립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이라는 뉘앙스 없이 그냥 표현할 때는 현재진행형이 가능하겠습니다.
또 하나 예를 들면 휘발유 가격이 최근 몇 주간 오르고 있다고 하면 Gas prices have been going up. 이라고 하지만 그런 의도 없이 ‘휘발유 가격이 오르네…” 라고 한다면 gas prices are going up 이라고 표현하게 됩니다.
Autumn has been getting shorter , but this year It's been super long 그렇다면 이 문장의 뒷 부분에서는 왜 ‘현재완료’ 인가 하는 질문이 생깁니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This year 라고 하는 것은 단순과거와 쓸 수 없는 부사구입니다. 왜냐 아직 올 해가 끝나지 않았기 때문인데요.
그렇다면 왜 완료진행은 아닌가? 앞의 문장은 최근 몇 년 간 가을이 점점 길어지고 당분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것 (~ing) 이기 때문에 완료진행이지만, 뒤의 문장 (it’s been super long) 의 경우, 올해 가을은 한 번 이기 때문에 진행의 의미가 아닌 “올 가을의 지금까지 이렇다’ 는 완료시제를 쓰는 것입니다.
설명이 매우 장황하고 복잡했는데 이해가 되셨을지 모르겠네요…..
small talk에서 문법 질문 있습니다.
I never thought I would have to worry about paying the bills.
I never thought I would have to worry about my kids lying to me.
1)의 worry about 뒤의 paying the bills는 명사절로 보이며 이해가 됩니다만,
2)의 about 다음의 my kids lying to me는 잘 이해가 되지 않는데.. my kids 뒤의 lying to me가 my kids를 뒤에서 꾸며주는 형용사절로 해석하면 되는지요?
답변
전치사 about 의 목적어로 동명사인 lying 이 나왔으며 lying 의 행위를 하는 의미상의 주어인 my kids 가 중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간단 문법설명을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치사 + 동명사 전치사 + 의미상의 주어 + 동명사 (the chances of me making the cut: 내가 통과할 확률: 이럴 경우 내가, 그가, 그들이 통과를 할 확률을 기술해야 하기 때문에 me, him, them 등이 중간에 들어갑니다. 원래는 소유격을 쓰지만 요즘은 거의 다 목적격의 형태로 사용합니다^^)
'Oh, How about a box of tangerines? They should be super cheap since they are in season의 문장에서 since의 의미와 사용용도가 궁금합니다.
since의 의미와 사용용도, because랑 차이
데이 4-2 의 2번에 'Oh, How about a box of tangerines? They should be super cheap since they are in season의 문장에서 since의 의미와 사용용도가 궁금합니다.
접속사로 '~때문에, ~이므로'로 해석하는게 맞을까요? 그렇다면 because랑 어떤 차이가 있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Because 는 ‘원인’ 을 강조할 때 쓰고 since 는 ‘결과’ 를 강조할 때 사용합니다.
위의 문장에서는 원인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그러니까 쌀 거야’ 를 강조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since 가 자연스럽습니다.
이에 반해 because 는 이유, 원인에 focus 가 맞춰집니다. 친구가 서초동으로 전학을 가니 철수도 그 쪽으로 전학을 가고 싶어하는 상황에서 엄마가 ‘너 왜 그리고 전학가고 싶은건데?’ 라고 하니 철수가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Because 철수 goes there 이 때는 since 보다 because 가 자연스럽게 드립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It should be much colder by now는 혹시 원어민에게 자연스럽게 들릴까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글제목 속의 예문에서 should be는 예상을 나타내는 의미로 쓰인다고 가르쳐 주셨습니다. 같은 Day4의 예문 중 'It is unusually warm for late November. It is usually much colder by now' 에서 예상의 should be를 써서 It should be much colder by now는 혹시 원어민에게 자연스럽게 들릴까요?
선생님께서 수업 중에 반복되는 주어나 반복되는 동사(ex. release(영화개봉)의 반복을 피해 come out을 썼던 경우)는 재사용을 피하시는 경우를 봤는데 위 예문에서 It is unusually와 It is usually는 반복되는 표현처럼 느껴져서 should be가 자연스러울 것 같은 개인적인 느낌인데 선생님의 고견이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should 가 예상을 나타낼 때는 ‘일반적으로 그렇다’는 맥락에서는 쓰기 힘듭니다.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에 국한되어서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해당 문맥에서는 should 는 적절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That shouldn’t take long (지금 하고 있는 작업 그렇게 오래는 안 걸릴 듯요) Something should be cheap now (어떠한 물건, 과일 등이 지금 저렴 할 거야) Dinner should be ready in 20 minutes (20분 정도면 저녁이 준비될 것 같아)
등과 같은 상황에서만 사용 가능해요.
Right. Autumn has been getting shorter, but this year has been super long. 이 문장에서 두번째 문장에서 this year is super long은 틀린 문장인가요? 시간의 개념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현재완료로 표현한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Right. Autumn has been getting shorter, but this year has been super long.에서 this year has been super long이 사용된 이유는 앞에서 등장한 현재완료 진행형 (has been getting) 과의 일관성을 맞추기 위함입니다.
또 현재형과 현재완료 진행형을 사용했을 때의 뉘앙스 차이 때문인데요.
This year has been super long. = 올해는 지금까지 길었다.
→ has been 은 지금까지 이어진 상태를 나타내므로, 전체적인 경험이나 변화를 강조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느껴지는 감정의 지속성을 표현합니다. 그래서, 이 표현은 실제로 올해가 시작된 이후로 지금까지 길었다는 느낌을 전달합니다. 즉, 올해의 길었던 기간을 통틀어, 과거부터 지금까지 계속 길었다는 지속적인 느낌을 줍니다. 예를 들어, 올해의 날씨가 예년보다 길게 느껴졌다면 This year has been super long. 이라고 말하며, 올해의 특성을 강조하는 것입니다.
This year is super long. = 올해는 길다. → is 는 현재 상태를 나타내므로, 현재의 특성이나 상태를 강조합니다. 그래서, 이 표현은 현재 시점에서 올해가 길다는 주관적인 느낌을 강조합니다. 즉, 지금 이 순간에서 올해가 길다고 느끼고 있다는 감정을 표현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올해가 이제 시작된 시점에서 유난히 길게 느껴지는 경우 This year is super long. 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small talk 1번 대화문 '무슨 점심이 만원이 넘는거야' 를 How come 을 사용해서 How come it's more than 10,000 won for lunch. 이렇게 표현했는데 이렇게 표현해도 괜찮을까요?
답변
How come it's more than 10,000 won for lunch? 라고 하셔도 전혀 문제가 없고 충분히 의미 전달이 됩니다!
원문인 I never thought I’d have to pay over 10,000 won for lunch. 와는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I never thought I’d have to pay over 10,000 won for lunch.
→ 이 문장은 직역을 한다면 '상상도 못했다' 는 의미로, 의외의 상황에 대한 '놀라움' 이나 '어리둥절함' 표현하는 느낌입니다. 불만의 뉘앙스를 표현한다면 좀 더 간접적이고 부드러운 느낌입니다.
How come it's more than 10,000 won for lunch?
→ 이 문장은 직접적으로 '왜 그런거야' 의 의미로, 불만이나 짜증을 좀 더 직접적이고 강하게 표현하는 느낌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didn't need any extra tools, besides the included hex key. 위의 예문에서 선생님께서 besides와 apart from이 같은 또는 유사한 의미라고 설명해주셨는데, 그 자리에 excpet를 사용하는 건 자연스럽지 않거나 문맥상 맞지 않은 표현인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때 except 는 가능합니다.
- I don’t really like ice cream, besides mint chocolate. We have everything that’s on the menu, besides cold noodles. Those are only available during the summer.
이런 두 예문과 같은 besides 이며 둘 다 except 를 쓸 수 있습니다.
It looks sturdy too 에서 It looks like sturdy too는 안 되나요?
It looks sturdy too 에서 It looks like sturdy too는 안 되나요?
IKEA has a reputation for breaking easily 에서 easily breaking 하면 안 되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1. Look 다음에는 형용사만 올 수 있어서 looks like sturdy 는 문법이 깨지게 됩니다.
You look tired 가 대표적인 예가 되며 이 때 you look 명사 는 안 된답니다. 하지만 Look like 다음에는 명사가 올 수 있습니다.
It looks like a sturdy one 의 형태로 말이죠. It looks like 다음에는 주어 동사로 이루어진 절 (clause) 의 형태가 올 수 도 있어요. It looks like it’s going to rain this afternoon. 이 대표적인 예문입니다.
부사의 위치는 제법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다음의 경우를 생각해보겠습니다. He runs fast vs. he fast runs … 전자가 좀 더 자연스럽습니다. 이케아 예문도 마찬가지입니다. 앞으로 부사의 위치 just, really 등등이 나오면 유심히 보고 있다가 예문과 함께 질문 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릴게요^^
제가 it~to부정사 구문에만 익숙해져 있는데... 책에 쓰여있는 문장은 to 부정사의 무슨 용법인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우 선생님 :0
DAY 4 cases in point에 첫번째 문장에서 [~, but this bed frame was super easy to put together.] 이 문장이 있는데요.저는 [, but it was super easy to put together this bed frame.] 이렇게 영작했거든요.
제가 itto부정사 구문에만 익숙해져 있는데... 책에 쓰여있는 문장은 to 부정사의 무슨 용법인 것인가요?
책에 나온 문장은 주어가 it이 '아닌' 경우라서.. [주어 (it이 아닌) + be 동사 + 형용사 (easy, difficult 등등 과 같은) + to 부정사] 와 같은 문형이 나오면 대충은 알지만 말로 하기엔 익숙치가 않아서 이제라도 확실히 알고 공부하고 싶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답변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이에요.
둘 다 맞는 문장인데요. this bed frame was super easy to put together 라고 하면 강조점이 this bed frame 에 있답니다.
즉, 이 침대 프레임은 조립이 정말 간단할 정도로 만지기, 다루기, 조립하기가 용이하다는 느낌이며 It was 라고 하면 프레임 자체가 부각되기 보다는 ‘나의 경험’ 을 강조하는 느낌입니다.
이와 비슷한 사례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He is not exciting to drink with; She is a nightmare to work under; Long hair takes a while to dry; Taxis are hard to find at 강남역 Friday night 등입니다.
이 문장들 모두 it is 의 형태도 가능하지만 강조점을 he, she, long hair, taxis 에 둘 때는 이와 같이 쓰면 자연스럽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Take 가 워낙 구동사에 많이 쓰이는 거 같아서 take의 자주 쓰는 표현이 궁금합니다.
Day 4 cases in point 에 있는 It took me less than an hour Day5 small talk 에 있는 he has what it takes to be a good coach 같이
Take 가 워낙 구동사에 많이 쓰이는 거 같아서 take의 자주 쓰는 표현이 궁금합니다.
데이4에 있는 문장은 4형식으로 이해되는데 what 안에 있는 문장은 what 때문에 takes 다음에 him 이 생략된건 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day 5에서의 take 는 ~을 위해 ‘필요로 하다; 요구되다’ 는 의미의 동사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take 와 부사 take 와 전치사 의 결합을 통한 구동사가 많긴 합니다.
너무 많아서 오늘 다 설명드리긴 어렵습니다 ㅠ take on, take off, take up, take apart 등등 말이죠.
위에 문장의 의미로 사용된 경우로는 it takes a great deal of effort to V (~을 위해서는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 What do you think it takes to be a good actor? (좋은 배우가 되기 위한 조건은?) It takes more than just a degree from a top-tier university to V (~을 위해서는 명문대 졸업장만 가지고는 안 된다) 등을 떠올려 볼 수 있을 겁니다.
말씀주신 대로 첫 번째 예문은 4형식이 맞습니다. 두 번 째 예문의 경우 It takes something to V 구문이며 이에 대한 의미상의 주어는 통상 It takes for somebody to V 의 형태를 띠지만 이 문장의 경우 주어자리에 이미 HE 가 있습니다.
따라서 생략된 것이 아닌 문장 전체의 주어자리에 가 있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문장 전체로 보면 3형식 문장입니다.
4;06 부분에서 Besides 예문에 대한 질문입니다. Besides 예문 중에 we have everything prepared for the party. 라고 하셨는데 we have prepared everything for the party 이렇게 쓰는게 맞지 않나 싶어서요.
답변
상태를 강조할 때는 have something p.p 와 같은 5형식 구문을 씁니다. 위의 문장에서는 준비하는 행위가 아닌 준비가 다 되었다, 다 해 놓았다 는 것이 문장의 의도입니다.
바로 이럴 때 원어민들은 have (get) 목적어 p.p (또는 형용사) 구문을 씁니다.
내일 회의가 3개 잡혀 있다고 할 때에도 I have 3 meetings scheduled for tomorrow 라고 하며 5시까지 그거 다 해 두게 라고 할 때 역시 make sure to have it done by 5 라고 합니다^^
Further Studies 질문 & 답변
further studies 아래 문장에서 The pork belly place is pretty good, but~ ---> The pork belly place is not bad, but~ 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네 가능해요. 다만, 조금이라도 더 긍정의 느낌을 주고자 한다면 pretty good 을 추천드려요.
Not bad 의 경우 그냥 나쁘지 않은 정도의 느낌이에요.
다만 not bad 가 사실상 pretty good 과 비슷한 느낌을 줄 때도 있는데 그럴 경우 얼굴표정이나 tone 을 긍정적으로 가져가면 되어요.
아래 문장에서 The pork belly place is pre아래 문장에서 bad대신 poor를 써도 무방한지요?
day 4 -3 cases in point I’m normally really bad at following
답변
안녕하세요.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실제로 미국인들은 이럴 때 거의 대부분 I am bad at 또는 I am terrible at 을 씁니다.
Poor 는 일부 영국인들이나 연세가 아주 많으신 분들이 써더라고요.
"그 삼겹살 가게는 아주 맛있지만 꽤 비싸다." 영어도 이런 문장이 통용되는지 궁금합니다.
"그 삼겹살 가게는 아주 맛있지만 꽤 비싸다."
삼겹살이 맛있지만 비싸다는 의미이지 가게가 맛있지만 비싸다는 의미가 아니라서 제대로 된 문장이 아닌거 같은데
영어도 이런 문장이 통용되는지 궁금하고(원어민이 물론 이해는 하겠지요.) 문법적으로도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아주 자연스러운 원어민식 표현 방식이며 구어영어의 특징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문장입니다.
말씀하신 것 처럼 논리적으로만 보면 their pork belly is expensive 가 맞지만 일상에서는 ‘그 집 비싸다’ 라는 표현방식이 한국어와 영어모두에서 더 널리 사용됩니다.
‘서울 물가가 비싸다’ 고 하는 경우 역시 Seoul is expensive 라고 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우니까요.
문법적인 측면에서도 문제가 없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고 싶은 점은 이 책의 모든 문장을 어떤 원어민에게 보여주고 들려줘도 ‘너무나 자연스럽게 들린다’ 고 할 거에요.
믿고 학습 이어가셔도 좋습니다^^
especially와 specially 차이 아래 문장 중에 specially를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Your english is quite good, especially considering you've never lived abroad.” Especially와 specially차이점이 있을까요?
답변
두 단어 모두 "특별히, 특히"라는 뜻을 갖고 있지만 쓰임과 뉘앙스가 다릅니다.
especially: 특히, 여러 대상 중에서 특정 대상을 강조할 때 주로 사용 • 일반적으로 강조하거나 부각할 때 쓰입니다. • 어떤 조건, 상황, 예시를 두드러지게 만들고 싶을 때 사용됩니다.
specially:특별히 어떤 목적/용도로, 의도적으로 구분하거나 준비했을 때 사용 • 의도적, 목적성 있는 ‘특별함’에 가까운 표현입니다. • 보통은 제품이나 서비스, 사람의 태도 등 의도된 특별한 경우에 쓰입니다.
주어진 문장에서는 especially인 이유 “Your English is quite good, especially considering you’ve never lived abroad.” • 여기서 especially는 "여러 기준 중 특히 ‘해외에서 살아본 적이 없음’을 고려할 때 그렇다"는 강조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 비교의 기준이 되는 여러 상황 중 하나를 강조하는 기능이므로 especially가 적절합니다.
해당 문장에서 specially로 바꾼다면 문법적으로 아주 틀리다고 하긴 어렵지만, 원어민에게는 어색하게 들립니다. 왜냐하면 여기서는 의도나 목적보다는 상황의 강조가 핵심이기 때문입니다.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