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01

전치사 for를 이용해 취향 표현하기 / 책 32p


대표 문장 질문 & 답변

is/are for me, work for me, suit me를 긍정문 또는 부정문으로 사용할 경우 문맥에 따라 다르겠지만 '정도'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가 재택근무 좋아하지 않는다 정도라면,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for me'가 나는 재택근무가 좀처럼 쉽지 않아, 라는 정도의 어감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되는 거라, 뉘앙스가 센 표현이 된다는 뜻이려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 는 체질상, 성향상 안 맞다는 뉘앙스가 강한 반면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for me 는 ‘환경, 상황’ 적으로 (집에 애들이 늘 뛰어놀고 그래서; 모시고 있는 부모님이 있어서; 여분의 방의 없어서 등등) 재택이 힘들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따라서 매우 섬세하게 보면 조금 다른 의미에요.

Working from home doesn’t suit me 는 isn’t for me 와 거의 같은 느낌입니다^^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와 working from home isn't my thing.의 뉘앙스 차이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재미있게 잘 듣고 있습니다.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와 working from home isn't my thing.의 뉘앙스 차이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강의 재미있게 듣고 있다니 힘이 납니다.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두 개의 표현은 interchangeable 하다고 봅니다.

다만, something isn’t (really) for me 가 조금 더 polite 하게 들립니다. 특히 중간에 really 를 붙이게 되면 더욱더 그렇습니다.

반면 something isn’t my thing 이라고 하면 조금은 더 straightforward 하게 들리며 좀 더 친한 사이에서 쓰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재택근무는 나랑 잘 맞아"를 "Working from home is for me."라고 표현하면 자연스러운 문장인가요?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 가 "재택근무는 나랑 잘 안맞아" 라는 의미이면,

반대로 "재택근무는 나랑 잘 맞아"를 "Working from home is for me."라고 표현하면 자연스러운 문장인가요?

답변

긍정문에서 사용이 가능은 하나 something is for me 보다는 Working from home is for me. 이 문장도 가능한 표현이지만 원어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건 들어보지 못했고,

Working from home is ( exactly ) right for me. 이렇게 표현하면 자연스러울 것 같습니다.

Working from home is the perfect fit for me. 좀 더 멋있게 표현 하려면 이런 문장 사용도 아주 좋습니다.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 반대로 '저는 재택근무가 체질이에요'는 어떻게 표현하나요?

Day 001 전치사 for 를 이용해 취향 표현하기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 반대로 '저는 재택근무가 체질이에요'는 어떻게 표현하나요?

답변

Working from home is exactly right for me 등과 같이 표현하면 됩니다.

isn't for me 반대말은? "~ isn't for me / ~는 나랑 안 맞는다" 라고 설명을 해주셨는데요~ 만약 ~는 나랑 잘 맞는다 라고 할 때는 ~ is for me 라고 하면 되나요?

교재에 있는 예문이 isn't for me 같이 not이 포함된 예문만 있고 not 이 포함되지 않은 예문은 없어서 문의 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네, 정확히 이해하셨습니다. "~ is for me"라고 하면 "~는 나랑 잘 맞는다"라는 의미로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Early morning runs are for me. 아침 운동은 나랑 잘 맞아요.

Spicy food just isn’t for everyone, but it definitely is for me. 매운 음식은 모두에게 맞지는 않지만, 저에겐 딱이에요.

Studying in a quiet library rather than a busy café is for me. 번잡한 카페보다는 조용한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게 저랑 잘 맞아요.

이렇게 "~ is for me"를 사용하면 특정한 것이 자신과 잘 맞는다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just isn't for me, isn't really for me에서 just가 붙어도 isn't really for me와 똑같은 뉘앙스와 뜻을 가진다고 보면 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just isn't for me 와 isn't really for me 가 똑같은 뉘앙스와 뜻을 가졌는지 궁금하시군요!

둘 다 '나와 맞지 않는다는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비슷하긴 하지만, 강조의 정도와 표현의 뉘앙스에선 차이가 있답니다.

  1. just isn't for me

  • 강조의 정도: 강한 부정

  • 뉘앙스: "그냥 전혀 맞지 않는다" 즉, 단호하게 거부하거나 명확히 자신의 취향이 아님을 강조할 때 주로 사용합니다,

  1. isn't really for me

  • 강조의 정도: 부드러운 부정

  • 뉘앙스: "완전히 맞지 않지만, 가능성은 약간 남아 있다" 즉, 주로 상대방에게 거부감을 줄이면서 의견을 전달할 때 사용한답니다.

번외로 really 의 위치를 바꾸면 또 하나의 얼핏 듣기에 비슷한 표현이 되는데 그것 또한 비교해보겠습니다.

  1. really isn't for me

  • 강조의 정도: 매우 강한 부정

  • 뉘앙스: "정말로 맞지 않는다" 즉, 주로 개인적인 이유 혹은 확신을 덧붙이며 부정을 할 때 사용된답니다.

이 세 가지 표현을 활용한 비교 예문드리겠습니다:

1)

  • "Camping just isn't for me." (캠핑은 정말 내 취향이 아니야.) → 캠핑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표현하며 전혀 관심이 없음을 나타냅니다.

  • "Camping isn't really for me, but I understand why people enjoy it." (캠핑은 크게 내 취향은 아니지만, 사람들이 즐기는 이유는 알겠어.) → 자신의 취향은 아니지만, 부정적인 의도가 강하지 않음을 암시합니다.

  • "Camping really isn't for me. I just can't stand sleeping outside." (캠핑은 정말 내 취향이 아니야. 밖에서 자는 건 도저히 못 견디겠어.) → 개인적인 이유를 덧붙이며 강한 부정을 강조합니다.

2)

  • "This job just isn't for me." (이 일은 정말 나한테 맞지 않아.) → 완전히 맞지 않는다고 단호하게 말하는 경우입니다.

  • "This job isn't really for me, but I'll give it a few more weeks." (이 일이 크게 내 취향은 아니지만, 몇 주 더 해볼게.) → 완전히 거부하지 않고 가능성을 남기며 신중한 태도를 보입니다.

  • "This job really isn't for me. It's way too stressful." (이 일은 정말 나한테 맞지 않아. 너무 스트레스가 많아.) → 구체적인 이유를 통해 자신의 확신을 강하게 표현합니다.

이렇듯

  • just isn't for me 는 강한 부정 그리고 단호한 거부를 나타내는 느낌을,

  • isn't really for me 는 부드러운 부정 그리고 약간의 가능성 열어두는 느낌을,

  • isn't really for me 는 부드러운 부정 그리고 약간의 가능성 열어두는 느낌을 준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isn't for me 에 대한 의문문 - 아래의 두 문장을 의문문으로 만들면 어떻게 되나여? 1. working from home isn't for you. 의문문은 어떻게?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아? and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지 않아? 2.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for you. 의문문은 어떻게?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아? and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지 않아?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말씀하신 두 문장을 의문문으로 바꾸는 것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Working from home isn't for you.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아?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지 않아?

라고 바꾸시고 싶으시다고 하셨는데, 보통 의문문은 be 동사를 앞당기면 되어서 Is working from home for you? Isn't working from home for you?라고 하면 의미가 통하고 문법적으로 틀리지는 않습니다. 다만 조금은 어색한 감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김재우 선생님께서 한 번 영어독립 채널에서 설명하셨듯이 (https://youtu.be/uh4bACeVqxU?feature=shared)

Working from home isn't for you. 를 긍정문인 Working from home is for you. 라고 할 때도 어색해지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right 라는 부사를 추가해서 Is working from home right for you? Isn't working from home right for you? 혹은 부정문을 좀 더 강하게 하고 싶으면 Is working from home not right for you?라고 해주시는 게 의문문으로 바꾸면서도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1.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for you.

이 문장의 경우에는 doesn't 나 does 라는 동사를 그냥 앞으로 당겨서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아? = Does working from home work for you? 재택근무가 너한테 맞지 않아? = Doesn't working from home work for you?라고 하면 된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복습하다가 궁금한 것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00 isn't really for me. 라는 문장에서요. 00이 한 번도 나한테 맞은 적이 없었다, 한 번도 내 취향인 적이 없었다를 강조하기 위해 현재완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을까요? 이를테면, Guys like hime have never been for me. Working from home has never been for me. 이런 식으로요.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 isn't for me. 를 현재완료인 ~ has never been for me. 로 그냥 바꾸면 말은 되지만 조금은 어색하게 들릴 수 있습니다.

그냥 It isn't 라고 썼을 때는 그 자체가 '그것은 아니다' 라는 걸 완전하게 설명하는데요:

예를 들어,

  • Guys like him aren't for me. (직역: 그와 같은 사람들은 나와는 아니다.)

  •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 (직역: 재택근무는 나와는 아니다.)

has never been 이라고 썼을 때는 '한 번도 ~가 아니었다' 이렇게 ~ 에 대한 설명이 필요하게 되어 불완전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 Guys like him have never been for me. (직역: 그와 같은 사람들은 한 번도 나와 ~ 한 적이 없다.)

  • Working from home has never been for me. (직역: 재택근무는 한 번도 나와 ~한 적이 없다.)

그렇기에 좀 더 자연스럽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been 뒤에 보어 (형용사) 가 필요합니다.

  • Guys like him have never been right for me. (직역: 그와 같은 사람들은 한 번도 나와 맞은 적이 없다.)

  • Working from home has never been suitable for me. (직역: 재택근무는 한 번도 나에게 맞은 적이 없다.)

이런 식으로요.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사람들이랑 같이 있어야 능률이 오르거든.' 이 문장을 이렇게 말해도 되나요? Being around people makes me to be productive.

답변

Being around people makes me to be productive. 은 문법적으로 틀린 문장입니다.

'make + 목적어' 뒤에는 to부정사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make 는 사역 동사 (시키다, ~하게 하다) 이기 때문에 목적격 보어로 to부정사 대신 동사원형이 와서

'make + 목적어 + 동사원형' 구조가 되어야 하는 것이죠.

즉, make 를 사용하시고 싶으시다면 makes me be productive, to부정사 를 사용하시고 싶으시다면 helps me to be productive 이라고 하는 게 문법적으로 맞답니다. helps 는 참고로 to부정사가 아닌 동사원형을 사용한 helps me be productive 도 괜찮습니다.

또, 'make + 목적어 + 형용사' 구조도 가능하며 더 자연스럽고 원어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편입니다. makes me more productive 이런 식으로요.

결론적으로:

Being around people makes me be productive.

Being around people makes me more productive.

Being around people helps me to be productive.

Being around people helps me be productive.

이렇게 영작하시면 자연스럽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really 뉘앙스 질문

really라는 단어가 우리나라에서는 레알로라는 말로 정말로, 찐으로라는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있고 사전적 의미로도 정말로, 실제로 이기도하구요. 그런데 교재에서 really 가 그다지라는 의미로 사용되더라구요. 이 둘의 뉘앙스 차이를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난감한데 설명 부탁드려도 될까요??

답변

really 에 대해서 질문 주셨네요.

긍정문에서 really 를 사용할 경우 '정말로, 진짜로' 라는 의미로 강한 긍정을 표현합니다.

I really like this song. (나 이 노래 정말 좋아해.)

She’s really nice. (그녀는 정말 친절해.)

그런데, 부정문에서는 really의 위치에 따라 의미가 달라집니다. really 가 부정어 (예를 들어 isn't) 앞에 오면 강한 부정 really 가 부정어 뒤에 오면 완곡한 부정

비교 예문을 보여드리자면 이렇습니다:

Working from home really isn't for me. (재택근무는 절대 내 스타일이 아니야!)

Working from home isn't really for me. (재택근무가 그다지 내 스타일은 아니야.)

I really don't like horror movies. (나 공포영화 진짜 싫어해!)

I don't really like horror movies. (나 공포영화를 별로 안 좋아해.)

즉 예문에서 '그다지' 라고 쓰인 이유는 really 가 부정어 뒤에 오기 때문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don't 과 isn't 왜 suit me 에는 don't/doesn't 을 쓰는지 알려주세요.

답변

동사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isn’t과 doesn’t를 구분해서 써야 합니다. 문장에는 동사가 하나밖에 올 수 없으며, be동사와 일반동사가 같이 올 수 없습니다.

  1. “isn’t for me” 는 be 동사 입니다.

  2. “doesn’t suit me” 에서 동사는 suit 일반 동사입니다. 일반 동사는 부정할 때 조동사 do/does를 써야 합니다.

‘isn’t’는 be동사니까 주로 상태를 말할 때, ‘doesn’t suit’는 동사니까 행동이나 어울림을 말할 때 쓴다는 점도 기억해주세요!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Going on? blind dates isn't for me 에서 aren't가 아닌 isn't인 이유

[DAY 1-1] Going on? blind dates isn't for me 에서 Aren't가 아닌 isn't인 이유

going on blind dates는 복수로 보이는데 왜 Aren't가 아닌 isn't로 사용이 된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이 문장의 주어는 동명사인 going 입니다.

문장의 주어가 동명사인 경우 동사의 수는 단수가 됩니다.

따라서 aren’t 가 아닌 isn’t 이 맞습니다^^

4번 문장 'Electric cars aren't for me. We have more charging stations around now, but it still feel like too much of a hassle.' 에서 it의 정확한 용도를 모르겠습니다. charging stations라고 하기엔 복수명사이고 내가 귀찮음을 느낀다는 내용인걸로 해석되는데 1인칭 대명사 I가 오면 안되는건가요?

답변

이 때의 it 은 포괄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충전소를 찾고, 충전을 하는 등의 행위를 퉁쳐서 it 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께서 강의 때 언급하신 예문 중 소개팅은 저랑 안맞아요. Going on blind dates isn't for me. 이 문장을 blind dating isn't for me 라고 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Going on blind dates isn't for me. 대신 Blind dating isn't for me. 라고 사용해도 의미 전달에는 큰 차이가 없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긴 합니다.

  1. Going on blind dates isn't for me. 이걸 직역하자면 이렇습니다: "소개팅에 가는 것" 이 나와 맞지 않는다.

즉, 이 문장은 '소개팅을 가는 행위'가 나와 맞지 않다는 의미로, 소개팅에 가는 과정이나 행동 자체가 불편하거나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을 표현합니다. 예를 들어, 소개팅을 하기 위한 준비나 그 상황에서 느끼는 부담감이 싫을 때 주로 사용할 수 있는 말입니다.

  1. Blind dating isn't for me. 이걸 직역하자면 이렇습니다: "소개팅" 자체가 나와 맞지 않는다.

즉, 이 문장은 '소개팅이라는 활동' 자체가 나와 맞지 않는다는 의미로, 소개팅을 하는 것에 대한 전반적인 거부감을 표현합니다. 즉, 소개팅이라는 개념이나 그 자체에 대한 거부감을 표현합니다. 이 경우, 소개팅에 가는 행위뿐만 아니라 그 활동 자체가 싫다는 뉘앙스가 강조됩니다.

이해를 돕기위해 다른 추가 예문도 보여드리겠습니다:

  • Going to the gym isn't for me. ("헬스장에 가는 것" 은 나와 맞지 않다.) → "헬스장에 가면 운동이 너무 지루하고, 그 시간 동안 다른 사람들과 함께 있는 게 싫어서 나는 그게 잘 안 맞아." 와 같은 느낌

  • The gym isn't for me. ("헬스장" 자체가 나와 맞지 않다.) → "헬스장은 정말 내 스타일이 아니야. 그냥 집에서 운동하는 게 더 좋아. 거기 분위기도 나랑 안 맞고, 내가 할 수 있는 운동이 아니야." 와 같은 느낌

결론적으로 Blind dating isn't for me. 가 좀 더 포괄적이고 넓은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Going on blind dates isn't for me. 는 그보다 구체적인 행위에 대한 표현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go on의 쓰임을 알고 싶어요

go on bline dates가 소개팅하러 가는것이라고 하셨는데

  1. go on은 원래 계속 되다. Life goes on처럼 동사의 뜻으로 계속되다의 뜻으로 알고 있었는데요.

  1. ~을 하러 가다의 뜻으로 지금 go on blind dates처럼 go on+명사(행사나 장소) 의 형태는 '그런 것을 하는 것'의 뜻인가요?

Go on an outing(야유회가기), Go on a survey(설문참여하기, 물론 take part in a survey가 정확한지 알지만) go on +명사를 두루써도 별 문제가 없나 궁금해서 여쭙니다.

  1. 마지막으로 go~ing를 써서 ~을 하러 가다는 표현이 되는데 그때는 뒤에 동사가 와서이고, 이건 명사로 같이 쓸수 있는건지도 궁금해서요

답변

우선 1번에 말씀하신 go on 과 2번에 나온 go on 은 다른 용도로 쓰입니다. 1번의 go on, 즉 Life goes on. 에 등장하는 go on 은 구동사로 이해하신대로 "계속되다, 진행되다" 의 의미를 가집니다. 즉, 여기서 on 은 go 와 결합하여 하나의 의미를 형성하는 구동사의 일부입니다.

2번의 'go on + 명사' 형태에서의 on 은 전치사로, 뒤에 오는 명사와 연결되는 역할을 합니다. 즉, go on 이 아니라 'on + 명사' 의 구조로 이해해야합니다. 이 표현은 "어떤 활동이나 경험을 하러 가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며, 뒤에 나오는 명사는 특정한 경험이나 활동을 나타내야 합니다.

예시로 드리자면:

  • go on a trip (여행을 가다)

  • go on a date (데이트하러 가다)

  • go on a picnic (소풍을 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go on + 명사' 와 'go -ing' 을 비교해드리자면:

  • go on + 명사: 특정한 행사나 경험을 의미 (여행, 데이트, 행사, 모험 등)

  • go -ing: 보통 야외 활동이나 신체적인 행동을 의미 (걷기, 수영, 등산, 쇼핑 등)

그래서 예시로 비교를 해보자면: go on a date: 특정한 데이트 경험을 의미 go dating → 잘 쓰이지 않음

go on a trip : 여행이라는 경험을 강조 go travelling : 여행하는 행동 자체를 의미하며, 여러 곳을 다니는 느낌

go on a walk : 산책이라는 경험을 강조 go walking : 걷는 행동 자체를 의미

즉, go on 은 특정한 이벤트나 경험을 강조하고, go -ing 는 행동 자체를 의미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Small Talk 질문 & 답변

3번 예문 두번째 문장에서, 제가 한글보고 작문해 볼 때, '힘들것 같다' 부분을 'seems like hard work' 말고, seems like pretty hard. 라고 했는데, 이렇게 표현해도 될까요?

답변

뜻은 통할 거예요^^

다만, Seem like 다음에는 명사만 나올 수 있어요.

Pretty hard 라고 하려면 seems pretty hard 라고 표현해야 해요^^

<Seems like 명사> 혹은 <seems 형용사> 이렇게 알아두시면 되어요^^

스몰톡 관련 질문: make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를 It seems hard to make them study로 사용해도 자연스러운가요?

답변

Making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 는 너무 자연스럽게 들리는 반면 It seems hard to make them study 는 어색하게 들립니다.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뭔가가 어색해요.

이런 부분은 논리적인 이해의 영역을 벗어난 감의 영역인 것 같습니다.

운전하는 건 스트레스다 라고 한다면 Driving can be stressful 이 자연스럽지, It is stressful to drive 는 자주 들어보지 못한 문장인 것과 같다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Electric cars are not for me. We have many charging stations around now, but it still feels like a hassel. 문장에서 it이 지시하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앞에 다 복수명사만 있는데 앞문장 전체를 받는건가요? 아니면 충전하는것을 말하나요?

강의 첫강인데 잘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이 때의 it 은 충전소를 찾고, 충전을 하는 행위 등을 퉁치는 지시대명사 it 입니다.

이렇듯 앞에 나온 정보 여러가지를 포괄적인 하나의 의미 덩어리로 표시할 때에도 it 이 자주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어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예문 중 You're really great around kids. Have you ever thought of being a teacher? 관련 질문입니다.

아이들과 잘 어울리니 선생님이 되는 걸 고려해봤냐는 질문인데요.

만약 상대방이 교사가 아닌 다른 일을 오랫동안 해온 경우(이미 다른 결정을 내린 경우)에도 이렇게 질문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서, 오랫동안 다른 나라에 이민해 살고 있는 분에게 Have you ever thought of living in Korea? 이렇게 질문해도 어색하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이미 다른 결정을 내린 상황이라면 현재완료대신 과거시제나 과거완료를 써야할까요?

답변

이런 경우에서의 현재완료는 자연스럽습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예의에 어긋나는 경우가 있기는 합니다. 지난 달에 세종시에 집을 사서 입주를 앞두고 있는 사람에게 Have you ever thought of living in Seoul? 라고 하는 것은 그럴 수 있습니다.

질문주신 취지를 알 것 같아요. 방금 제가 제시한 rude 한 경우가 아니라면 현재완료 괜찮습니다^^

I recommend watching Stranger Things to practice listening. 문장 설명하실 때 recommend 뒤에는 주어 + 동사 또는 동명사가 온다고 하셨는데요, 화면에 나온게 오타인지는 모르겠지만 I recommend you watching으로 쓰셨거든요. you가 안들어가는게 맞는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recommend watching과 recommend you watching 먼저 책과 예문에서 나온 recommend watching과 선생님께서 설명을 하실 때 말씀하신 recommend you watching 때문에 헷갈리셨던 점 이해합니다.

이해하신 것과 같이 recommend + 동명사(동사-ing) (recommend watching) 형태 혹은 선생님께서 언급하셨던 recommend + 주어 + 동사 (recommend (that) you watch) 형태가 가장 권장하는 형태라 이 둘 중 간단한 형태인 첫 번째 형태가 책과 예문에서는 쓰였고요. 선생님께서는 recommend you watching 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이게 구어체에서는 들릴 수 있는 표현이라 선생님께서 예시 중 하나로 드신 듯 합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I like to play with them but trying to make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에서 왜 tryingto make라는 동사 두개가 와야하나요? 왕초보인 제생각은 trying이 오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making them studytrying to make them study의 문법적 설명 부탁드려요~

답변

안녕하세요~

trying to make them study 에 대한 설명 문장에서 trying to make them study 가 사용된 이유에 대해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예문: "I like to play with them, but trying to make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

우선, 문법적인 설명을 드리자면, 예문에서 trying 은 동명사로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합니다. Trying to make them study ~ = '공부시키려고 노력하는 것' 은 ~ 이기 때문이죠. (즉, 'seems like hard work' 의 주어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trying to make them study' 라는 동명사구 내에서는 'to make them study' 라는 목적어를 이끄는 main 동사 역할을 하는 것이죠.

만일 'making them study' 라고 쓰였으면 동일하게 동명사로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했을테니, 문법적으로는 허용이 가능합니다.

거기다가 한글 문장으로는 "애들이랑 노는 건 좋은데, 공부시키는 게 너무 힘들 듯해요." 라고 되어있어서 이걸 직역했을 때는 '공부시키는 것' 이니 더더욱 making 을 써도 되지 않을까 생각하셨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냥 making 이 아닌 trying to make 라고 쓰인 데에는 이 둘이 주는 뉘앙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trying to make them study = 공부시키려고 시도하는 것 trying(시도하다)는 어떤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여기서 'make them study' 는 그 목표일 뿐이죠. 즉, '공부시키려는 시도'는 결과를 바로 얻지 못할 수 있는 과정을 내포합니다. 또, trying 은 그 자체로 '어려움'이나 '시도 중인 상태'를 강조하는 동사입니다. 그렇기에 '공부시키려고 노력하는 건 힘들다'는 느낌을 자연스럽게 주게 됩니다.

making them study = 공부시키는 것 반면에 making은 그 행위 자체를 말합니다. 즉, '공부시키는 것' 이라는 결과가 이미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냅니다. 또, 'make'는 강제하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making them study' 는 더 강제적인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시도하는 과정의 어려움은 덜 강조됩니다.

즉, 'trying to make them study'는 '공부시키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는 느낌은 주어 힘든 과정을 강조하고, 'making them study' 는 이미 그 행위가 이루어진 상태라는 느낌을 주어 때문에 힘든 느낌이 덜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힘들다' 라는 걸 표현하기 위해 'trying to make' 가 쓰인 것입니다.

추가 예문 하나만 더 드리자면 이렇습니다:

  • "I’m trying to learn English." (영어를 배우려고 시도하는 중이에요.)

여기서는 '배우려고 노력하는 과정' 이 중요하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이 강조된 느낌입니다.

  • "I’m learning English." (영어를 배우고 있어요.)

여기서는 이미 영어를 배우는 과정이 진행 중이라 어려움이 강조되지 않는 느낌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1장에서 You are great around kids 라는 문장이 나오는데요. "애들이랑 정말 잘 노는군요" 이 문장을 You are great around people. You are great around co-workers. 사람들이랑 잘 지내네요. 직장 동료들이랑 잘 어울리네요. 이런 식으로 바꿔서도 사용할 수 있는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입니다!

You are great around ~ 은 이해하신대로 주로 "당신은 ~와 잘 지내네요" 또는 "당신은 ~와 잘 어울리네요" 라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그래서

  • You are great around people.

  • You are great around co-workers.

라고 하셔도 충분히 자연스럽습니다.

이 외에 비슷하게 사용할 수 있는 표현으로:

  • You get along well with ~. You are good with ~. You have a good rapport with ~.

가 있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스터디언 리뷰 복습퀴즈 하고있는데요.. 1.Have you ever thought of being a teacher? About being a teacher of being a teache늬앙스와 의미차이가 궁금합니다. 2.Trying to make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가 정답인데 저는 making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 라고 적었는데, 큰 의미 차이는 없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 You’re really great around kids. Have you ever thought of being a teacher? 애들하고 정말 잘 노는군요. 선생님 할 생각은 해 보셨나요?

B: No, no. Teaching isn’t really for me. I like to play with them but trying to make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 아니요. 저는 가르치는 거랑 잘 안 맞아요. 애들이랑 노는 건 좋은데, 공부시키는 게 너무 힘들 듯해요.

위 예문과 관련해서

두 개의 질문 주셨는데 하나씩 답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thought of (think of)에 대한 설명

문장에서 thought of가 쓰인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여기서 thought about을 사용하는 것도 문법적으로 정확하며, 의미 또한 비슷하게 전달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thought of가 쓰인 이유는 두 표현 간의 뉘앙스 차이 때문입니다.

  • think of과 think about의 차이 - think of: 어떤 생각이나 아이디어를 떠올리거나 상상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 think about: 어떤 주제를 더 깊이 고민하거나 숙고하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그래서 예문으로 나타내면 이런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 Have you thought of being a teacher? = 선생님이 되는 것을 떠올려 본 적이 있느냐?

  • Have you thought about being a teacher? = 선생님이 되는 것을 진지하게 고민해 본 적이 있느냐?

본문의 대화는 가벼운 대화의 맥락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think of가 적합합니다. 화자가 "선생님이 되는 걸 생각해본 적 있느냐?" 정도로 가벼운 질문을 하는 것이지, 깊은 고민을 물어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of가 사용되었습니다.

추가 예문 하나만 드리자면 이렇습니다:

  • I thought of calling you yesterday. (어제 너에게 전화해야겠다는 생각이 잠깐 스쳤어.) → 여기서는 '전화해야겠다는 생각이 순간적으로 떠오른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고민'하거나 '결정'한 과정은 포함되지 않고, 단순히 머릿속에 아이디어가 스친 상황을 나타냅니다.

  • I thought about calling you yesterday, but I got too busy. (어제 너에게 전화할까 고민했는데, 너무 바빠서 못 했어.) → 여기서는 '전화할지 말지 고민한 과정'을 강조합니다. 단순히 떠오른 생각이 아니라, 전화할지 말지 심사숙고하고 결정을 내려는 시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결국 바빠서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했지만, 고민했던 과정이 중요한 부분입니다.

  1. Trying to make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에 대한 설명

문장에서 trying to make them study 가 사용된 이유에 대해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예문: I like to play with them, but trying to make them study seems like hard work.

여기서 making them study 역시 trying to make them study 와 동일하게 동명사구이기 때문에 역시나 문법적으로 허용이 가능합니다.

거기다가 한글 문장으로는 "애들이랑 노는 건 좋은데, 공부시키는 게 너무 힘들 듯해요." 라고 되어있어서 이걸 직역했을 때는 '공부시키는 것' 이니 더더욱 making 을 써도 되지 않을까 생각하셨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냥 making 이 아닌 trying to make 라고 쓰인 데에는 이 둘이 주는 뉘앙스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 trying to make them study = 공부시키려고 시도하는 것

trying(시도하다)는 어떤 목표를 달성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을 뜻합니다. 여기서 make them study' 는 그 목표일 뿐이죠. 즉, '공부시키려는 시도'는 결과를 바로 얻지 못할 수 있는 과정을 내포합니다. 또, trying 은 그 자체로 '어려움'이나 '시도 중인 상태'를 강조하는 동사입니다. 그렇기에 '공부시키려고 노력하는 건 힘들다'는 느낌을 자연스럽게 주게 됩니다.

  • making them study = 공부시키는 것

반면에 making은 그 행위 자체를 말합니다. 즉, '공부시키는 것' 이라는 결과가 이미 이루어진 상태를 나타냅니다. 또, make는 강제하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기 때문에, making them study 는 더 강제적인 느낌을 줄 수 있지만, 시도하는 과정의 어려움은 덜 강조됩니다.

즉, trying to make them study는 '공부시키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는 느낌은 주어 힘든 과정을 강조하고, making them study 는 이미 그 행위가 이루어진 상태라는 느낌을 주어 때문에 힘든 느낌이 덜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힘들다' 라는 걸 표현하기 위해 trying to make 가 쓰인 것입니다.

역시 추가 예문 하나만 더 드리자면 이렇습니다:

  • I’m trying to learn English. (영어를 배우려고 시도하는 중이에요.) → 여기서는 '배우려고 노력하는 과정' 이 중요하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이 강조된 느낌입니다.

  • I’m learning English. (영어를 배우고 있어요.) → 여기서는 이미 영어를 배우는 과정이 진행 중이라 어려움이 강조되지 않는 느낌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why don't you / why do you not의 뉘앙스 차이점

다른 강의에서 봤는데 why don't you의 느낌이 진짜 궁금해서 물어보는 뉘앙스가 아니라고 들었거든요.

예를 들면 아들이 공부안하고 딴청 피울때 엄마가 너 왜 공부안해? 여기서 너 왜 공부안해?는 공부해! 라는 의미잖아요. 그때 why don't you study라고 한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예를 들어서 다같이 술을 마시는데 한명이 안마시길래 너 왜 안먹어??? 라고 진짜 궁금해서 물어볼땐 why do you not drink? 이렇게 표현한다고 들었어요.

답변

Why don't you ~ 는 단순한 궁금증을 표현하는 게 아닌 그 행동을 하라는 제안이나 권유로 주로 쓰이고,

Why do you not ~ 은 그 행동을 하지 않았는지/않는지에 대해 진지하게 묻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Hey, Greg. Do you remember that rowing machine I got for my birthday? Do you remember을 Did you remeber이라고 하면 틀린 문장일까요? 내 생일 선물을 받은게 과거다보니 과거에 받았던걸 기억하니라는 의미에서 Did you 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답변

과거에 있었던 일에 대한 기억이지만 그 기억은 지금 현 시점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do you remember 가 자연스럽습니다. 예를 들어 ‘너 ~~~ 기억하니?” 라고 하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I don’t quite remember (잘은 기억이 안 나) 로 표현하는 것에서 착안을 할 수 있습니다. 평소문으로 바꿔보면 현재형이 자연스럽게 다가옵니다.

Hi, Greg. Do you remember the rowing machine I got for my birthday? Are you interested in it? Turns out it's not really for me. 이 문장에서 Turns out it's not really for me. → It tuns out to be not really for me. 이렇게 바꿔서 써도 괜찮을까요?

강의를 중간에 못 듣다가 이제 다시 처음부터 보고 있네요. 늘 감사드립니다. ^^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It turns out to be not really for me. 는 문법적으로는 맞지만, to be 가 들어가면서 원래의 문장보다 좀 더 복잡한 느낌을 주다보니, 일상적인 대화에서는 잘 안쓰이는 구조이며, 문어체에서 역시 사용될 수는 있지만 그렇게 자주 쓰이는 편은 아닙니다.

또, 이런 구조는 특히나 부정형에서는 좀 어색할 수 있고, 긍정형에서는 좀 더 자연스럽게 쓰일 수는 있습니다. to be 는 본질적으로 상태나 속성을 나타내는 동사이다보니, It turns out to be 와 같은 표현은 주로 어떤 것이 어떤 상태나 특징에 맞다는 사실을 전달할 때 많이 사용되기 떄문이죠.

It turns out to be exactly what I needed. 이런 식으로요.

이 문장에서 to be 는 그 상황에 대해 '무엇이 필요했다'는 것에 대한 상태를 강조합니다. Exactly what I needed는 이 상황에서 '필요한 상태'나 '특성'을 설명하는 것이기 때문에 to be가 자연스럽게 사용됩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Further Studies 질문 & 답변

working from home isn't really for me. 보다 좀 더 세게 표현하는 것이 working from home doesn't really work for me. 라고 가르쳐주셨는데요

QnA 기록을 살펴보니 아래와 같이 답하셨더라구요.

Working from home isn’t for me 는 체질상, 성향상 안 맞다는 뉘앙스가 강한 반면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for me 는 ‘환경, 상황’ 적으로 (집에 애들이 늘 뛰어놀고 그래서; 모시고 있는 부모님이 있어서; 여분의 방이 없어서 등등) 재택이 힘들다는 느낌이 강합니다. 따라서 매우 섬세하게 보면 조금 다른 의미에요.

그렇다면, '환경/상황적으로 어쩔 수 없이 안 돼서 그렇다'는 말이 되는 거라, 뉘앙스가 센 표현이 된다는 뜻이려나요?

답변

네, 맞습니다. 자신의 기호나 취향, 선호도가 아닌 외부 여건 등에 의해서 안 된다는 표현이 something doesn’t work for me 입니다. 어느 것이 더 강하게, 세게 들리느냐는 사람마다 조금의 이견이 있을 수 있다고는 봅니다.

하지만 제 귀에는 doesn’t work 가 조금은 더 세게 들린답니다.

다음은 각각의 예시입니다.

At my company, we can work from home every other week, but working from home isn't really for me. I like being around people.

A: Do you work from home, too?

B: No,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for me. My husband works from home full-time and we don't have the space to support us both.

really 의 위치에 따른 뉘앙스.. 를 생각해보다가 궁금해져서 질문드립니다

쌤께서 가르쳐주신 것에 따라 뉘앙스를 강조부터 톤다운까지 부등호로 정리해보면.. Working from home [really] doesn't work for me. >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for me. > Working from home doesn't [really] work for me. 이렇게 될 것 같은데요.. 만약 really 위치가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really] for me. 여기로 들어가면 어떻게 돼요? 강조 같기도 하고.. 어쨌든 not 뒤에 있으니까 톤다운 같기도 하고요.. 아니면 really 위치를 저기에 안 두나요? 뭔가 어디서 들어본 것 같기도 한데 읽어볼 때마다 느낌이 달라서 질문드립니다 엉엉 감사합니다!!!

답변

이 부분 맞습니다. 다만 2번 문장은 감정의 세기 Working from home doesn't work [really] for me. Really 의 위치가 이렇게 되는 경우는 들어본적이 없어요!!

Really isn’t for me, really doesn’t work, isn’t really for me, doesn’t really work for me 이렇게만 들어봤답니다…..^^

really의 위치가 계속 헷갈려서 위치까지 함께 외우고 있는데요.

really의 위치가 계속 헷갈려서 위치까지 함께 외우고 있는데요. 혹시 아래 두 문장에서 really의 위치에 따라 문법적인 오류가 발생하거나 의미상 차이가 발생할까요?

  1. Working in sales really doesn't suit me

  2. Working in sales doesn't really suit me

답변

Really 의 위치 Really 가 주어 바로 다음에 위치하면 ‘정말 너무 안 맞다’ 는 말이고, 본동사 suit 앞에 위치하면 ‘그렇게 잘 맞지는 않다’ 의 뉘앙스입니다.

Working in sales really doesn't suit me Working in sales doesn't really suit me 추가 예문 두 개를 준비했습니다.

위와 마찬가지입니다^^

  1. This new phone is really not working for me. I can’t figure anything out, it’s so frustrating!

  2. I tried out Apple for my new phone, but it doesn’t really suit me. Samsung was a better fit for me.

문장 내에서의 really의 위치에 대한 규칙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AY 001]의 FUTHER STUDY중에서 두번째 문장의 마지막 부분에 교재에는 "~to really be productive. "로 씌어져 있는데 mp3의 원어민 음성에서는 "~to be really productive." 으로 발음되어 있더라구요

둘 중 어느게 맞는건지 ,둘 다 맞다면 왜 그런건지 문장 내에서의 really의 위치에 대한 규칙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to really be productive 라고 하면 화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해야만 능률이 오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는 어감인데 반해, to be really productive 라고 하면 굳이 다른이와 함께 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productive 하지만, 함께 할 경우에는 더더욱, 제대로 productive 하게 된다는 뉘앙스입니다.

really 의 위치에 따라서 확연한 어감차이가 느껴집니다.

really가 들어가서 톤다운 되는 다른 표현이 또 있을까요? 여러 예시를 봐야 좀 느낌이 올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제목과 같이 really 가 들어갈 때 좀 더 부드러운 표현이라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빡 통하는 느낌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얼핏 느껴지기에는 really 가 들어가니까. '정말, 진짜' 나하고 안 맞는다고 느껴져서 더 강조하는 것 같습니다.

really 가 들어가서 톤다운 되는 다른 표현이 또 있을까요? 여러 예시를 봐야 좀 느낌이 올 것 같습니다.

더불어 really 가 부드럽게 하는 표현으로 사용되는 게 맞다면, 더 강하게 표현하려면 '이건 정말 너무너무 나하고 안 맞아' 어떤 부사를 넣어야 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일반적으로 이런류의 부사가 부정문에서 be 동사 뒤에 위치하게 될 경우 톤다운 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Something isn’t really for me 라고 하면 ‘썩 그렇게 나랑은 맞지 않다’ 는 어감입니다. 만약 세게 이야기 하려면 really 를 be 동사 앞에 붙이면 됩니다.

Something really isn’t for me. 라고 표현합니다. 부정문에서 부사의 위치가 be 동사 앞에 위치하면 강하게, 뒤에 위치하면 약하게 들립니다. 이런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저희 회사 업무 특성상 재택은 아예 불가능합니다 라고 할 때 세게 이야기 하는 경우에는 Working from home just isn’t an option for me 로 표현해서 세게 들리게 할 수 있습니다.

Really 를 주로 긍정문에서 많이 접하다보니 ‘강하게 들리는 느낌과 잔상’ 이 있어서 처음에는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만 오늘 공유드린 설명을 토대로 향후 원어민들이 부정문에서 really 를 사용하는 것을 눈여겨 보시면 좀 더 감이 잡히실 겁니다.

Further Studies에서 really자리 질문입니다.

Further Studies에서 really자리 질문입니다.

to really be productive라고 되어 있는데 성우분은 to be really productive라고 읽으시네요.

이 경우에는 really의 위치는 상관 없는건가요?

답변

to really be productive 라고 하면 화자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해야만 능률이 오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능률이 오르지 않는다는 어감인데 반해, to be really productive 라고 하면 굳이 다른이와 함께 하지 않아도 어느 정도 productive 하지만, 함께 할 경우에는 더더욱, 제대로 productive 하게 된다는 뉘앙스입니다.

really 의 위치에 따라서 확연한 어감 차이가 느껴집니다.

our lab, only the engineer is up to standard. He’s the only one who has decent ability.

isn't/aren't for me에서 'really'가 톤 다운 역할을 한다면, 반대로 '정말' 내 타입이 아니라고 강조할 경우에는 어떤 부사나 표현을 활용할 수 있나요?

추가로 'really' 없이 isn't/aren't for me라고만 할 경우 충분히 단정적이고 단호하게 들리는지도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톤다운이 아닌 더 세게 이야기 하려면 really 의 위치만 바꿔 주시면 됩니다.

Something (doing something) really isn’t for me 라고 하면 아주 강하게 들립니다.

Something really isn’t for me 〉 something isn’t for me 〉 something isn’t really for me 순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You look good. Relaxed. Not being chair suits you. chair에서 학과장이라는 말을 의미하기 위해서 관사 the가 따로 붙지 않아도 될까요? I've found that working on my own doesn't really suit me. 혹시 on my own을 by myself로 바꾼다면 문제가 없을지 그리고 이둘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답변

관직 (군대에서의 소령, 도시의 시장 등등) 의 경우 무관사 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He is mayor of Seoul 입니다.

이 때 by myself 로 바꾸어도 무방합니다. 다만 위의 context 에서 By oneself 를 쓰면 alone 이라는 것을 매우 강조하는 느낌이며 on one’s own 은 그룹환경과 대비해서, 즉 ‘그룹으로가 아닌 혼자 일하면’ 이라는 느낌의 차이는 존재합니다. 아주 미묘한 차이이며 원어민들조차 잘 구분을 못하는 부분이랍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to부정사 질문드립니다~ to부정사 결과적 용법에 대한 답변을 받고 day1에서 했던 예문을 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I need to be around other people to really be productive. (사람들이랑 같이 있어야 진짜로 능률이 오른다.) 라는 예문에서의 to는 결과적 용법인지 부사적용법인지 명확하지는 않다고 말씀하셨는데요,

결과적 용법으로도 해석이 가능한 이유는 어떤 동사로 인해서 가능하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질문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I need to be around other people to really be productive.

이 문장에서의 'to'는 주로 부사적 용법으로 해석됩니다. 부사적 용법에서는 'to'가 목적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경우에 사용됩니다. 즉,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라는 목적이 바로 "능률이 오르기 위해"라는 이유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경우, 'need to'는 목표나 필요성을 나타내며, 'to be around other people'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을 설명합니다. 따라서 이 문장은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목적을 나타내는 부사적 용법입니다.

하지만, 결과적 용법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경우, 문장의 의미가 조금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데, 결과적 용법에서는 'to'가 결과나 상태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예를 들어, 결과적 용법에서는 'need'가 변화나 결과를 나타내는 동사로 사용됩니다. 'need'는 기본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을 나타내기 때문에, 'I need to be around other people'은 결과적으로 "사람들과 함께 있어야만 내가 생산적이 될 수 있다"는 결과적인 상태를 의미하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즉, 사람들과 함께 있음으로써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결과가 뒤따르기 때문에 결과적 용법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장에서 'need'가 결과적 용법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이유는 'need to'가 목적을 넘어서 결과적으로 생산성 향상이라는 상태를 만들어내는 조건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문장은 부사적 용법에 가까우며, 만일 결과적 용법으로 해석된다면 'need' 때문이며, 그 이유는 'need'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조건으로 결과적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for, during, over의 차이 설명 부탁드립니다. 1강에서 over the year 이라는 표현이 나왔는데. for the year과 during the year, over the year의 차이 좀 알려주세요. for와 during은 구체적인 기간 여부에 따라 쓰는 걸로 알고 있는데 혹시 다른 차이도 있을까요? over는 언제 쓰는지를 모르겠네요

답변

해당 전치사의미와 다양한 예문은 <김재우의 기초 영어회화 100> Day 12에서 아주 자세히 설명했으니 강의를 들어보시면 바로 이해가 되실 거에요.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over : 그 기간의 처음부터 끝까지, 공간 천제, 공간 전반에 걸쳐 → 시간 개념으로 올 때도 그 시간 전체에 걸쳐, ~하는 동안

  • over the holiday, over the weekend 연휴 동안, 주말 동안

  • The lights went out during the storm. 폭풍우 동안 전등이 나갔다.

  • I learned a lot over the summer. 이번 여름에 많이 배웠습니다.

  • I haven’t slept much over the last few months. 지난 몇 달 동안 잠을 많이 못 잤다.

  1. during : 전체 기간 속에서 어떤 특정 시점 동안 (뒤에 행위가 많이 옴)

-During my trip, I lost my wallet. 여행 기간 동안 지갑을 잃어 버렸다. = While I was taking my trip, ~.

  • fell asleep during the movie. 영화 보다가 잠이 들었다.

  1. for : 정확한 시간의 길이로 얼마동안 지속했는지 말할 때 (for 다음에는 숫자가 나와야 함 - for five months)

  • He studied English for two hours.

기타 질문 & 답변

긍정문으로 사용할 때 도 가능한가요? somtthing is for me. something work for me.
  1. 긍정문으로 사용할 때 도 가능한가요?! something is for me something work for me

  2. for me 말고 for you,him,her과 같이 다른 대상에서도 사용이 가능할까요?!

위의 경우 문장이 어색하게 들리거나 표현 전달이 어색할지 궁금합니다

답변

긍정문에서 사용이 가능은 하나 something is for me 보다는 something is exactly right for me something is the perfect fit for me 와 같이 표현해서, Working from home is exactly right for me. Working from home is the perfect fit for me 와 같은 방식이 좀 더 자연스럽습니다.

him, her 등이 나오는 건 괜찮습니다. Working from home isn’t for him 등은 괜찮습니다.

사람들에게 제안을 하고 싶을때, 여러가지 표현이 함께 떠올라서,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하나 고민이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더라고요.

제가 현재까지 수강한 강의 중 등장한 제안하는 표현들을 살펴보니 이렇게 아래와 같이 4개로 정리가 되었습니다.

Why don’t we go out and get some nice sashimi? How about we go out and get some nice sashimi? Do you feel like going out and getting some nice sashimi? Do you want to go out and get some nice sashimi?

이 4가지는 거의 동일한 의미로 같은 상황에서 사용해도 무방할지요? 사람들에게 제안을 하고 싶을때, 여러가지 표현이 함께 떠올라서,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하나 고민이 되는 경우가 종종 생기더라고요.

혹시나, 위의 표현을 통해 제안을 할때 제가 주의를 해야하는 점이나, 상황을 고려해서 사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면 말씀 부탁드립니다. 이 부분이 해결되면 고민하는 시간이 단축될 것 같습니다^^

그럼 좋은 말씀 기다리겠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이 부분은 제가 매우 신뢰하는 원어민선생님에게 특별히 설명을 부탁해보았습니다.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수정 없이 그대로 전달드려봅니다.

도움이 되실거에요.

‘Why don’t we…?’ – is a great way to ask someone in both casual and polite settings (although it is not the politest form of asking)

‘Would you like to…’ would be even more formal than this. It expresses the speaker’s opinion in a way that isn’t too straightforward – and suggests that the listener consider their proposal. It also gives the listener room to say no or suggest something else if they don’t agree with the suggestion.

‘How about…?’ is a straightforward request – casual and friendly – and is better for less formal situations.

‘Do you feel like…?’ this question focuses on the other persons mood – and is more open for debate. IT is basically giving the other person control over the choice – and is less forward.

‘Do you want to…?’ – this is straightforward and clear – in a neutral tone – this could be interpreted as almost too straightforward unless you were close to the person – and the tone that it is being spoken in is important.

'굶으면서 다이어트하는 것은 나에게 맞지않아.' 라는 표현을 하고싶을때 Losing my weight which doesn't have any food isn't for me. 가 맞을까요?

답변

Losing my weight which doesn't have any food isn't for me. 이문장은 어색하게 들립니다.

다음과 같은 표현법으로 말하는 것이 원어민들이 좀 더 잘 알아들을 겁니다.

Fasting to lose weight isn’t really for me. Going on crazy diets to lose weight isn’t really for me.

go on a vacation이 아닌 go on vacation a가 빠진 이유가 있는건지 아니면 특별한 이유 없이 숙어 자체로 외워야 하는 건지요 ?

1) go on a business trip 출장 가다 2) go on vacation 휴가를 가다 비슷한 문장구조로 보이는데 2)번에서는 go on a vacation이 아닌 go on vacation a가 빠진 이유가 있는건지 아니면 특별한 이유 없이 숙어 자체로 외워야 하는 건지요 ?

답변

안녕하세요. Trip 은 원래가 셀 수 있는 명사이다 보니 go on “a” trip 으로 표현된 것인데 반해 Vacation 은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셀 수 없는 명사이기에 거의 대부분 go on vacation 으로 무관사 처리를 한답니다.

저도 학생분들과 프리토킹을 하다보면 go on a vacation 이라고 하는 것을 자주 보는데 일반적으로 ‘휴가를 떠나다’ 고 하면 a 없이 go on vacation 이라고 한답니다^^

Trip 은 셀 수 있는데 반해 travel 이 명사로 쓰이면 거의 대부분 셀 수 없는 명사로 a 를 붙이거나 s 를 붙이지 않는 것도 기억해두시고요^^

감사합니다!

'그 직장동료 너랑 잘 맞아? 를 영어로 만들때, is the co-worker for you very well? 이렇게 사용해도 될까요?

그 직장동료 너랑 잘 맞아? 를 영어로 만들때, is the co-worker for you very well? 이렇게 사용해도 될까요?

그리고 아래 문장을 만들어보았는데, 대화체 문장으로서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지 한번 검토 부탁드립니다.

I don’t think working in that company is for you.

Now that I am a little older, lifting heavy weights isn’t for me anymore.

Too frequent going on a business trip isn’t really for me.

Something about working with a picky person is super uncomfortable.

답변

Is the co-worker for you very well? 이 문장의 경우 상당히 어색하며, 알아듣는다 해도 매우 offensive 하게 들립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표현하면 좋습니다.

Do you get along well with your co-workers? Do you click with your coworkers? Do you think you click well with your coworkers, or are you having any problems?

질문 문장들에 대한 피드백입니다.

  1. I don’t think working in that company is for you. (매우 직설적이고 무례하게 들립니다.) 아래와 같이 애둘러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How about exploring other options? It seems like you’re not a good fit for that company. I think you could find another place that appreciates you more. I don’t think working in that company is for me (이렇게 자신에게 말할 때는 자연스럽습니다.)

  2. Now that I am a little older, lifting heavy weights isn’t for me anymore. (가능합니다)

  3. Too frequent going on a business trip isn’t really for me. (어색합니다) 다음과 같이 표현해야 합니다.

  • Going on frequent business trips isn’t really for me.

  1. Something about working with a picky person is super uncomfortable. (뭔가 어색합니다.) 다음과 같이 표현하면 좋습니다.

  • My manager is super picky and demanding. (Something about) working with her is just not for me.

  1. We have more fitness centers around now, but it still feels like too much of a hassle to go to exercise. (원어민이 정확하게 못 알아들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 Even though there are a lot more gyms open in my neighborhood these days, it still feels like too much of a hassle to get off my butt and go exercise. ( to go out and exercise )

  1. Among workers in the lab, only the engineer has a decent ability to work properly. (매우 어색합니다) 다음과 같이 표현하면 좋습니다.

  • Out of all the workers in our lab, only the engineer is up to standard. He’s the only one who has decent ability.

난 너랑 안 맞아.You're not for me. 맞는 표현 일까요?
  1. 난 너랑 안 맞아. You're not for me. 맞는 표현 일까요?

  2. 민재는 걔랑 안 맞아. Minjea isn't for her. 맞는 표현일까요?

답변

  1. 문법적으로는 가능하지만 너무 세게 들립니다. 차라리 I feel like this isn’t working 이라고 해서 ‘아무래도 우리는 아닌 것 같아’ 로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이 표현도 너무 세게 들립니다. 따라서 Minjae's not a good fit for her' or 'They're just not right for each other.’ 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생님께서 동사 recommend 부분에 대해 설명해 주실 때, recommend 다음에는 주어+동사 또는 동명사가 나온다고 설명해 주셨는데

예문으로 "recommend you watching"이라고 하셔서 해당 예문에서 you가 나온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Recommend 다음에 동명사가 바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동명사의 행위주어가 명시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때는 Recommend 행위주어 ~ing 의 모양을 띠게 됩니다. 결국 그 행위를 하는 주체는 you 이니 명시를 하는 것인데 이를 that 절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I recommend you do something 또는 I recommend you doing something 이 되는 것이죠^^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Something isn't really for me. / Raw fish just isn't for me. just 위치는 be동사 보다 먼저 와야하는건가요?

답변

안녕하세요. 네, 여기서 just 는 isn’t 앞에 오는 것이 맞습니다.

just 는 위치에 따라 의미가 변경이 되는데, just 가 isn’t 의 앞에 오면 ‘isn’t for me’, 즉, ‘나한테는 아니다 (안 맞다)’, 를 수식 및 강조하게 되는데, just 가 isn’t 의 뒤로 간다면 ‘for me’, 즉, ‘나만을 위한 것’, 을 수식 및 강조하게 되어서 ‘나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다른 사람들도 위한 것이라는 뜻을 내포) 라는 의미가 되기 때문입니다.

[Day 1-1] Which I think is a pretty decent figure 에서 Which의 역할과 is가 사용될 수 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영어회화100을 수강하고있는 왕초보 학생입니다.

DAY1-1 마지막 예문 중 [Day 1-1] Which I think is a pretty decent figure 에서 'Which의 역할'과'의미 그리고 'is가 사용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I think 에서 이미 동사가 언급이 되어 is가 사용불가능 할 것 같은데 어떻게 is가 사용될 수 있나요?

그리고 which의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열공하고 계시는 것 같아 좋습니다.

Which 의 경우 두 가지 선행사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The cruise ship, which will depart from Liverpool for a fifteen-night Mediterranean cruise, returns to the Mersey on 29 September. 이 문장의 경우 앞에 위치한 하나의 명사가 선행사인 경우입니다.

2. 앞 문장 전체를 받는 which 가 있습니다. 위에서 소개된 문장이 바로 그러한 경우입니다. She seemed more talkative than usual, which was because she was nervous. 이 문장 역시 앞문장 전체인 she seemed more talkative than usual (평소보다 말이 많았다) 이라고 하는 문장 전체가 which 의 선행사입니다.

도움이 되셨을까요? 혹시라도 추가 예문이나 설명이 필요하시면 주저없이 질문주시고요^^

김재우 영어 회화 100 완강 후 복습하면서 문장암기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문장 암기는 우리말 스크립트 보고 영어 원문이 생각날 정도로만 암기하면 되나요? 아니면 스크립트도 안보고 영문을 암기 하는 것이 좋은가요 궁금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답변드리자면, 사람마다 최적의 학습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없지만, 본인에게 가장 효과적이고 편안한 방식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한글 스크립트를 보고 영어 원문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암기하는 방법은 실제로 빠르게 영어를 표현해야 하는 상황에서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한글 스크립트를 통해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문맥을 파악하면서 영어로 연습하면, 자연스러운 말하기 능력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암기에만 의존하는 경우 응용력이 부족해질 수 있기 때문에, 문장 구조와 패턴을 이해하면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한글 스크립트를 보고 영어 원문을 떠올릴 수 있을 정도로 암기하는 것도 효과적이지만, 꾸준한 복습, 듣기와 말하기 연습, 그리고 실제로 영어 표현을 작문하고 활용하는 것이 실력을 높이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can 과 can't의 발음, 듣기 차이

토플 시험 준비까지는 그럭저럭 했는데 실제 영어 회화는 안늘어서 포기 했었습니다. 이런 저런 회화 강의 구독도 했었는데 흐지 부지 포기 했었습니다. 스스로 한국말이 뼈속에 사무쳐서 더 이상 안된다는 변명을 했었어요. 그런데 이 책은 3번 째 다시 듣기 시작했네요. 김 선생님이 모국어 간섭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설명을 해주셔서 저는 희망을 가지게 됬고 이제는 미드 볼때 한국어 자막은 영어 자막 봐도 뭔 말인지 모를 때만 켜 봅니다. 좋은 책 써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 한번은 하고 싶었습니다.

영어 문장을 들을 때 can 과 can't가 구별되어 들리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듣기 요령이 있는가요?

구별되어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문맥상으로 can 인지 can't 인지 알아 내야하는 것인가요?

저는 아주 오래전부터 겪어 왔던 문제인데 진짜 선생님께 물어볼 기회가 생긴 것 같아 여쭈어 봅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원어민들이 두 단어를 말할 때 특히 빠르게 발음하거나 축약하기 때문에 더 구별하기 힘들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몇 가지 듣기 요령을 통해 이 둘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문맥은 "can"과 "can't"를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단서입니다. 상황에 따라 어떤 단어가 더 적합한지를 생각하며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주 듣는 표현을 반복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어민이 사용하는 can과 can't의 발음 차이를 익히기 위해 여러 상황에서 녹음된 회화를 자주 들어보세요.

실생활에서 문장이 나왔을 때, 그 상황에서 논리적으로 어떤 단어가 더 맞는지를 유추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누군가가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지 없는지 말할 때, 그 사람의 능력이나 상황을 고려하면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Day 1 추가설명에서요~ The economy grew by 2.5% last year which I think is a pretty decent figure. 에서 which가 무엇이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요? Which I think 가 삽입절이기때문에 is 가 와야한다고 하셨는데요 무엇이 삽입절인지 설명부탁드려요~

답변

안녕하세요!

The economy grew by 2.5% last year which I think is a pretty decent figure.에서 'which'의 역할 'which'는 여기서 관계대명사입니다. 'which'는 앞 문장의 전체 "The economy grew by 2.5% last year."를 가리키며, 그 전체를 설명하는 관계절을 이끕니다. 즉, 'which'는 문장의 앞 부분의 내용을 추가 설명하는 역할을 합니다.

which I think = 삽입절 삽입절은 문장에서 주로 중간에 삽입되어 문장의 흐름을 잠시 멈추게 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I think'는 화자의 생각을 추가하는 내용입니다. 이 삽입절은 문장에서 없어도 의미가 완전하지만, 화자의 의견이나 생각을 추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맞지않다는 표현 - 확인차 질문 드립니다. 오늘 배운 3가지 표현 나랑맞지 않다는 3가지 모두 긍정으로 표현해서 나랑 잘 맞다로 사용해도 되는거지요?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Day 1 에서 나온 세 가지 표현을 모두 긍정적으로 바꾸어서 '나랑 잘 맞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예시입니다:

  1. ~ isn't/aren't for me ~ is/are for me. ~ isn't/aren't really for me. ~ is/are really for me.

This job is for me. (이 일은 나랑 잘 맞아요.) This style is really for me. (이 스타일은 정말 나랑 잘 맞아요.)

  1. ~ don't/doesn't work for me. ~ work(s) for me.

This plan works for me. (이 계획은 나랑 잘 맞아요.)

  1. ~ don't/doesn't suit me. ~ suit(s) me.

This outfit suits me.(이 옷은 나랑 잘 맞아요.)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책에 없는 예문들을 말씀해주시는데 어디서 확인할수있나요?(책은 ebook으로 교보문고에서 구매했습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강의를 열심히 수강해 주셔서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책에 없는 예문들은 선생님께서 인강을 수강하시는 분들만을 위해 추가로 제공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강의를 통해 책의 내용을 보완하고, 실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예문을 배우실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예문들은 인강에서만 확인하실 수 있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많은 학습자분들께서는 인강에서 소개된 예문들을 필기하거나 엑셀로 정리하면서 활용하고 계시니, 이 방법도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추가로 말씀드리면 자료실에 있는 "유료 강의 수강자에게만 제공되는 추가 예문 오디오북"을 클릭하시면

강의 수강생 분들께만 제공해드리는 음원과 자막 파일로 강의 중 선생님이 알려주시는 모든 예문을 원어민 성우의 발음으로 녹음하였으며 유튜브 화면으로 해당 예문을 보실 수 있습니다.

Day 1 부터 추가 예문을 순서대로 보실 수 있습니다. 학습하실 때 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