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54

전치사 over 다양하게 활용하기 / 책 195p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Koreans seem to love bonding over pork belly and soju.(한국인은 삼겹살과 소주를 하면서 친해지는 것을 좋아하는것 같아.) 선생님께서 가장 적절하고 원어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bond 라는 단어를 설명해주셨는데요, 혹시 이 단어 대신, getting close with others 로 바꾸는 것은 의미나 어법상 어색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문의 주신 예문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Getting close with others over pork belly and soju"로 바꾸면 의미는 비슷하게 전달되지만, 약간 덜 구체적이고 자연스러움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Bonding"은 감정적 유대가 형성되는 과정 자체를 의미하는 반면, "getting close with others"는 단순히 친해지는 과정을 좀 더 설명하는 표현이라 어법상 문제가 되진 않지만, "bonding"이 더 간결하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over drinks instead of coffee 대신에 1)over drinks not coffee 2)over drinks no coffee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not, no 중에 어떤 표현이 더 맞는걸까요?

답변

질문 감사합니다. :)

네, 두 표현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그러나 각각의 표현은 다소 다른 뉘앙스를 가지고 있으며, 강도와 사용 맥락에 따라 적합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over drinks, no coffee

  • 의미: 커피를 완전히 배제하고 술만을 권유하는 강한 표현입니다.

  • 표현 강도: 가장 강한 표현으로, "커피는 아예 아니고 술로만 이야기하자"는 뜻을 확고하게 전달합니다.

  • 적합한 상황: 화자가 커피를 철저히 배제하고 술을 필수로 여기며, 이 자리에서는 반드시 술이 필요하다고 느낄 때 적합합니다.

  1. over drinks, not coffee

  • 의미: 커피보다는 술을 선호한다는 부드럽고 친근한 권유를 전달합니다.

  • 표현 강도: 중간 정도의 강도로, "커피보다는 술이 더 나을 것 같아"라는 느낌을 주어, 상대방이 부담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자연스럽고 회화적인 뉘앙스를 제공합니다.

  • 적합한 상황: 화자가 커피보다는 술을 선호하지만, 상대방이 부담 없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부드럽게 제안하고 싶을 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1. over drinks instead of coffee

  • 의미: 술을 선택하면서 커피를 대체하는 가장 중립적인 표현입니다.

  • 표현 강도: 중립적이며, 두 선택 중 하나를 대체하겠다는 의도를 간결하고 직접적으로 전달합니다. 감정적 강조가 적어 상대방이 제안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좋습니다.

  • 적합한 상황: 커피 대신 술이 더 어울리는 자리라고 느끼지만, 특별한 감정적 강조 없이 단순히 선택지를 알려주고 싶을 때 적합합니다.

★ 추가로 말씀하신 예문에서 "over drinks instead of coffee"를 선택한 이유는 화자가 진지한 조언을 구하고 있는 상황을 반영하기 때문입니다. "I need some serious relationship advice"라는 문장에서 알 수 있듯이, 화자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고 싶어합니다. 이럴 때 "instead of coffee"는 편안하고 가벼운 대화보다는 보다 진지하고 솔직한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적합한 선택입니다.

"instead of"라는 표현은 두 선택 중 하나를 명확히 대체하는 역할을 하며, 술이 진지한 대화에 더 적합하다는 화자의 생각을 간결하고 직관적으로 전달합니다. 이렇게 선택된 표현은 상대방에게도 자연스럽게 이해될 수 있어, 화자가 원하고자 하는 바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끝으로 다른 문장에서도 적용하실 수 있도록 각 표현의 차이를 요약해 보자면:

  • instead of: 한 선택을 다른 선택으로 명확히 대체하는 중립적이며 직접적인 표현. 감정적 강조가 적어 상대방이 부담 없이 받아들일 수 있음.

  • no: 특정 선택을 완전히 배제하는 강한 표현. 단호한 느낌을 주어 상대방에게 확고한 의사를 전달.

  • not: 특정 선택을 선호하지 않거나 제외하되 부드럽고 친근하게 표현. 상대방이 부담 없이 받아들이도록 유도함. 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입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over 대신 with를 써도 되지 않나요? Model examples에서 예를 들어 1) Maybe we could talk about that over dinner → with dinner. 2) I'm sorry. I have to go now, but let's catch up later. Maybe over some coffee. → Maybe with some coffee 등과 같이 with와 over의 차이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합니다. :)

over 대신 with를 사용해도 되는지 물어보셨네요.

이 둘은 비슷한 구조로 문장에서 쓰일 수 있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 [활동 1] over [활동 2]

  • [활동 1] with [활동 2]

이렇게 구성이 된다는 전제하에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1. over와 with의 차이

over

  • 활동 2는 시간적 배경이나 환경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 즉, 활동 1이 더 주된 초점이며, 활동 2는 부수적 역할을 합니다.

  • 비유하자면, 활동 1은 무대 위 주인공이고, 활동 2는 무대 배경입니다.

with

  • 활동 2는 동반이나 수단으로 사용되며, 활동 1과 동등하거나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합니다.

  • 비유하자면, 활동 1과 활동 2가 나란히 서 있는 협력 관계입니다.

이 차이를 바탕으로 질문 주신 예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 Maybe we could talk about that over dinner. vs. Maybe we could talk about that with dinner. Maybe we could talk about that over dinner. - "저녁 식사를 하면서 그 이야기를 하자"는 뜻입니다. - 저녁 식사는 대화가 이루어지는 시간적 배경일 뿐이고, 초점은 대화 내용에 맞춰져 있습니다.

  • Maybe we could talk about that with dinner. - "저녁 식사와 함께 그 이야기를 하자"는 뜻으로, 이 경우 저녁 식사가 더 부각됩니다. - 원어민 입장에서는 약간 부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마치 대화보다 무엇을 먹거나 마실지에 초점이 맞춰진 것처럼 들리기 때문입니다.

  1. Maybe over some coffee. vs. Maybe with some coffee. Maybe over some coffee.

  • "커피를 마시면서 다시 이야기하자"는 뜻입니다.

  • 커피는 대화가 이루어지는 배경으로 설정되고, 대화가 주된 초점입니다.

  • Maybe with some coffee. - "커피와 함께 다시 이야기하자"는 뜻으로, 이 경우 커피에 더 초점이 맞춰지는 느낌입니다. - 문맥에 따라 대화를 위해 커피를 준비하자는 의미로 오해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1. with가 자연스러운 경우

위의 상황에는 with가 좀 부자연스럽다고 설명을 해와서, 어떤 상황에서 with가 자연스러울지에 대한 추가 설명 드려보려고 합니다.

A) 음식이나 음료가 활동의 보완적 역할을 할 때

  • I’ll have wine with dinner. "저녁 식사와 함께 와인을 마실 거야" → 저녁 식사와 와인이 동등하게 중요한 활동으로 표현됨

B) 활동 1과 활동 2가 나란히 중요한 경우

  • She enjoys reading books with her morning tea. "그녀는 아침 차를 마시며 책 읽는 것을 즐긴다" → 책 읽기와 차 마시기가 조화를 이루며 강조됨

C) 특정 도구나 수단을 동반할 때

  • He fixed the problem with a wrench. "그는 렌치를 사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 렌치가 문제 해결에 있어 중요한 수단임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Small Talk 질문 & 답변

Maybe it should be over drinks에서 it should be 문장이 "해야할듯" 이라고 해석된다는게 이해가 안 돼요. be 뒤에 생략된게 있는 건가요?

it이 앞에 something to share with you를 가리키는 대명사인 것 같은데 should be뒤에 뭔가 오지 않고 be로 끝나는 게 잘 이해가 안 돼요

답변

뭔가 있어야 한다는? 느낌 이해는 되어요^^

예를 들어 it should be done 과 같이 하다 못해 done 류가 있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신거죠? 그런데, 오히려 이런 게 없는 게 자연스럽게 들려요 ㅠ

It 은 the ‘action of talking with each other to share something’ 을 가리키고요.

The action should be (이야기는 진행되어야 한다) drinking something (뭔가를 마시면서)

이런 구조로 이해해 주시면 될 듯해요!

Small talk 에서 알려주신 내용 추가 문의 : "살펴보다" 라는 의미를 갖는 구동사들 간 차이 문의 드립니다.

Day 54 강의에서 look at / look through / go through 정리를 해주셨는데, Day 9/11 에서 나온 go over , Day 17 에 나왔던 look over , Day 56 에서 정리해주신 check out 포함해서 비교해주실 수 있을까요? 중급 수준으로만 답변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1. look over 와 look through 는 비슷해 보이는데 구분해서 사용하나요? 아니면 일반적으로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나요?

2. go over 와 go through 도 마찬가지로 비슷해 보이는데 구분해서 사용하나요? 아니면 일반적으로 혼용해서 사용할 수 있나요?

3. check out 과 go through 도 뉘앙스가 비슷한가요? 차이를 구별해야 하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영어 학습에 대한 열의가 정말 대단하십니다! 문의하신 내용에 대해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네, look over와 look through는 비슷하게 보이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어, 상황에 따라 구분해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적으로 혼용하기보다는 각기 다른 의미로 활용됩니다.

Look over는 주로 간단히 훑어보거나 검토하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 Could you look over my report and check for any mistakes before I submit it? 제출 전에 제 보고서를 검토해 주시고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 주실 수 있나요?

Look through는 비슷하게 읽어보거나 살피다라는 의미로 쓰이지만, 그 외에도 '~ 속에서 찾다', '~을 통해 보다', 또는 '보는 척하지 않다'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I need to look through these documents to find the missing information. 누락된 정보를 찾기 위해 이 문서들을 자세히 살펴봐야 해요.

  • She looked through the window and waved at Tom. 그녀는 창문을 통해 밖을 보고 톰에게 손을 흔들었어요.

  • He looked through me without even saying anything. 그는 아무 말도 없이 나를 투명인간 취급했어요.

  1. Go over와 go through도 비슷해 보이지만, 문맥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두 표현은 일반적으로 혼용되지 않고 각기 다른 뉘앙스에 맞춰 사용됩니다.

Go through는 보통 자세히 살펴보거나 처리하다, 혹은 어떤 경험을 겪다라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자료를 꼼꼼히 검토하거나 특정 경험을 겪는 상황에 적합합니다.

  • She had to go through all her notes to prepare for the exam. 그녀는 시험 준비를 위해 모든 노트를 자세히 살펴봐야 했습니다.

  • He went through a lot of challenges before he finally succeeded. 그는 마침내 성공하기까지 많은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 They went through the photos to find the best ones for the album. 그들은 앨범에 넣을 최고의 사진을 찾기 위해 사진들을 꼼꼼히 살펴봤습니다.

따라서 go over는 간단히 검토할 때, go through는 자료를 세심히 살피거나 어떤 경험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더 적합하게 사용됩니다.

  1. Check out과 go through는 비슷하게 사용되기도 하지만, 미묘한 차이가 있어 문맥에 맞게 구분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Check out은 주로 간단히 확인하거나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는 상황에 사용됩니다. 꼼꼼하게 살펴보기보다는 가볍게 확인하는 뉘앙스입니다.

  • Before buying the laptop, I want to check out some online reviews. 노트북을 사기 전에 온라인 리뷰를 간단히 확인하고 싶어요.

Go through는 더 철저히 살펴보거나 체계적으로 검토할 때 사용됩니다. 세부 사항을 꼼꼼하게 살펴보거나 검토하는 과정이 강조됩니다.

  • I need to go through these documents and check for any errors. 이 문서들을 자세히 검토해서 오류가 있는지 확인해야 해요.

따라서 check out은 흥미나 가벼운 확인을 의미하는 반면, go through는 세밀하게 검토하거나 꼼꼼하게 확인할 때 적합한 표현입니다.

이렇게 설명드리고 예시까지 드렸지만, 여전히 헷갈리실 수 있다는 점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추천드리고 싶은 방법은 다양한 예문을 많이 접하고 꾸준히 공부하시는 것입니다. 그러다 보면 문맥과 상황에 맞는 표현을 자연스럽게 익히실 수 있을 거예요. 문장 속에서 표현의 뉘앙스를 자주 경험하면서 감각적으로 익히는 게 가장 효과적이랍니다.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You know, preparing a holiday meal can be really stressful, not to mention all the cleaning up after. '두말하면 잔소리, ~는 말할 것도 없고' 의 의미로 not to mention다루어 주셨는데, It goes without saying ~~과 같이 혼용해 써도 뉘앙스 차이 없을까요?

It goes without saying that ~~ : 두말하면 잔소리지, 말할 필요도 없지

제가 본 바론 saying뒤에 주로 that절이 오더라구요.

It goes without saying that Monday is the toughest day to get through.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is place has the best cheesecake in town.

답변

위의 문장에서는 not to mention 을 it goes without saying 이라고 해도 되어요^^ 전혀 문제 없을 듯 합니다!

It goes without saying 다음에 절이 오는 것도 맞아요^^ 그리고 not to mention 도 뒤에 절이 올 수 있어요. 절이 오는 경우가 굉장히 많습니다.

다만, it goes without saying 은 굉장히 단호하고 단정적으로 들려요. 좀 더 formal 한 표현이기도 하고요^^

다음은 원어민 선생님이 제시한 문장들이니 참고해주세요^^

It goes without saying that you are going to be promoted. All you have to do is wait. ( stating the obviousness of the promotion happening – assertive nuance )

Sales have been going up! Not to mention you’re probably going to get promoted soon! ( more about adding information – casual nuance )

There's no better way to catch up with your family than over royal court cuisine. 문장관련 질문 드립니다. 위 문장을 There's nothing like catching up with your family over~ 로 대체 가능할까요?

혹시 이 문장을 There's no better way than catching up with your family over~ 이렇게 바꿔 쓰면 문법적으로 맞지 않는 것일지 궁금합니다.

의미상 큰 차이가 없어보여서 혹시 가능한지 질문 드립니다.

답변

No better way 가 nothing like 보다 훨씬 더 강하게 들리고 좀 더 광고문구 같이 들립니다.

No better way to catch up 대신에 no better way than catching up 도 가능은 하며, 이 역시 광고 문구 같이 들립니다.

따라서 일상에서 나누는 대화에서는 there’s nothing like 가 좀 더 자연스러울 수 있어요^^

There's no better way to catch up with your family than over royal court cuisine. 이 문장에서 than이 들어간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해당 문장은 비교급의 형태를 띠어야 하기 때문에 than 이 꼭 있어야 해요. 짐작컨대 over 와 같은 전치사가 있다보니 than 이 없어도 되지 않는가? 이런 데서 의문이 시작된 것 같은데요.

비교급의 가장 기본은 ~er 또는 than 이기에 이 때는 뺄 수 가 없어요^^

I can’t think of a better word ~~~ than “Happy.” 라는 문장에서 than 을 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겠어요^^

"저녁 외식으로 스트레스를 피하세요." Avoid the stress by going out for dinner. 대신에 eating out 으로 바꿔써도 괜찮을까요? 두 표현의 의미 차이가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문의 주신 예문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Avoid the stress by going out for dinner' 대신에 'eating out'으로 바꾸어 'Avoid the stress by eating out'이라고 표현해도 괜찮습니다. 두 표현 모두 비슷한 의미를 전달하지만, 약간의 뉘앙스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의미 차이는 크지 않지만, "eating out"이 좀 더 폭넓고 포괄적인 표현입니다. 문맥에 따라 둘 다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둘 중 하나를 선택해도 어법적으로 문제가 없습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There is no better way to catch up with your family than over dinner ~. 이 문장이 헷갈려서요. than 뒤에 오는게 비교대상으로 더 좋다 라는 뜻인건가요? 왜 than 이 어색하게 느껴질까요? something better than sth 이렇게 비교급에서 than이 쓰여야하는건 알겠는데 해석이 이상하게 되고 와닿지가 않아요.

There is no better drink than coffee. 저한테 than 은 이렇게 than 뒤에 있는게 더 좋다 이런 느낌으로 와닿는데 어떤식으로? 저게 다른것과 비교하는 느낌인지 모르겠어요. 제대로 감을 못잡고 뭐가 헷갈리는지도 잘 모르는 느낌이라 질문이 모호하네요ㅠㅠ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드립니다!

There is no better way to catch up with your family than over dinner. 의 구조가 좀 복잡해보일 수 있고, 사실상 이 문장에는 생략된 부분도 있고, 거기에다가 한국어 문장은 의역을 한 것이라 충분히 헷갈리실 수 있습니다!

제가 조금만 이 문장 구조를 단순화해드리고, 최대한 설명드려보겠습니다.

예시로 언급해주신: There is no better way to catch up with your family than over dinner. There is no better drink than coffee.

둘 다, There is no better A than B. 구조 라고 정리를 할 수 있는데요. 직역을 하자면: B 보다 더 좋은 A는 없다. 여기서 A는 범주 (즉, 비교의 기준이 되는 대상의 종류), 그리고 B는 그 범주에서 최고의 항목 (즉, 그 종류중 최고로 평가받는 구체적인 대상) 이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그래서 예시 중 조금 더 쉬운 문장을 가지고 우선 설명드리자면: There is no better 'drink' than 'coffee'.

A (범주) = drink (음료 전체)

B (범주 안 최고 항목) = coffee (커피라는 특정 음료)

이며 직역하자면: '커피' 보다 더 좋은 '음료' 는 없다. 가 되고 그게 또 전체 음료들 중 다른 음료들보단 커피가 낫다는 게 되는 것이고, 최종적으로는 커피가 그만큼 최고라는 뜻을 의미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 다음 문장을 설명드리자면, 처음에 언급했듯이 아주 약간의 생략이 있다보니 사실상 생략된 걸 포함하면 문장을 이렇게 보아야 하는데요:

There is no better 'way to catch up with your family' than '(any other way) over dinner'.

A: way to catch up with your family (가족과 소식을 나누는 방법 전체)

B: (any other way) over dinner (가족과 소식을 나누는 방법 중 하나인 저녁 식사하며 나누는 방법)

이며 직역하자면: '저녁 식사를 하는 것' 보다 더 좋은 '가족과 소식을 나누는 방법'은 없다. 가 되고 그게 또 전체 가족과 소식을 나누는 방법들 (예를 들어, 통화, 메시지, 산책) 보단 함께 저녁식사를 하는 것이 낫다는 게 되는 것이고, 이것 역시 최종적으로 저녁 식사가 최고라는 뜻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죠.

이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