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051
잘하고 싶은 마음 표현하기 / 책 186p
I want to get batter at golf
Model examples 질문 & 답변
if you really want to get better at anything , you should fully commit to it. 여기서 have to 는 사용해도 되는지요?
should 와 have to 의 어감차이가 존재하나요 ..?
답변
네 가능합니다^^ have to 는 좀 더 직설적이고 강하게 들리며 should 는 조언 정도의 느낌입니다^^
2번 it takes way longer to get better 에서 to 앞에 for 사람이 안쓰였는데 앞에 문장이랑 사람이 동일해서 생략하신 건가요?
시간이 걸리다 it takes 사람 시간 to부정사 // it takes 시간 for사람 to부정사로 알려주셨는데요.
답변
It takes way linger to get better 의 경우 사람이 명시되지 않은 이유는 이때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특정인이 아닌 불특정다수이기 때문이에요^^ (즉, 이 이야기를 듣는 you 만이 아닌 모두에게 해당됨)
일반적인 사실 등을 기술 할 경우는 ‘누구나’ 에 해당하기 때문에 for 사람 등의 의미상의 주어가 불필요하답니다^^
4번문장 I can't seem to get better at anything. 의미상 can't 보다 don't 만 자꾸 떠오르는데 아래 해석대로 이해하면 될까요?
don't : 나는 뭐든 잘늘지 않은것 같아요
can't : 나는 뭐든 잘 늘지 못하는것 같아요
그리고 need가 들어가는 문장도 위와 같은 맥락으로 받아들여 지는데 이부분도 보충설명 부탁드립니다.
I need a buddy 에서 I don't need a buddy 와 I can't need a buddy를 보면 don't는 나의 상황, can't는 외부적인 상황으로 능력이안되는 경우로 사용한다면 I can't seem to get better at anything. 이 문장 또한 뭐든 잘늘지 않는다는 나의 상황에 맞게 don't가 더 어울리지는 느낌이 들어서 질문드렸습니다.
답변
우선, I don’t seem to get better at anything 은 정말 어색하게 들립니다. Don’t 는 다분히 의도된 무엇으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아무리 노력해도 익숙해지지 않는다 고 하면 I can’t get used to it 이나 I can’t seem to get used to it 은 되지만 I don’t get used to 등으로 표현하면 의도적으로 ~에 익숙해지지 않는다는 느낌? 을 줄수 도 있을 것 같아요.
I can’t need a buddy 는 저는 들어본 적은 없는 문장인데, 이걸 외부적인 상황이라는 개념을 끌어들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ㅠ
5번 예문에서 '직접 요리해 오고 있다'는 표현이 I’ve been cooking for myself…라고 되어 있는데, by myself 라고 하면 의미가 달라지나요?
제가 느끼기엔 for myself는 나를 위해 요리한 느낌이고, by myself 라고 해야 나 스스로 직접 요리했다는 느낌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By myself 라고 하면 다른 사람의 도움없이 혼자서 (혼자 힘으로) 라는 어감이 너무 강하지게 됩니다. 위 문장에서는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나 혼자의 힘으로 의 의미로 쓰여진 것이 아니었어요.
For oneself 의 사전적 정의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Rather than have someone else do 다른 사람이 아닌 ‘내가’ ‘ 내가 직접’
She did not like just hearing of other's travels. She wanted to see Europe for herself. 다른 사람들 여행 갔다온 이야기 듣는 것 말고 ‘내가 직접’ 가서 체험 하는 것. 따라서 해당문장에서는 for myself 가 정말 자연스럽고 의도에도 맞습니다^^
5번 문장에서 like an hour에서 like의 역할을 알고 싶습니다.
답변
It takes me like an hour 에서의 like 은 about, approximately 의 의미입니다.
원어민들은 일상대화에서 숫자 앞에 like 를 끊임없이 붙여서 표현합니다. 우리말로는 ‘한’ 정도에 해당합니다.
It took me like 2 years to do something 이라고 하면 ~하는데 ‘한’ 2년 걸렸다 정도의 해석입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Small Talk 질문 & 답변
I'll probably need to get~ need to가 ~을 할 필요가 있다는 약간의 미래?를 나타내는 것 같은데 will을 꼭 써야할까요?
small talk 2에서 I'll probably need to get~.
need to가 ~을 할 필요가 있다는 약간의 미래?를 나타내는 것 같은데 will을 꼭 써야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맞습니다. 미래 Will 이 반드시 있어야 된다? 고 하면 할 말이 없어지지만 우리말과 비슷하게 접근하면 됩니다. 나 ~해야 할 것 같아. I think I will have to ask him for some tips. Have to 와 need to 앞에 will 이 붙는 건 1. 미래 2. 톤다운 이런 두 가지 이유입니다^^
저는 뭐든 잘 늘지 않는 것 같아요를 I feel like I can't get better at anything. 이나 I don't feel like I can get better at anything. 로 표현하는 것도 가능한가요?
가능하다면, 모범답안(I can't seem to get better at anything)과는 어떻게 다른지도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요? 감사합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I can’t seem to get better at anything 의 경우 화자가 현재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중간 과정에서 발전이 더디거나 없어서 속상함을 나타내는 가장 자연스러운 표현법이며, 구어체에서 특히 자주 들을 수 있습니다.
I feel like I can’t get better at anything 의 경우 굉장히 심각하게 들립니다. 굉장히 우울해하거나 심각하게 들려서 이 말을 하는 상대를 걱정해야 할 정도입니다.
I don’t feel like I can get better at anything 은 매우 어색한 표현입니다. 우선 feel like 주어 동사 구문의 경우 앞에서 부정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I feel like 주어 부정동사가 자연스럽습니다. Feel like 가 부정으로 쓰이는 것은 완전히 다른 구문입니다.
‘I don’t feel like cooking today, can we order pizza?’ ‘I don’t feel like going out today, I’m just going to stay home.’ 바로 이런 경우이지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일외에는 할 줄 아는게 없는 기분이야 I feel like I have no skill outside of work. 문장을 Day 40에서 알려주신 nothing but 을 이용하여 I feel like I don't have any skills nothing but work. 이렇게 사용해도 의미전달이 비슷할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제시하신 영작도 원어민은 알아들을 것 같아요. 다만, any skills 다음에 잠깐 pause 주고 읽어야 의미전달이 명확할 듯해요^^
다만 문법적으로는 정확성이 떨어집니다. Have 의 목적어가 두 개가 되어버리기 때문이에요.
Any skills 와 nothing but work 둘 다가 명사라서 충돌을 하는 거예요.
철수 only took up the flute after retiring, and now he plays semi-professionally. 에서 only의 역할이 은퇴후에 시작했는데도 준프로급이다의 '강조'의 역할이라면 이런 경우 보통 only 또는 just를 사용해도 되나요?
답변
안녕하세요. 위 문장에서 only 를 just 로 바꾸어 버리면 자칫 ‘최근에, 얼마전에’ 라는 오해를 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좀 조심스러워요. Only 가 안전한 선택이에요. 적어도 해당 문장에서는요.
다만 only 와 just 를 치환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only, just, really, simply 등의 부사에 대해서 날잡아서 제대로 한 번 정리해서 포스팅해 드릴 것을 약속합니다!!
시간이 제법 걸리는 부분이라 좀 기다려주셔요^^ 꼭 할게요!
[3번] 시간투자하다 할때 저는 if you spend on your time, you can get better at anything이라고 했거든요. you set aside enough time말고 u spend on your time이라고하면 이상한가요?
답변
“If you spend on your time, you can get better at anything.” 이 문장은 문법적으로 어색합니다. 영어에서는 "spend on your time"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spend time on something" 또는 "spend your time doing something"처럼 말합니다.
올바른 표현 구조 영어에서 "시간을 투자하다"를 표현할 때 기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 spend time on + 명사 예: You can get better at anything if you spend time on it. • spend time doing + 동작 예: If you spend time practicing, you can improve.
"spend on your time"이라고 하면 "당신의 시간에 돈이나 노력을 쓴다"는 식으로 해석되며, 자연스럽지 않고 의미 전달도 어렵습니다.
자연스러운 문장 예시 • If you spend time on it, you can get better at anything. • If you set aside time, you’ll gradually improve. • The more time you put into it, the better you’ll get. • Investing your time wisely helps you get better at anything.
[1번 ~ 중에] 아는 사람중에 너가 제일 잘한다했을때 저는 among anyone i know라고 표현했거든요. 이 표현도 괜찮나요?
답변
말씀하신 표현 “among anyone I know”는 의미 전달은 가능하지만 어색하거나 자연스럽지 않은 느낌이 있을 수 있습니다.
"among anyone I know" 표현의 문제점 among + 단수명사(anyone)은 문법적으로는 일부 상황에서 가능하지만, 일반적으로는 "among"은 복수 대상 사이에서 고를 때 사용합니다. 즉, “among anyone”은 말 그대로 “내가 아는 사람 중 아무나 사이에서”라는 식으로 논리적으로 부자연스럽습니다.
더 자연스러운 표현 "among the people I know" 또는 "of everyone I know"가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말씀하고 싶으신 문장을 이렇게 고치면 훨씬 자연스럽고 원어민스러운 표현이 됩니다. → “Out of everyone I know, you’re the best at this.”
Cases in Point 질문 & 답변
I think I'm finally getting better at it. 여기서 getting 의 ~ing 를 쓰는 이유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답변
I think I'm finally getting better at it. 에서
왜 be + -ing (am + getting) 이 사용되었는지 질문하시는거죠?
여기서 be + ing (현재 진행형) 가 사용된 이유는 점진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즉, 그냥 get 을 사용하여 I think I finally get better at it. 이라고 하면 "나는 마침내 능숙해진다고 생각해." 라는 뜻이 되어 어색해집니다.
반면, I think I'm finally getting better at it. 이라고 하면 "나는 마침내 점점 더 능숙해지고 있다고 생각해." 라는 의미를 전달하며, 점진적으로 나아지고 있는 과정을 자연스럽게 나타냅니다.
기타 질문 & 답변
눈치에 관련된 표현이 2종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Day51 F/S 에 설명된 "take hints", Day43 에 소개된 "Figure out(You figured that out right away)". 어떤 뉘앙스 차이가 있을까요?
답변
안녕하세요. Take hints 는 상대가 무언가 눈치를 주거나 할 때 그것을 catch 하는 느낌인 반면, Figure out 은 상대가 힌트를 준다거나 하는 느낌이 전혀 없어요.
쉽지 않은 것을 겨우, 어렵게 알아내고 파악한다는 의미의 표현입니다. 문법적으로도 take hints 는 목적어를 취할 수 없는데 반에 figure out 은 반드시 목적어가 수반되지요.
제가 볼 때 이 둘은 거의 대부분 상황에서 interchangeable 하지 않습니다. Take hints 의 사전적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understand something that is communicated indirectly’ 즉, 눈치를 주면 이걸 이해하고 파악하다.
Get better - 선생님 추가예문중에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문장에서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at?처럼 끝에 at을 붙여도 될까요? what이 get better의 목적어로 쓰인것 같은데 그러면 at을 끝에 써줘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도 문법적으로 자연스럽고,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at? 도 가능합니다. 다만, 두 표현간에 약간의 차이가 존재하기는 합니다.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이 문장은 get better를 '더 나아지다'라는 포괄적인 의미로 사용합니다. 즉, 특정한 능력, 기술, 혹은 상황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더 잘하고 싶은 것'을 묻는 느낌을 줍니다.
예시:
A: I feel like I'm stuck in life. B: Really?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A: Honestly, I want to get better at everything—my job, my relationships, even my health.
이처럼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는 '무엇이든 더 나아지고 싶은 것'을 폭넓게 묻기 때문에, A는 job, relationships, health처럼 다양한 영역을 나열하며 응답할 가능성이 큽니다.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at?
여기서는 at이 추가되어 구체적인 대상을 지정합니다. 따라서, 특정한 기술, 능력, 혹은 활동에 대해 더 잘하고 싶은 것을 묻는 표현입니다.
예시: A: I wish I could improve myself. B: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at? A: Oh, probably cooking. I want to learn how to make more dishes.
이처럼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at? 은 '특정 활동'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A는 바로 cooking(요리) 을 언급하며 더 구체적으로 답했습니다.
요약하자면: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포괄적 질문)
전반적으로 '더 잘하고 싶거나 발전시키고 싶은 점' 을 묻습니다.
응답이 추상적이거나 여러 영역을 포함할 가능성이 큽니다.
What is something you would like to get better at? (구체적 질문)
특정한 기술이나 능력에 대해 묻는 표현입니다.
응답이 한정적이고 특정 활동에 집중됩니
It takes me like an hour to make pasta. 여기서 like은 어떻게 이해해야하나요? 강의에 따르면 It takes me an hour to make pasta. It takes an hour for me to make pasta. 이렇거 두가지 표현인데요.
답변
"It takes me like an hour to make pasta." 여기서 "like"는 ‘정확하지 않은 대략적인 수치’를 말할 때 자주 쓰는 구어체 부사입니다. 직역하면 "파스타 만드는데 나한테 대충 한 시간쯤 걸려." 라는 뜻입니다.
like의 의미와 역할 • 의미: 대략, ~쯤 • 특히 말하기나 캐주얼한 글쓰기에서 많이 쓰입니다. • 숫자나 시간 앞에서 사용되어 정확한 게 아니라 추정치라는 걸 알려줘요.
따라서 문장에 “like”가 없는 경우 ”It takes me an hour to make pasta.” = “파스타 만드는데 한 시간 걸려요.” 라는 뜻으로 추정치가 아닌 딱 정해진 시간을 표현할 때 사용됩니다.
추가로, "like"는 너무 자주 쓰면 말이 모호하게 들릴 수 있어서, 말하기나 캐주얼한 글에서만 쓰고, 격식 있는 문장에서는 피하는 게 좋습니다.
질문 작성법
스터디언 클래스 로그인 > 마이 페이지 > 강의실 입장 > Q&A > 등록 > 질문
※ 답변 등록까지 2주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